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표 '한전공대법'도 LH사태로 휘청
입력
수정
野 "잔여부지에 아파트 건설은 특혜" 주장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이 확산되면서 국회에 상정된 주요 쟁점 법안들이 오는 4월 재보궐 선거 이후로 줄줄이 미뤄지고 있다. 이번 선거 결과가 향후 입법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도 온다.
유통산업법 등 쟁점법안 줄줄이 선거 뒤로
영업손실보상법 등 포퓰리즘법안 무사 통과
여야는 16일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산자특허소위)에서 한국에너지공과대학법 제정안을 논의했지만, 주요 쟁점사안을 놓고 여야가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정치권 안팎에선 이번 달 임시국회에서 처리하기 어렵다는 관측도 흘러나오고 있다. 에너지공대법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자 주요 국정과제다. 전남 나주에 에너지특성화 대학 신설을 위해 향후 10년간 1조6000억원을 투입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이낙연 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사진)이 당 대표 시절인 지난 2월 임시국회 때부터 “반드시 법안을 통과시키겠다”고 수차례 공언했지만, 번번히 무산됐다. 국민의힘 측은 “법안이 통과되면 대학 토지를 무상 기부한 건설사(부영그룹)가 특혜를 본다”(이주환 의원), “우수 인재들이 기존 지역 대학을 외면한다”(권명호 의원) 등 이유를 내걸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다소 논란이 있더라도 선거에 득이 되는 법안들은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 코로나19로 인해 집합금지· 영업제한 조치를 받은 소상공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하는 소상공인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대표적이다. 정부는 법에 피해보상 규정을 명시하면 “신속한 보상이 어렵고 피해보상소송이 남발될 수 있다”는 이유로 난색을 표하지만 여야 모두 “정부가 소상공인들의 어려운 현실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태세다. 정부 측 반대에도 불구하고 시행시기를 소급 적용하는 방안도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