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추락하는 서울 경쟁력…시장 후보들 어떤 대안 있나

‘글로벌 시티’ 서울의 미래에 먹구름이 잔뜩 끼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미국 커니와 일본 모리기념재단의 도시 경쟁력 비교 결과, 서울의 성장전망이 급격히 추락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무엇보다 기업활동과 기업환경에서 박한 점수를 받은 점이 도시의 경쟁력 추락을 주도했다는 지적이 뼈아프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분석한 ‘글로벌 도시 보고서’(커니)와 ‘세계 도시 종합경쟁력’(모리기념재단)에서의 서울 순위 변화는 그간 도시 경쟁에서 서울의 ‘역주행’이 얼마나 지속적이었고, 부진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잘 보여준다. 커니가 도시의 미래 성장잠재력을 평가한 전망(GCO)에서 서울은 2015년 12위에서 2020년 42위로 30계단이나 급전직하했다. 모리재단의 도시 경제부문 순위도 같은 기간 8위에서 20위로 미끄러졌다.이 같은 성적표는 그간 서울이 ‘기업 친화적 도시의 부상’이라는 글로벌 트렌드를 얼마나 도외시했는지 확인케 한다. 두 조사가 도시 장래 등을 판단할 때 공통적으로 중시하는 게 경제적 측면, 그중에서도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다. 기업지원 행정, 활발한 민간투자 유치, 인재확보 용이성, 법인세율 등이 도시의 성장전망을 가늠하는 첫째 기준이다. 이에 근거해 뉴욕 런던 파리 도쿄가 꾸준히 글로벌 톱시티로 평가받고, 샌프란시스코 베이징 상하이의 위상이 높아졌다.

기업 친화성이 도시경쟁력을 가름한다는 것은 새로운 얘기가 아니다. 일자리와 재정의 근간인 기업이 몰려야 인재가 모여들고 아이디어 교류가 활발해져 새로운 기회가 더 많이 창출된다는 것은 세계 도시 발전사에서 흔히 관찰된다. 하지만 2011년 박원순 전 시장 취임 이후 서울은 정반대 길을 걸었다. 재개발·재건축은 잇따라 중지됐고, 메트로시티답지 못한 ‘마을 공동체’ 수준의 도시재생 사업은 서울을 활력 잃은 도시로 만들었다. 글로벌 인재들이 서울에 매력을 못 느끼고, 외부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얻지 못한 것은 당연한 결과다.

서울시장 선거가 채 한 달도 안 남은 시점에, 여야의 시장후보들에게 서울의 초라한 ‘성적표’에 대한 입장과 타개책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 내놓은 공약에서 서울의 경쟁력 강화를 고민한 ‘흔적’을 찾기 힘들다. 지금이라도 기업하기 좋은 환경으로 경쟁력을 키운 더블린(아일랜드)이나 아부다비(UAE)의 사례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국가는 물론 도시 간에도 피 말리는 경쟁이 한창이다. 더 이상 허송세월할 시간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