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지어, 멋대로 이야기 지어냈다" 日 위안부 연구자들 맹비판
입력
수정
"주장을 합리화하기 위해 멋대로 이야기를 지어냈다"
일본 학자들과 시민단체들이 14일 마크 램지어 미국 하버드대 교수의 위안부 논문을 두고 '파탄' 수준에 가깝다며 맹비판했다.일본 시민단체 파이트 포 저스티스가 이날 개최한 온라인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은 램지어 교수의 논문 내용과 형식에 대해 검증해 발표했다.
위안부 연구 분야 1인자로 꼽히는 요시미 요시아키 일본 주오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오노자와 아카네 릿쿄대 교수, 지타니 사야카 싱가포르국립대 교수, 김부자 도쿄외국어대 교수, 후지나가 다케시 오사카산업대 교수, 이타가키 류타 도시샤대 교수, 요네야마 리사 토론토대 교수 등이 참여했다.
요시미 교수는 '램지어 교수 위안부론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제목의 발표를 통해 "램지어 교수는 위안부는 여성과 업자간 계약에 의한 것이라고 했지만 단 한장의 계약서도 제시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요시미 교수는 "계약이 있는 위안부는 일본인 여성 대부분과 일부 조선인 여성뿐"이라며 "대다수 조선인과 중국인, 대만인, 필리핀인, 인도네시아인, 네덜란드인 등 많은 여성들이 제대로 된 계약서도 없이 군과 업자들의 위력과 폭력에 의해 끌려왔다"고 말했다.
요시미 교수는 "램지어 논문 중에는 그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제시돼 있지 않거나, 일부 제시된 증거조차 오히려 논문의 주장하는 바와 반대 상황임을 증명하고 있다"고 했다. 또 "논문에 등장한 사례 중엔 램지어 교수가 제멋대로 만들어낸 이야기도 있다"며 "이 논문은 학술 논문으로 인정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오노자와 교수는 "램지어 교수는 '당시 조선에도 일본의 창기 계약과 유사한 공창 제도가 있었고, 여성이 계약 주체로 업자와 교섭해 위안부가 됐다'는 식으로 주장하고 있다"며 "하지만 위안부 제도는 일본군이 주체가 돼 위안소를 설치하고 모집했다는 점에서 공창 제도와는 다르다"고 강조했다.또 "식민지와 일본군 점령지역에서 위안부로 모집된 여성은 대부분 공창과는 관계가 없고 일본군과 인신매매 업자들에 의해 강제적으로 모집됐다"고 주장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일본 학자들과 시민단체들이 14일 마크 램지어 미국 하버드대 교수의 위안부 논문을 두고 '파탄' 수준에 가깝다며 맹비판했다.일본 시민단체 파이트 포 저스티스가 이날 개최한 온라인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은 램지어 교수의 논문 내용과 형식에 대해 검증해 발표했다.
위안부 연구 분야 1인자로 꼽히는 요시미 요시아키 일본 주오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오노자와 아카네 릿쿄대 교수, 지타니 사야카 싱가포르국립대 교수, 김부자 도쿄외국어대 교수, 후지나가 다케시 오사카산업대 교수, 이타가키 류타 도시샤대 교수, 요네야마 리사 토론토대 교수 등이 참여했다.
요시미 교수는 '램지어 교수 위안부론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제목의 발표를 통해 "램지어 교수는 위안부는 여성과 업자간 계약에 의한 것이라고 했지만 단 한장의 계약서도 제시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요시미 교수는 "계약이 있는 위안부는 일본인 여성 대부분과 일부 조선인 여성뿐"이라며 "대다수 조선인과 중국인, 대만인, 필리핀인, 인도네시아인, 네덜란드인 등 많은 여성들이 제대로 된 계약서도 없이 군과 업자들의 위력과 폭력에 의해 끌려왔다"고 말했다.
요시미 교수는 "램지어 논문 중에는 그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제시돼 있지 않거나, 일부 제시된 증거조차 오히려 논문의 주장하는 바와 반대 상황임을 증명하고 있다"고 했다. 또 "논문에 등장한 사례 중엔 램지어 교수가 제멋대로 만들어낸 이야기도 있다"며 "이 논문은 학술 논문으로 인정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오노자와 교수는 "램지어 교수는 '당시 조선에도 일본의 창기 계약과 유사한 공창 제도가 있었고, 여성이 계약 주체로 업자와 교섭해 위안부가 됐다'는 식으로 주장하고 있다"며 "하지만 위안부 제도는 일본군이 주체가 돼 위안소를 설치하고 모집했다는 점에서 공창 제도와는 다르다"고 강조했다.또 "식민지와 일본군 점령지역에서 위안부로 모집된 여성은 대부분 공창과는 관계가 없고 일본군과 인신매매 업자들에 의해 강제적으로 모집됐다"고 주장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