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시대의 한국인은 지금-1

한국인이 거주하고 있는 나라는 175개국에 이르고, 600만 명 정도가 해외에 거주하고 있다고 합니다. 통계에 잡히지 않은 숫자까지 포함하면 적게는 700만에서 많게는 1,000만 명 정도가 해외에 거주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국가에 분포되어 있는 국가 중의 하나인 셈입니다. 더구나 국제결혼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2005년의 경우 전체 결혼 인구의 13%정도가 국제결혼이었고, 농촌남성의 36%가 외국인 여성과 결혼했다고 합니다. 이미 글로벌 시민사회를 이미 구성하고 있는 셈입니다. 그렇지만, 이런 저런 이유로 모든 지역의 한국인을 보호하기란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한민족 공동체를 구축하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더구나 IMF 이후의 일부 지역의 해외공관에 대해 구조조정을 단행하였고, 축소하였다고 합니다. 지역적인 혹은 대상국가의 중요성, 거주 한인의 수 등을 고려한 공관의 설치도 좋지만, 한국인이 있는 곳도 눈에 보이지 않은 국토이며 영역이라는 인식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적어도 경제여건이 IMF시절보다 나아진 이제라도 해외공관 축소나 외교 인력에 대해서는 다시 검토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만 최소한 자국민을 보호하는 국가 본연의 역할을 할 것이며, 이렇게 함으로써 해외에 진출하는 자국민의 굳건한 네트워크도 구축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외교관의 활용도도 단순한 인사적체의 해소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경험이나 네트워크의 활용으로 연계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외교적 네트워크의 탄탄한 구축은 결국 국가 이익과 직결된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나아가 공관에서 활용될 외교 인력에 대한 충원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마련 등이 공관의 역할과 함께 새롭게 검토될 필요가 있습니다. 가끔씩 나오는 해외공관의 자국민 보호가 미흡하다는 것도 외교 인력의 부족에서도 올뿐만 아니라 그 기능과 역할이 변질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업무의 과부하에 따른 누적된 피로를 해결해줄 수 있는 역할 재정립 및 현실적인 인력충원이 필요할 것입니다. 더구나 국제화시대를 대비하여 설립된 국제대학원에 대해서도 그 역할과 기능을 국가차원에서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효율적으로 인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한국이라는 나라는 국제사회에서 유엔 사무총장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이러한 것을 고려한 외교 전략이 절실할 때입니다. 글로벌 시대의 외교정책은 선진국과 후진국을 구분하여 전략적으로 운용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아직까지는 선진국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후진국도 돌보는 인식으로 하루빨리 전환되길 희망합니다. 지금의 선진국과 후진국의 구분이 향후 20-30년 후에는 어떠한 패러다임으로 바뀔지 모를 일입니다. 기술이 발전하고, 국제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그 구분은 무의미해질 것입니다. 개도국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미래를 내다보는 선견지명이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글로벌 시민사회, 글로벌 공동체를 마련하는 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