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수 은행연합회장 "금융권 CEO 징계로 경영 위축 우려"
입력
수정
“금융당국의 징계는 예측하기가 어렵고 불확실성을 증가시켜 (은행의) 경영 활동을 위축시킬 위험이 높다.”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사진)은 9일 취임 100일을 맞아 진행한 비대면 기자간담회에서 “은행 등 금융권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징계 절차가 진행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지난해 12월 초 취임한 김 회장이 은행장 징계 문제에 대해 직접 목소리를 낸 것은 처음이다. 지난달 금융감독원은 라임 펀드 손실 사태와 관련해 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과 진옥동 신한은행자에게 각각 직무정지와 문책경고를 통보했다. 모두 중징계로, 이 징계가 확정되면 CEO는 연임이 불가능해지고 금융권 재취업도 3~5년 금지된다.
김 회장은 이에 대해 CEO가 징계 가능성을 예상하기 어렵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금 금융당국의 징계는 법제처와 법원의 기본 입장인 ‘명확성의 원칙’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며 “은행장이 모든 임직원의 행위를 실질적으로 관리감독할 수 없는 현실을 감안하면 사실상 결과 책임을 요구하는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고 꼬집었다.
이어 “징계와 같은 ‘침익적 행정처분’은 금융회사가 충분히 예측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 또는 법규 문언에 충실하게 적용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일방적 관계가 아닌 상호 소통하고 존중하는 감독 행정이 이뤄져야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경영활동을 위한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이날 빅테크(대형 IT기업)과의 역차별도 줄여 나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디지털 금융 혁신 정책이 금융권에 대한 역차별을 초래하고, 빅테크의 시장 지배력 확대가 금융 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며 “규제 마련시에는 빅테크와 핀테크를 구별해서, 영향력이 큰 빅테크 플랫폼에 대해서는 보다 철저한 영업규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빅테크의 신용 위험에 대해서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전반적인 규제체계 정비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 회장은 이외에 △금융 소비자 보호법 시행 철저 준비 및 은행 내부 통제 강화 △코로나 19 피해 극복 위한 실물 경제 지원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 시스템 구축 △은행 디지털 플랫폼 구축 지원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사진)은 9일 취임 100일을 맞아 진행한 비대면 기자간담회에서 “은행 등 금융권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징계 절차가 진행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지난해 12월 초 취임한 김 회장이 은행장 징계 문제에 대해 직접 목소리를 낸 것은 처음이다. 지난달 금융감독원은 라임 펀드 손실 사태와 관련해 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과 진옥동 신한은행자에게 각각 직무정지와 문책경고를 통보했다. 모두 중징계로, 이 징계가 확정되면 CEO는 연임이 불가능해지고 금융권 재취업도 3~5년 금지된다.
김 회장은 이에 대해 CEO가 징계 가능성을 예상하기 어렵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금 금융당국의 징계는 법제처와 법원의 기본 입장인 ‘명확성의 원칙’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며 “은행장이 모든 임직원의 행위를 실질적으로 관리감독할 수 없는 현실을 감안하면 사실상 결과 책임을 요구하는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고 꼬집었다.
이어 “징계와 같은 ‘침익적 행정처분’은 금융회사가 충분히 예측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 또는 법규 문언에 충실하게 적용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일방적 관계가 아닌 상호 소통하고 존중하는 감독 행정이 이뤄져야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경영활동을 위한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이날 빅테크(대형 IT기업)과의 역차별도 줄여 나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디지털 금융 혁신 정책이 금융권에 대한 역차별을 초래하고, 빅테크의 시장 지배력 확대가 금융 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며 “규제 마련시에는 빅테크와 핀테크를 구별해서, 영향력이 큰 빅테크 플랫폼에 대해서는 보다 철저한 영업규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빅테크의 신용 위험에 대해서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전반적인 규제체계 정비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 회장은 이외에 △금융 소비자 보호법 시행 철저 준비 및 은행 내부 통제 강화 △코로나 19 피해 극복 위한 실물 경제 지원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 시스템 구축 △은행 디지털 플랫폼 구축 지원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