[사설] 대선 1년 앞…나라 미래 고민하는 리더 있나
입력
수정
지면A39
차기 대통령 선거일이 1년 앞으로 다가왔다. 2017년 5월 9일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날 바로 취임함에 따라 20대 대선 투표일은 법률상 3월 9일(임기만료 직전 70일 이후 첫 수요일)로 잡힌 것이다. ‘개나리 대선’이라 할 3월 대선은 새봄의 기운 속에 새 리더·새 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를 한껏 부풀게 할 수 있다.
과거 경험상 대선 1년 전부터는 새로운 유력 후보가 부상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국민 앞에 선택지는 이미 다 나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3룡’이라 불리는 수많은 잠재 후보가 있지만, 차기 정부의 시대적·국가적 과제와 나라가 지향할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가진 인물이 보이지 않는 게 현실이다. 앞으로 10년은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혁명과 수소경제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기업은 물론 정부까지 디지털 전환(DX) 대응에 집중해야 할 기술문명의 대전환기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지금 한국 정치가 보여주는 2030년을 향한 비전은 그때까지 가덕도신공항 완공을 밀어붙이겠다는 ‘정치 공항’ 공약뿐이다. 코로나 위기 극복이 급선무지만 긴 안목에서 나라의 미래를 고민하는 정치인을 찾아보기 어렵다. 1000조원에 육박하는 나랏빚이 2년 뒤면 1200조원을 넘길 것이란 경고에도, 잠룡들은 코로나를 명분 삼아 퍼주기식 복지 확대 경쟁만 벌일 뿐이다. 심지어 용도 폐기된 줄 알았던 대통령직속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라는 곳은 전 국민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작년 2분기에만 양극화 지표가 개선됐다며 5차 재난지원금 전 국민 지급 필요성에 군불을 때기 바쁘다.
문재인 정부는 이념뿐인 소득주도성장, 노조 편향 정책, 막무가내식 탈원전에다 정권 수사를 막으려는 듯한 검찰 개혁과 기업 규제 남발에 지난 4년을 올인했다. 정작 중요한 노동 개혁, 연금 등 사회보험 개혁, 산업경쟁력 강화, 저출산 고령화 등 구조적 과제는 손놓은 채 허송세월했다. 그런 점에서 차기 리더를 자처하려면 이제라도 세계가 어디로 가고 있고, 한국 사회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지 깊이 고민하고 활발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퍼주기가 시대적 소명인 줄 아는 정치 수준으론 세계 10위권 경제강국이란 위상도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과거 경험상 대선 1년 전부터는 새로운 유력 후보가 부상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국민 앞에 선택지는 이미 다 나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3룡’이라 불리는 수많은 잠재 후보가 있지만, 차기 정부의 시대적·국가적 과제와 나라가 지향할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가진 인물이 보이지 않는 게 현실이다. 앞으로 10년은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혁명과 수소경제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기업은 물론 정부까지 디지털 전환(DX) 대응에 집중해야 할 기술문명의 대전환기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지금 한국 정치가 보여주는 2030년을 향한 비전은 그때까지 가덕도신공항 완공을 밀어붙이겠다는 ‘정치 공항’ 공약뿐이다. 코로나 위기 극복이 급선무지만 긴 안목에서 나라의 미래를 고민하는 정치인을 찾아보기 어렵다. 1000조원에 육박하는 나랏빚이 2년 뒤면 1200조원을 넘길 것이란 경고에도, 잠룡들은 코로나를 명분 삼아 퍼주기식 복지 확대 경쟁만 벌일 뿐이다. 심지어 용도 폐기된 줄 알았던 대통령직속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라는 곳은 전 국민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작년 2분기에만 양극화 지표가 개선됐다며 5차 재난지원금 전 국민 지급 필요성에 군불을 때기 바쁘다.
문재인 정부는 이념뿐인 소득주도성장, 노조 편향 정책, 막무가내식 탈원전에다 정권 수사를 막으려는 듯한 검찰 개혁과 기업 규제 남발에 지난 4년을 올인했다. 정작 중요한 노동 개혁, 연금 등 사회보험 개혁, 산업경쟁력 강화, 저출산 고령화 등 구조적 과제는 손놓은 채 허송세월했다. 그런 점에서 차기 리더를 자처하려면 이제라도 세계가 어디로 가고 있고, 한국 사회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지 깊이 고민하고 활발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퍼주기가 시대적 소명인 줄 아는 정치 수준으론 세계 10위권 경제강국이란 위상도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