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신세계 손잡고…카카오는 이베이코리아에 눈독
입력
수정
인터넷·유통업계 합종연횡 본격화…'실탄 추가 장착' 쿠팡 대항마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시장 점령을 노리는 인터넷·유통 업계 간 합종연횡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16일 유통·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신세계는 이날 지분 교환 방식의 사업 제휴를 발표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두 회사는 온·오프라인 유통·판매, 물류 거점화, 라스트마일(최종 목적지 구간) 배송 등 폭넓은 사업 제휴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온라인 쇼핑 시장을 장악한 네이버는 지난해 CJ그룹과 주식 맞교환, 올 초 BGF리테일과 플랫폼 사업 업무 제휴 등 기존 유통·물류 업체의 손을 잡고 오프라인 시장으로 손을 뻗치고 있다. 이에 국내 1위 대형마트인 이마트를 위시한 오프라인 유통 인프라를 갖추고 오픈마켓 시장 진출을 꾀하는 신세계와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다는 해석이다.
이미 지난 1월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과 강희석 이마트 대표와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만난 자리에서 양측은 유통 사업 협력에 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카카오는 이날 예비 입찰이 마감되는 이베이코리아의 유력한 인수 후보다. 카카오는 비대면 바람을 타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쇼핑을 비롯한 전자상거래 부문에서는 후발주자다.
이에 지난해 20조원 수준의 거래액을 기록한 이베이코리아를 인수하면 단숨에 네이버나 쿠팡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이커머스 업체로 올라설 수 있다는 계산이다.
다만, 이베이코리아의 주력인 옥션·G마켓 등 서비스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확신이 없는 데다 최대 5조원으로 거론되는 인수 금액이 부담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베이코리아 인수를 검토하는 중"이라며 "아직 결정된 건 없다"고 말했다. 이런 인터넷·유통업계 합종연횡 움직임의 배경에는 쿠팡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유통·물류 인프라에 대한 막대한 투자에 이어 최근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으로 5조원대 현금을 추가로 장착한 쿠팡에 자칫 국내 이커머스 시장을 싹쓸이 당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업계에선 감돌고 있다. 국내 유통 시장에서 아직 온라인보다 오프라인의 비중이 더 높고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 가능성 역시 크다는 점에서 더 뒤처지기 전에 '세력 불리기'가 절실했다는 관측이다.
/연합뉴스
두 회사는 온·오프라인 유통·판매, 물류 거점화, 라스트마일(최종 목적지 구간) 배송 등 폭넓은 사업 제휴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온라인 쇼핑 시장을 장악한 네이버는 지난해 CJ그룹과 주식 맞교환, 올 초 BGF리테일과 플랫폼 사업 업무 제휴 등 기존 유통·물류 업체의 손을 잡고 오프라인 시장으로 손을 뻗치고 있다. 이에 국내 1위 대형마트인 이마트를 위시한 오프라인 유통 인프라를 갖추고 오픈마켓 시장 진출을 꾀하는 신세계와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다는 해석이다.
이미 지난 1월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과 강희석 이마트 대표와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만난 자리에서 양측은 유통 사업 협력에 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카카오는 이날 예비 입찰이 마감되는 이베이코리아의 유력한 인수 후보다. 카카오는 비대면 바람을 타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쇼핑을 비롯한 전자상거래 부문에서는 후발주자다.
이에 지난해 20조원 수준의 거래액을 기록한 이베이코리아를 인수하면 단숨에 네이버나 쿠팡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이커머스 업체로 올라설 수 있다는 계산이다.
다만, 이베이코리아의 주력인 옥션·G마켓 등 서비스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확신이 없는 데다 최대 5조원으로 거론되는 인수 금액이 부담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베이코리아 인수를 검토하는 중"이라며 "아직 결정된 건 없다"고 말했다. 이런 인터넷·유통업계 합종연횡 움직임의 배경에는 쿠팡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유통·물류 인프라에 대한 막대한 투자에 이어 최근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으로 5조원대 현금을 추가로 장착한 쿠팡에 자칫 국내 이커머스 시장을 싹쓸이 당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업계에선 감돌고 있다. 국내 유통 시장에서 아직 온라인보다 오프라인의 비중이 더 높고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 가능성 역시 크다는 점에서 더 뒤처지기 전에 '세력 불리기'가 절실했다는 관측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