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시] 괴테는 왜 그녀에게 은행잎을 보냈을까

         은행나무 잎
                                  괴테


동방에서 건너와 내 정원에 뿌리내린이 나뭇잎엔

비밀스런 의미가 담겨 있어

그 뜻을 아는 사람을 기쁘게 한다오.

둘로 나누어진 이 잎은

본래 한 몸인가?아니면 서로 어우러진 두 존재를

우리가 하나로 알고 있는 걸까?

이런 의문에 답을 찾다

비로소 참뜻을 알게 되었으니

그대 내 노래에서 느끼지 않는가.

내가 하나이며 또 둘인 것을.



200여 년 전인 1815년 가을날, 독일 시인 괴테(1749~1832)는 한 여인에게 사랑의 시를 담은 편지를 보냈다. 편지지에는 노란 은행잎 두 장도 붙였다. 예순여섯 살 시인의 표정은 사춘기 소년 같았다. 얼마 뒤 그녀에게서 화답시가 도착했다. 그녀의 이름은 마리안네 빌레머. 서른한 살의 유부녀였다.

두 사람이 처음 만난 건 1년 전인 1814년. 나이를 초월한 이들의 사랑은 은밀하면서도 위태롭게 진행됐다. 남의 눈을 피해야 했으므로 더 애틋했다. 가끔은 먼 곳으로 여행을 떠나기도 했다. 하이델베르크 여행 중 그녀는 성 안의 낡은 담벼락에 ‘진정으로 사랑하고 사랑받은 나는 이곳에서 행복했노라’는 글귀를 남기기도 했다.

괴테는 그녀에게 은행나무 잎을 유심히 보라면서 ‘비밀스런 의미’를 설명했다. 그녀를 데려가 은행나무를 보여주기도 했다. 괴테가 은행잎을 설명한 구절이 재미있다.

“이 나무의 잎은 특별해요. 아직 어린나무일 때는 부채꼴에 나 있는 절개선이 거의 보이지 않지만, 시간이 지난 뒤 가지를 보면 절개선이 있는 잎이 많아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국 두 개의 잎인 것처럼 보이지요.”

물론 모든 은행잎이 그렇지는 않다. 어린잎에는 깊은 절개부가 보이지만, 거의 다 자란 잎에는 보이지 않기도 한다. 한 나무에 여러 가지 변형된 잎이 날 수도 있다. 그때는 지금 같은 과학 지식이 부족했다. 은행나무가 18세기에 동방으로부터 전해졌으니 그럴 만도 했다.

하지만 시인의 관찰력은 특별했다. 둘로 갈라진 은행잎에서 ‘서로 어우러진 두 존재’의 합일을 발견했다. 암수 딴 그루의 은행나무가 수태하는 과정을 ‘둘로 나누어진 한 몸’의 의미와 접목한 감수성도 뛰어나다.

은행잎은 사랑뿐만 아니라 건강과 장수, 다산을 상징한다. 독일 식물학자 마리안네 보이헤르트도 《식물의 상징적 의미》라는 책에서 은행나무와 은행잎의 특성을 설명하며 “은행나무는 희망, 장수, 다산성, 우정, 순응, 정복 불가능성을 상징한다”고 했다.

괴테는 이 같은 은행나무의 미덕에 달콤한 사랑의 밀어와 노란 잎 두 장을 붙여 연인에게 보냈던 것이다. ‘비로소 참뜻을 알게 되었으니/ 그대 내 노래에서 느끼지 않는가./ 내가 하나이며 또 둘인 것을.’

그러나 둘의 사랑은 완성되지 못했다. 괴테와의 짧은 만남과 이별 후 그녀는 한숨을 쉬며 이렇게 말했다. “아! 그이를 다시 만날 희망이 없다면 고통으로 나는 스러지고 말리라.”괴테는 몇 년 후 그녀와의 사랑을 노래한 시로 《서동시집(西東詩集)》(1819)을 펴냈다. 14세기 페르시아 시인 하피즈에게 영감을 받은 이 시집에서 그는 하이템, 그녀는 줄라이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그는 이 시집을 엮을 때 그녀가 쓴 시 세 편도 함께 넣었다. 둘이 만나면서부터 시 쓰는 것을 본격적으로 익힌 그녀의 연시였다. 이루지 못한 사랑의 여백을 채우는 그만의 의식이었을까. 시집 갈피에 남몰래 은행잎을 끼워 두고 페이지를 펼칠 때마다 옛 추억에 잠기곤 하는 시인의 모습이 영화의 한 장면처럼 떠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