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파이, 은행 안 거치고 송금·대출…NFT, 대체 불가능한 '디지털 원본'
입력
수정
지면A18
암호화폐 용어풀이암호화폐는 오늘도 ‘변신, 또 변신’ 중이다. 기존 코인의 약점을 극복하고 새 시장을 만들어내기 위한 신기술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암호화폐 기사에 자주 나오지만 초보자에겐 낯선 용어들을 정리했다.
디파이(DeFi·decentralized finance)는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한 탈중앙화 금융을 말한다. 금융회사를 끼지 않고 결제, 송금, 예금, 대출, 투자 등 모든 금융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게 목표다. 코인을 담보로 잡고 대출을 내주거나, 코인을 예치하면 파격적 이자를 주는 디파이 서비스가 지난해 많은 인기를 누렸다. 다만 한때 유행했던 암호화폐공개(ICO)처럼 ‘혁신’이란 찬사와 ‘거품’이란 비판이 엇갈린다.
NFT(non-fungible token·대체 불가능 토큰)는 올 들어 가장 따끈따끈한 화두다. 이 기술을 적용한 그림, 음악, 영상 등이 경매에서 거액에 낙찰되는 사례가 쏟아져서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점은 일반적인 암호화폐와 같지만, 코인마다 별도의 고유값을 부여하는 점이 특징이다. 하나의 코인을 다른 코인과 구분할 수 있고 가격도 다르게 매길 수 있다. 진위(眞僞)와 소유권 입증이 중요한 콘텐츠 분야에서 주목받는 이유다.디파이와 NFT가 성장할수록 코인의 거래량과 쓰임새도 늘어나는 만큼 암호화폐산업의 ‘파이’를 키우는 데 기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중앙은행 디지털화폐)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전자화된 화폐다. 중앙은행이 직접 관리·통제한다는 것이 민간이 주도하는 기존 모든 암호화폐와의 결정적 차이점이다. 블록체인 기술의 확산에 기폭제가 될 것이란 기대가 있지만 ‘빅 브러더’ 논란도 크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