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2기 포스코 출범…'안전·수소' 본격 드라이브
입력
수정
"무재해·환경 최우선 가치로…차세대 성장사업 집중 육성"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12일 주주총회를 통해 연임을 확정하면서 '최정우 호(號) 2기'가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2기 체제에서는 최근 회사 안팎에서 거센 비판을 받은 산업재해 해결을 위해 '안전'에 더욱 방점을 찍는다.
새로운 먹거리로서 수소 사업 육성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 산업재해 집중포화 악재…"무재해 사업장 구현"
작년 12월 최 회장이 연임 의사를 밝힌 뒤로 정치권과 노동계에서는 산업재해 책임 논란이 집중적으로 불거졌다.제철소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책임을 최 회장에게 물으며 연임에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포스코를 공개적으로 비판한 데 이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산업재해 청문회에 최 회장을 불러 노동자 사망사고 책임을 추궁했다.
포스코는 이날 중기(2021∼2023년) 경영전략을 발표하며 "사업장 내 안전 확보와 친환경 경영을 최우선 핵심 가치로 실효성 있게 추진해나가겠다"고 재차 밝혔다.현재 포스코는 작업중지권 철저 시행, 안전신문고 신설, 안전 스마트 인프라 확충, 협력사 안전관리 지원 강화, 직원 대상 안전교육 내실화 등 '6대 중점 안전관리 대책을 시행 중이다.
나아가 향후 3년간 1조원의 안전투자를 집행해 노후·부식 대형 배관, 크레인, 컨베이어 벨트 등 대형설비를 최신 설비로 교체할 예정이다.
이사회 전문위원회에 신설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위원회'를 통해서도 안전 경영에 대한 책임을 강화한다.위원회 신설로 앞으로 환경, 안전·보건, 지배구조 등 ESG 관련 주요 정책이 이사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포스코는 "ESG 위원회에서 최근 불거진 안전사고 이슈와 탄소중립 등 환경 관련 의제를 깊이 있게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수소·이차전지소재 등 신사업 집중 육성
신사업 면에서 최 회장 2기 체제의 핵심은 수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포스코는 수소사업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수소를 활용한 철강 생산 기술인 수소환원제철공법 연구, 수소를 생산·운송·저장·활용하는 데 필요한 강재 개발, 부생수소 생산설비 증대 등을 통해 수소 생산 역량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그린수소 유통과 인프라 구축, 그린수소 프로젝트 등 다양한 사업 기회를 모색하며 대규모 투자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50년까지 수소 생산 500만t 체제를 구축하고, 수소 사업에서 매출 3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전기차 확산과 함께 수요가 커지는 양극재·음극재 등 이차전지소재 사업에도 더욱 공격적으로 나선다.
포스코는 원료 조달부터 소재 생산까지 이차전지 관련 밸류체인(가치사슬)을 완성해 이차전지 소재 부문에서 2030년까지 세계 시장 점유율 20%, 연매출 23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최 회장은 주총에서 "차세대 성장사업인 수소사업과 관련, 내부 생산능력을 점진적으로 확충하고 국내외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사업 기회를 발굴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차전지소재 사업에 대해선 "생산능력 지속 확대, 리튬·니켈 등 원료 내재화, 기술 경쟁력 강화를 통해 글로벌 '톱티어'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기존 주력사업인 철강과 글로벌 인프라 분야는 수익 확대에 주력한다.
철강 사업은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자 강건재, 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등의 제품 및 솔루션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아울러 철강과 이종(異種) 소재의 특장점을 결합한 복합소재 개발을 본격화하는 한편, 제철 공정에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스마트 기술 적용을 확대해 저원가·고효율 생산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그룹 사업은 액화천연가스(LNG), 식량 등 핵심 성장사업을 중심으로 투자를 늘려 성과 창출 속도를 높인다./연합뉴스
새로운 먹거리로서 수소 사업 육성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 산업재해 집중포화 악재…"무재해 사업장 구현"
작년 12월 최 회장이 연임 의사를 밝힌 뒤로 정치권과 노동계에서는 산업재해 책임 논란이 집중적으로 불거졌다.제철소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책임을 최 회장에게 물으며 연임에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포스코를 공개적으로 비판한 데 이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산업재해 청문회에 최 회장을 불러 노동자 사망사고 책임을 추궁했다.
포스코는 이날 중기(2021∼2023년) 경영전략을 발표하며 "사업장 내 안전 확보와 친환경 경영을 최우선 핵심 가치로 실효성 있게 추진해나가겠다"고 재차 밝혔다.현재 포스코는 작업중지권 철저 시행, 안전신문고 신설, 안전 스마트 인프라 확충, 협력사 안전관리 지원 강화, 직원 대상 안전교육 내실화 등 '6대 중점 안전관리 대책을 시행 중이다.
나아가 향후 3년간 1조원의 안전투자를 집행해 노후·부식 대형 배관, 크레인, 컨베이어 벨트 등 대형설비를 최신 설비로 교체할 예정이다.
이사회 전문위원회에 신설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위원회'를 통해서도 안전 경영에 대한 책임을 강화한다.위원회 신설로 앞으로 환경, 안전·보건, 지배구조 등 ESG 관련 주요 정책이 이사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포스코는 "ESG 위원회에서 최근 불거진 안전사고 이슈와 탄소중립 등 환경 관련 의제를 깊이 있게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수소·이차전지소재 등 신사업 집중 육성
신사업 면에서 최 회장 2기 체제의 핵심은 수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포스코는 수소사업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수소를 활용한 철강 생산 기술인 수소환원제철공법 연구, 수소를 생산·운송·저장·활용하는 데 필요한 강재 개발, 부생수소 생산설비 증대 등을 통해 수소 생산 역량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그린수소 유통과 인프라 구축, 그린수소 프로젝트 등 다양한 사업 기회를 모색하며 대규모 투자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50년까지 수소 생산 500만t 체제를 구축하고, 수소 사업에서 매출 3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전기차 확산과 함께 수요가 커지는 양극재·음극재 등 이차전지소재 사업에도 더욱 공격적으로 나선다.
포스코는 원료 조달부터 소재 생산까지 이차전지 관련 밸류체인(가치사슬)을 완성해 이차전지 소재 부문에서 2030년까지 세계 시장 점유율 20%, 연매출 23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최 회장은 주총에서 "차세대 성장사업인 수소사업과 관련, 내부 생산능력을 점진적으로 확충하고 국내외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사업 기회를 발굴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차전지소재 사업에 대해선 "생산능력 지속 확대, 리튬·니켈 등 원료 내재화, 기술 경쟁력 강화를 통해 글로벌 '톱티어'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기존 주력사업인 철강과 글로벌 인프라 분야는 수익 확대에 주력한다.
철강 사업은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자 강건재, 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등의 제품 및 솔루션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아울러 철강과 이종(異種) 소재의 특장점을 결합한 복합소재 개발을 본격화하는 한편, 제철 공정에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스마트 기술 적용을 확대해 저원가·고효율 생산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그룹 사업은 액화천연가스(LNG), 식량 등 핵심 성장사업을 중심으로 투자를 늘려 성과 창출 속도를 높인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