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국가로 발전하며 문화정책 힘 쏟은 백제의 유산
입력
수정
지면S12
역사 산책방탄소년단(BTS)의 음악이 연속 3회 빌보드 차트 1위에 오른 적이 있다. 유라시아대륙을 몇 번 횡단했는데, 매번 한류(韓流)의 뜨거운 열기를 느낄 수 있었다. 이란의 이스파한시에서는 싸이의 말춤을 시민들과 함께 췄고, 중앙아시아의 사막을 횡단할 때는 “주몽”을 외치며 내 어깨에 손을 얹은 청년들과 신나게 웃어 젖히기도 했다. 2019년 한국의 문화콘텐츠 수출은 103억달러였다. 아카데미상을 받은 영화 ‘기생충’은 2019년 11월 말까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박스오피스 매출이 1억1000만달러에 이른다. 정보, 통신, 건축 등을 포함한 문화산업의 규모와 이익은 이보다 훨씬 더 크다. 기쁘고도 놀랄 만한 현상이다.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40) 백제의 문화산업
정밀한 장식 금동대향로
왜왕에게 하사한 칠지도
우리 역사에서는 이 같은 문화산업 및 문화수출 현상이 없었을까? 백제가 멸망할 때 인구는 고구려보다 많은 76만 호(戶), 약 380만 명이었다(《구당서》 《삼국사기》). 농경, 어업은 물론 상업, 무역이 활발하면 국부가 창출되고 경제력이 강해진다. 백제는 4세기 중반 근초고왕 시대에 예성강 이북까지 북상했고, 마한 지역을 장악한 뒤 일본 열도로 진출했다. 이어 신라와 고구려를 압박했다. 이에 더해 ‘요서 진출설’과 ‘양자강 유역 점유설’이 주장될 정도였으니 군수산업은 분명 활성화돼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자연환경과 국민정서, 오랜 문화전통으로 인해 문화가 발달했고, 문화정책에 힘을 더 기울인 듯하다.
차원이 다른 예술품 금동대향로
1993년 12월, 부여 능산리 절터 유적에서 이를 확신할 수 있는 유물이 발굴됐다. 7세기 전반에 제작된 높이 62.5㎝, 무게 11.8㎏의 ‘금동대향로’다. 이 향로는 뚜껑, 몸체, 받침 세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받침대는 구름 위를 나는 용의 모습이다. 몸체 하단엔 연꽃 모양을 그리고 뚜껑은 산 모양으로 만들어 동물과 악사 등으로 장식했으며, 뚜껑 꼭대기에는 봉황(또는 주작)을 세워 놓았다. 중국의 박산향로를 모방했다는 설과 전체 형태를 빼놓고는 독창적인 우리 식의 예술품이라는 주장이 있다. 그런데 고구려 무용총, 쌍영총 등의 수렵도나 오회분 4, 5호 묘의 신들을 그린 평면 벽화를 입체적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청동제품의 질적인 우수성은 차치하더라도, 특이한 형태와 정밀하고 상징적인 세부 장식들이 표방하는 사상성과 ‘지미(至美)의식’은 귀걸이, 목걸이, 금관 등에 구현된 기술력과는 또 다른 차원의 백제 공예품이다. 경주에 세워진 황룡사 9층탑은 장중하고 화려한 상륜부까지 합하면 높이가 약 80m에 이른다. 이 대역사를 불과 2년 만에 완공시킨 기술자 집단은 백제인 아비지(阿非知)와 함께 온 200명의 기능인들이다.왜왕에게 칠지도·칠성검 등 하사
백제는 고대국가로 발전하고, 국가 간 경쟁에서 유리하도록 일본 열도에 정치적·사상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경제적인 이익을 얻는 데 문화를 이용했다. 초기부터 우수한 철정 등을 비롯해 칼과 거울 등의 보물을 보냈다. 근초고왕 때는 철기 장인 탁소를 왜국으로 파견했다. 말(馬)을 전달한 아직기와 뒤이은 왕인박사는 논어와 천자문을 갖고 건너가 백제문화를 전달하고 영향력을 강화했다. 이때 옷을 짓는 봉의공도 파견했다.규슈 서부 해안과 가까운 구마모토현에 후나야마 고분이 있다. 1997년까지도 폐허처럼 방치된 이 전방후원분에서 92건의 유물이 출토됐다. 금동관모는 무령왕릉과 익산 입점리 고분에서 출토된 것과 비슷하다. 지금은 비슷한 유물들이 공주 수촌리 고분, 나주 신촌리 고분을 비롯한 여러 군데에서 발견됐다. 또 14개의 칼 가운데 은상감(銀象嵌)으로 75개 글자가 새겨진 85㎝의 큰 칼이 있다. 관모·신발의 유사성과 백제인들의 항로를 고려하면, 이 칼은 월북 역사학자 김석형의 주장처럼 ‘백제의 개로왕(본문에는 미즈하대왕·瑞齒大王)이 신하로 데리고 있던 왜왕에게 하사한 것’이다. 이 밖에 이소노카미(石上)신궁에 보관된 것으로, 100번이나 두들겨 단련한 철로 제작해 백제 임금이 왜왕에게 하사한 ‘칠지도(七支刀)’와 오사카 사천왕사에 보관된 쇼토쿠 태자가 사용했다는 ‘칠성검’ 등은 백제 칼이다. 아마 ‘이태가’ ‘장안’ 같은 백제 기술자들이 앞선 강철 단조기술과 열처리기술 등을 활용해 제작했을 것이다. 아스카의 작은 언덕인 후지노키 고분은 6세기 중반의 것인데, 여기서 나온 백제계 금동관은 정교함과 화려한 금빛 색상으로 신라 금관만 떠올리던 우리의 통념을 깨뜨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