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 통보도 영상통화로 하게 된 '해고 전문가', '비대면' 전환으로 한계비용 줄일 수 있다는데…

영화로 읽는 경제학
시네마노믹스

(40) 인 디 에어(上)
“출입증 반납하시고 이제 소지품 챙겨 집으로 가세요. 일과를 정해놓고 운동하다 보면 곧 기운을 되찾을 거예요.”

영화 ‘인 디 에어’의 주인공 라이언 빙햄(조지 클루니 분)은 매일 다른 도시의 낯선 사무실을 찾아 처음 마주한 사람에게 미소와 함께 이 같은 말을 던진다. 라이언이 1년 중 집 밖에 나가 있는 날은 322일. 집보다 비행기와 낯선 호텔에 머무는 시간이 길지만 누구보다 이런 생활을 즐긴다. 그에게 행복한 삶이란 안정적인 가정과 아늑한 집을 뜻하지 않는다. 집이란 답답한 곳이고 누군가에게 사랑에 빠져 가정을 꾸리는 건 한심한 일일 뿐이다.

유연한 노동시장에서의 자유로운 해고

라이언의 직업은 ‘해고 통보 대행 전문가’. 그의 직장은 고객(기업)의 요청을 받으면 직원들을 전국 각지로 보내 고용주 대신 해고 통보를 해주는 해고 대행업체다. 해고 통지를 받은 사람들이 갑작스럽게 울음을 터뜨리거나 욕설을 퍼부어도 그 감당은 해고를 통보한 사장이 아니라 라이언의 몫이다. 그는 “우리 회사는 방금 해고당한 스티븐의 상사 같은 겁쟁이들을 대신해 직원을 해고하는 일을 한다”고 자랑스럽게 자신을 소개한다.

라이언이 돈을 벌 수 있는 것은 기업의 해고가 자유롭기 때문이다. 라이언의 회사 대표 크레이그 그레고리(제이슨 베이트먼 분)는 “소매업계 수입은 20% 줄고 자동차업계는 휘청거리고 부동산업계는 풍전등화야. 미국 역사상 이런 위기는 없었고 다시 말해 우리에겐 좋은 기회야”라고 말한다.

< 그래프 1 >
이는 미국에선 기업의 해고가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이를 경제학에서는 ‘노동유연성’이 높다고 표현한다. 노동유연성이 높으면 고용주가 근로자를 쉽게 해고할 수 있어 노동자의 근로 안정성은 떨어진다. 반면 노동유연성이 낮으면 신규 채용이 줄어들어 청년실업률은 올라가게 된다.

<그래프 1>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의 노동유연성 순위를 보여준다. 미국은 OECD 36개국 중 두 번째로 노동유연성이 높은 데 비해 한국은 34위로 최하위다. 국내에서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긴박한 경영상의 이유, 노조와의 협의, 고용노동부 장관의 허가 등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사실상 정리해고가 불가능한 구조다. 한국만의 독특한 ‘연공서열형 임금체계’, 즉 호봉제도 노동유연성을 떨어뜨리는 데 한몫한다. 해고는 못하는데 시간이 지나면 성과와 상관없이 임금은 올라가기 때문이다. 이런 경직된 노동시장은 OECD 최고 수준의 노동 시간과 동시에 최하위의 생산성이라는 결과를 불러왔다.

갑작스레 찾아온 ‘언택트 신드롬’

라이언이 유연한 노동시장의 ‘혜택’을 보며 미국 전역을 누비고 다니던 때 크레이그는 본사로 모두 집결하라는 통보를 내린다. 각지에서 온 직원들을 앉혀놓고 크레이그는 폭탄 발언을 한다. 해고를 ‘비대면’으로 전환한다는 것. ‘스펙’ 좋은 신입 직원 나탈리 키너(안나 켄드릭 분)의 제안에서 시작됐다. 비행기를 타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해고하는 걸 모두 영상통화로 대체하면 출장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나탈리는 모든 ‘해고 전문가’가 보는 앞에서 동료 직원을 영상통화로 해고하는 시범까지 선보인다. 그러면서 업무 방식 변화가 직원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이제는 크리스마스에도 가족과 함께할 수 있고 비행기를 기다리며 시간을 보낼 필요도 없습니다. 가정으로 돌아가세요.” 하지만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싫고 비행기를 기다리는 시간이 낙인 라이언에게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었다.

영화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모든 것이 비대면으로 전환되는 우리 현실과도 맞닿아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직장의 재택근무와 화상회의는 일상이 됐다. 식당에 가도 주문은 키오스크로 할 수 있고 쇼핑과 은행 업무까지 모두 모바일 앱으로 이뤄진다. 지난해의 경우 6월말까지 없어진 4대 시중은행 영업점은 92개나 된다. 패스트푸드점 롯데리아와 맥도날드 매장 중 키오스크가 설치된 매장은 각각 75%와 65%에 달한다. 인건비를 줄이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하려는 기업의 움직임과 대면 접촉을 꺼리는 소비자들의 움직임이 맞아떨어진 결과다.

출장비용 ‘0’ 되니 한계비용도 ‘뚝’

경제학에서는 기업의 총비용을 ‘고정비용’과 ‘가변비용’으로 나눈다. 고정비용은 아무것도 생산하지 않아도 계속 지출되는 비용을 말한다. 사무실의 임차료, 라이언에게 주는 월급이 여기에 포함된다. 하지만 라이언이 지출하는 출장비는 일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경기가 너무 좋아 이들이 대행할 해고 업무가 줄어들면 비용이 감소하고, 해고를 원하는 회사가 미국 전역에 생기면 출장비도 늘어난다. 출장비처럼 생산량에 따라 달라지는 비용을 가변비용이라 말한다. 기업이 생산량을 한 단위 늘릴 때마다 필요한 총비용의 증가분은 ‘한계비용’이라고 한다.
&lt; 그래프 2 &gt;
나탈리는 비대면 전환으로 회사 출장비를 85%까지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회사 출장비 상당 부분을 차지하던 가변비용이 크게 줄어드는 것이다. 고정비용이 일정한 상황에서 가변비용이 감소하면 한계비용도 줄어들게 된다. <그래프 2>에서 한계비용(MC) 곡선의 기울기는 낮아진다. 일반적으로 U자형을 그리는 평균 총비용(ATC) 곡선의 최저점은 한계비용 곡선과 만나게 되는데 이를 ‘효율적 생산량’이라고 말한다. 한계비용 곡선의 기울기가 낮아진다는 건 효율적 생산량도 높아진다는 걸 의미한다.

송영찬 한국경제신문 기자 0full@hankyung.com

NIE 포인트

① 4차 산업혁명과 비대면 문화의 확산으로 한계비용이 ‘0’으로 낮아질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는데 실제로 가능한 일일까.② 해고가 쉽도록 노동 유연성이 높아야 일자리도 늘어난다는 주장과 해고를 어렵게 해야 노동자를 보호할 수 있다는 주장의 장단점은 각각 무엇일까.

③ 해고 통보 대행뿐 아니라 사랑고백 대행, 결혼식 부모 역할 대행, 청소대행 등 각종 대행산업이 늘어나는 것은 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