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는 기업실적에 '독?' 車 업종엔 '득'

원자재값 올라 생산자물가 상승
기업들 원가 부담 커질라 우려

"판매가격 반영 가능할 종목 주목"
경기 좋아지면 고급차 판매 늘어
완성차 업계, 가격 인상 기대
음식료 업체도 수익성 개선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자 공급이 제한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생산자물가지수(PPI)도 빠르게 오르고 있다. 경기 회복이 기업의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는 것은 다른 문제다. 원가 부담은 늘어나는데 이를 제품 판매 가격에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탄탄한 수요를 바탕으로 기업이 원가 부담을 판매 가격에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업종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판가 반영, 수요에 따라 달라진다

원유, 천연가스, 산업용 원자재, 귀금속, 곡물, 돼지고기 등 19개 상품 선물 가격을 종합해 산출하는 CRB지수는 지난 10일 191.76에 거래를 마쳤다. 올 들어서만 14.3% 올랐다. 원자재 가격이 지나치게 빠르게 오르면서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생산자물가지수(PPI)를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 미국, 중국에서 CPI 상승률과 PPI 상승률 격차가 마이너스 영역에 들어섰다”며 “주식시장에선 이 격차가 마이너스 영역에 진입할 때 기업의 수익성에 대한 우려를 갖기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투자자들은 기업이 원가 부담을 제품 가격에 반영할 수 있을지를 우려할 수밖에 없다. 한국투자증권은 원가 부담이 커진 종목 중 이를 판가로 전이할 수 있는 부문과 그렇지 않은 부문을 구분했다.

먼저 차량용 반도체 쇼티지(공급 부족)가 완성차업계의 원가 부담을 높일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차 한대에 100~300개의 차량용 반도체가 쓰인다. 하지만 완성차는 원가보다 판가가 더 빠르게 상승할 수 있는 산업군으로 분류됐다. 경기 회복으로 완성차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용구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1조9000억달러 경기 부양책이 통과되면서 미국 소비 활성화는 물론 한국 자동차 수출 개선으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이미 코로나19 기간에도 수익성을 끌어올린 상태다. 김진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자동차산업은 구조적으로 제품 믹스 및 성능 개선으로 판매 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있는 산업”이라며 “원가 부담보다 판가가 더 빠르게 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시장 성숙할수록 판가 인상 어려워

부품 가격 인상은 비메모리 반도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D램,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가격까지 오르고 있다. LCD 패널은 중국발(發) 공급 과잉에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공장을 매각하거나 생산 규모를 줄였다. 이 상황에서 코로나19로 TV, 태블릿 PC 수요가 급증했다. 그 결과 지난해 LCD 가격이 빠르게 상승했다.

LCD 패널을 받아 TV를 만드는 제조업체들은 원가 부담을 가격에 반영시켰다. 수요도 폭발적으로 늘어 가능했다. 문제는 ‘집콕’ 및 ‘재택 근무’로 인한 TV 및 PC 수요가 언제까지 증가할 것이냐다. 반도체 애널리스트들은 대부분 PC 수요가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지만, 가격을 지속적으로 올릴 수 있을 정도로 수요가 몰릴 것인가에는 회의적이다. 조철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TV와 PC 수요는 올 2분기를 정점으로 증가세가 약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고 본격적인 야외 활동이 재개되면 TV와 PC 수요는 더 빠르게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TV와 PC 가격 인상이 하반기까지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스마트폰도 상황은 비슷하다. 조 연구원은 “메모리 반도체 및 수동 부품 가격 상승에도 스마트폰업계가 평균판매가격(ASP)을 올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곡물 가격 상승은?

국제 곡물 가격도 6년 만에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음식료 애널리스트들은 그러나 원자재 가격 급등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고 있다. 원재료 가격 상승을 계기로 판가(P)를 인상하면 장기적으로는 수익성이 좋아진다는 논리다. 식품업계는 연초부터 음료, 통조림, 가공쌀밥 등의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 이정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곡물 가격이 안정화되면 음식료 업체가 누릴 수 있는 이익의 규모가 늘어날 것”이라며 “예상보다 빨리 가격 인상이 이뤄진 만큼 수익성 개선 시점도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