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개발의 주요 과제

직장인들의 경력개발에 대한 관심은 IMF사태를 기점으로 높아지기 시작했다. IMF사태로 인해 소위 평생직장이 무너지면서 평생직업을 찾는 직장인들이 늘게 되고, 자연스레 경력개발을 위한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IMF 이후 국내 유수의 대기업들이 경력개발을 위한 각종 제도를 마련하고 해당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은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헌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경력개발제도나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정착했다는 얘기는 듣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왜 발생하는가?

먼저 경력개발에 대한 잘못된 이해가 그 첫 번째 원인이다. 즉 경력개발을 하나의 제도로만 이해하고 경영철학이나 인사철학의 맥락에서 이해하지 못함으로써 단순히 경력개발제도(CDP)만 마련해놓으면 임직원의 경력개발은 저절로 이루어지리라 착각했던 것이다.

또한 경력개발 경로가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지 못함으로 인해 다수의 사람들이 특정 경로로 몰리게 되었고, 이로 인해 전환배치 자체가 가동할 수 없는 지경에 처한 것이 두 번째 원인이다.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직무평가와 평가등급에 따른 급여의 차등화는 이를 더욱 부채질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경력개발과 교육훈련이 연계되지 않아 직무전환에 실패한 임직원에 대한 적절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로 인해 충성심과 능력을 갖춘 상당수의 임직원들이 오랜 기간 근무하던 직장을 떠나게 되었다. 성과평가에 의한 전환배치 보다 체계적인 교육훈련의 연계가 더욱 중요한 것임을 인식하지 못한 것이다.

요즈음 다시 경력개발에 대한 바람이 불고 있는데 과거의 실패를 거울삼아 보다 효과적인 경력개발경로를 창출하기를 기대한다. 인위적인 제도화 보다는 임직원이 자율적으로 찾아가는 경력개발이 가능하도록 시스템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성과평가에 대한 반성과 함께 과거 호봉제의 장점을 되살리고 있는 몇몇 기업들의 움직임도 살펴봐야 할 것이다. 경력개발의 주체는 결국 임직원 개개인이 될 수 밖에 없고, 임직원 스스로 동의하지 않는 경력개발은 그 자체가 실행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가 발전하면 할수록 경력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충만한 사회적 요구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하고 전문화된 직업의 개발과 직무의 세분화가 수반되어야 하며, 관련 전문가의 양성과 공급이 전제되어야 한다.


한경닷컴 교육센터 원장 / 월드클래스에듀케이션 대표 문종성
jsnetwork@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