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들이지 않고 창조하는 방법!


최근 정부와 경제단체가 참여한 ‘창조경제 민관협의회’ 1차 회의가 지난 3월 7일 서울 역삼동 기업가정신센터 에서 열렸다. 창조경제의 실천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정치 및 경제계가 힘을 합치는 모습이다. 이처럼 2013년 2월 25일 공식 출범한 박근혜 정부가 최우선 국정운영 전략으로 창조경제를 강조하면서 창조의 용어가 크게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창조는 비단 현 정부에서만 강조되는 용어는 아니다. “창조의 근원은 하나님이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 창조는 인류 발생과 더불어 동시에 시작된 단어가 아닐까…
​근원이야 그렇다 치고, 무엇보다 ‘어떻게 하면 창조를 잘 하는가?’, ‘창조력을 높이는 방법은 무엇인가?’가 더 중요하다. 영국의 심리학자 리처드 와이즈먼 교수는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스스로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나눈 후, 간단한 퀴즈를 제시했다.
​“신문에 실린 사진의 수를 세어보세요. 빠른 시간 안에 정답을 맞히면 상품을 드립니다.”
​​결과는 어땠을까? 행복다하다는 사람은 단 2초만에, 반대로 불행하도고 생각하는 사람은 평균 2분이 걸렸다. 비밀은 신문 한 귀퉁이에 크게 적힌 메시지에 있었다.
​“더 이상 사진을 세지 마시오. 신문에는 43장의 사진이 있습니다.”
​행복하다는 사람들은 넓은 시야로 메시지를 발견하고, 그 내용을 믿었고, 반대로 불행하다는 사람들은 사진 찾기에 매몰된 나머지, 메시지를 발견하지 못하거나 발견하고도 믿지 않았다.
​무슨 의미인지 이해되는가? 그렇다. 창조의 시작은 즐거워야 한다. 행복하다고 생각해야 한다. 즐겁지 않고 불행하다고 생각하면 편협된 사고로 현상에만 매몰된다. 큰 그림을 볼 수 없고, 설사 보더라도 쉽게 믿지 않는다.
​지난 30여년간 창의성을 연구해 온 테레사 에머빌(Amabile)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석좌교수는 조직의 창의성과 성과를 높이는 데 굳이 돈을 안 쓰고도 좋은 방법이 있다고 주장한다. 의외로 방법은 간단했다. 바로 직원들에게 긍정적 기분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즉, 직원들의 내면 상태가 성과를 개선시킨다는 것이다. 사람이 기뻐할 때 자신의 업무 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자신의 업무에 강력한 동기 부여를 받을 때 가장 창의적이 된다는 논리다.
​혹, 당신의 자녀가 공부는 안하고 개그콘서트를 보고 있는 장면을 목격했다. ‘내일이 시험인데…. 화가 치밀어 오르는가? ‘쟤가 제 정신인가…’라는 생각이 드는가? 그러나 당신은 기뻐해야 한다. 그건 좋은 징조다, 왜냐하면 기분이 좋아지면 창의성이 올라기가 때문에 내일 시험을 잘 볼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물론 개그콘서트를 보고 난 후 나머지 공부를 했을 때 가능하다.
​1990년 미국 코넬대학의 앨리스 아이센 교수도 비슷한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아이센 교수는 내과의사 44명을 대상으로 간 질환에 시달리는 가상 환자 증상을 보고 처방을 내리는 실험을 했다. 두 그룹으로 나누어 의사 중 절반에게는 사탕 한 봉지를 선물로 나눠줬고, 다른 한 그룹에게는 그저 문제만을 제시했다.
​누가 더 정확하게 증세에 따른 처방을 내렸는가를 분석해보니 사탕을 받은 의사들이 훨씬 나았다. 그들은 사탕을 받지 않은 그룹보다 더 빨리 관련 정보를 처리했고, 스스로 내린 잘못된 진단에 신속히 처방을 바꾸는 유연성을 보였다. 결국 사탕을 받으니 기분이 좋아지고, 창의성도 높아지게 된다는 것이다.
​아이센 교수는 “기분이 좋아지면 문제 해결 능력도 발전하고 이타심, 협동심, 조직 내 소통관계 등 업무의 전반적인 프로세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창조의 대표적인 아이콘인 구글이 회사를 캠퍼스나 놀이의 개념으로 전환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아직도 직원들이 창조적이지 않다고 소리만 지르는가? 창조는 바로 화를 내는 당신이 분노를 잠재우고 스스로 즐거웠을 때 가능하다. 결국, 문제는 바로 당신에게 있었다.

by. 정인호 VC경영연구소 대표(ijeong13@naver.com) / www.vcm.or.kr
블로그 : http://blog.naver.com/ijeong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