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시]이웃집 처녀에게 바친 청년 시인의 비밀 편지
입력
수정
빛나는 별이여
존 키츠
빛나는 별이여, 내가 너처럼 한결같다면 좋으련만-밤하늘 높은 곳에서 외로운 광채를 발하며,
참을성 많고 잠들지 않는 자연의 은자처럼,
영원히 눈을 감지 않은 채,출렁이는 바닷물이 종교의식처럼
육지의 해안을 정결하게 씻는 걸 지켜보거나,
혹은 산과 황야에 새롭게 눈이 내려부드럽게 쌓이는 것을 가만히 응시하는 게 아니라-
그런 게 아니라- 다만 여전히 한결같이, 변함없이,
아름다운 내 연인의 풍만한 가슴에 기대어,부드럽게 오르내리는 것을 영원히 느끼며,
그 달콤한 동요 속에서 언제까지 깨어있으면서,
평온하게, 그녀의 부드러운 숨소리에 귀 기울이며,
그렇게 영원히 살고 싶어라- 아니면 차라리 죽어지리라.
영국 시인 존 키츠(1795~1821)의 작품은 유독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많이 받았다. 단 4년간 활동한 뒤 26세에 요절했지만 영국 낭만주의 대표 시인이 된 천재였기에 그렇기도 했다. 그가 몇 년만 더 살았더라면 세계문학사가 달라졌을 것이라며 아쉬워하는 사람도 많았다. 셰익스피어의 뒤를 이을 재목으로 평가받았고 바이런, 셸리와 더불어 당대 시단의 최고봉으로 일컬어졌으니 그럴 만했다.
짧은 생애에 비해 많은 작품을 쓴 그는 ‘가장 아름다운 서정시’와 ‘가장 비극적인 러브 스토리’를 동시에 남겼다는 점에서도 남다른 주목을 받았다. 그의 사랑 얘기를 그린 제인 캠피온 감독의 영화 ‘브라이트 스타’가 흥행한 뒤에는 더욱 그랬다.
사람들이 특별히 궁금해 한 것은 그가 죽기 전 끔찍이 사랑했던 연인이 누구인가 하는 것이었다. 그의 마지막 순간을 지킨 친구는 알고 있었지만, 여인의 남은 생을 위해 입을 다물었기에 궁금증은 더했다.
나중에야 알려졌지만 그의 연인은 패니 브론이라는 이웃집 처녀였다. 유명한 연시 ‘빛나는 별이여’도 그녀를 위해 쓴 것이었다.
그녀를 처음 만난 것은 스물세 살 때인 1818년 가을이었다. 첫 시집을 내고 출판사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지 1년쯤 됐을 때였다. 수줍게 악수를 청하는 패니의 손을 잡는 순간 그는 눈이 멀어버렸다. 활발하면서도 재치 있는 그녀의 언어에 특히 반했다. 그녀도 감수성이 풍부한 청년 키츠에게 점차 빠져들었다.
그 무렵 키츠의 동생이 폐결핵으로 죽자 그는 충격을 받았다. 여덟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열네 살 때 어머니를 잃은 그였다. 그나마 패니 덕분에 괴로움을 이겨낸 그는 날마다 그녀에게 편지를 보냈다.
‘우리가 나비라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렇게 여름 사흘을 당신과 함께 보낸다면, 그저 그런 50년을 사는 것보다 더 행복할 것 같아요.’
둘은 1년 만에 약혼했다. 그러나 몇 달 뒤 그가 결핵으로 쓰러지고 말았다. 병세가 악화돼 로마로 요양을 떠날 때 그는 동행하려는 연인의 손길을 거부했다. 대신 “당신이 없어도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선물을 하나 줘!”라고 했다. 그녀는 붉은색이 도는 하얀 타원형 홍옥수를 손에 쥐어주며 눈물을 흘렸다.
그렇게 헤어진 그는 로마 스페인광장 옆에 있는 집에서 병마와 싸우다 홍옥수를 어루만지며 친구의 품에서 숨을 거두었다. 죽기 전 ‘여기 물 위에 이름을 새긴 사람이 누워 있노라’라는 묘비명을 새겨달라는 부탁을 남기고…
친구는 그의 요청과 달리 다음과 같은 글귀로 묘비를 장식했다. “이 묘에는 영국의 젊은 시인의 유해가 묻혀 있다. 죽음의 자리에서 고국 사람들의 무심함에 극도로 고뇌하던 그는 묘비에 이런 말이 새겨지기를 원했다. ‘여기 물 위에 이름을 새긴 사람이 누워 있노라.’”
그의 묘비명 역시 ‘빛나는 별이여’라는 시만큼 아릿하다. 그러나 그의 사랑은 ‘물 위에 새긴 이름’처럼 결코 허망하게 스러져 간 게 아니었다. 그가 대영박물관의 고대 그리스 자기(瓷器) 항아리에 조각된 그림에서 영감을 받아 쓴 시 ‘그리스 항아리에 부치는 노래’에 이미 예견돼 있었을까.
이 시에서도 그의 사랑은 미완이다. 두 연인이 낙원의 나무 아래에서 사랑을 나누려 하지만 여인의 입술에 아슬아슬하게 접근한 남자의 입술은 거기에서 멈춘다. 그는 남자의 입술이 항아리와 함께 굳어 영원의 시간 속에 멈췄기 때문에 실망할 필요가 없다고 노래한다. 그녀의 입술 역시 영원히 사라지지 않고 그 앞에 있기 때문이다.
들리는 선율은 감미롭다.
하지만 저들의 들을 수 없는 선율은 더욱 감미롭다.
그러므로 피리들이여, 고요 속에서 계속 연주하라.
더욱 감미로운 노래를, 감각적인 귀가 아닌 마음의 귀에,
음색이 없는 영혼의 소곡들을 불어 달라.
나무 아래에 있는 아름다운 젊은이여,
그대는 그대의 노래를 결코 떠날 수 없으리라.
또한 저 나무들도 발가벗은 모습을 결코 내보이지 않으리라.
용감한 연인이여,
그대는 절대로, 절대로 사랑의 키스를 성취하지 못하리.
그녀의 입술에 거의 접근했건만…
하지만 슬퍼하지 마라.
그녀는 결코 사라지지 않으리,
비록 그대가 열락을 맛보지 못했지만,그대는 그녀를 영원히 사랑할 수 있으리,
그녀는 영원히 아름다우리!
(‘그리스 항아리에 부치는 노래’ 부분)
존 키츠
빛나는 별이여, 내가 너처럼 한결같다면 좋으련만-밤하늘 높은 곳에서 외로운 광채를 발하며,
참을성 많고 잠들지 않는 자연의 은자처럼,
영원히 눈을 감지 않은 채,출렁이는 바닷물이 종교의식처럼
육지의 해안을 정결하게 씻는 걸 지켜보거나,
혹은 산과 황야에 새롭게 눈이 내려부드럽게 쌓이는 것을 가만히 응시하는 게 아니라-
그런 게 아니라- 다만 여전히 한결같이, 변함없이,
아름다운 내 연인의 풍만한 가슴에 기대어,부드럽게 오르내리는 것을 영원히 느끼며,
그 달콤한 동요 속에서 언제까지 깨어있으면서,
평온하게, 그녀의 부드러운 숨소리에 귀 기울이며,
그렇게 영원히 살고 싶어라- 아니면 차라리 죽어지리라.
영국 시인 존 키츠(1795~1821)의 작품은 유독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많이 받았다. 단 4년간 활동한 뒤 26세에 요절했지만 영국 낭만주의 대표 시인이 된 천재였기에 그렇기도 했다. 그가 몇 년만 더 살았더라면 세계문학사가 달라졌을 것이라며 아쉬워하는 사람도 많았다. 셰익스피어의 뒤를 이을 재목으로 평가받았고 바이런, 셸리와 더불어 당대 시단의 최고봉으로 일컬어졌으니 그럴 만했다.
짧은 생애에 비해 많은 작품을 쓴 그는 ‘가장 아름다운 서정시’와 ‘가장 비극적인 러브 스토리’를 동시에 남겼다는 점에서도 남다른 주목을 받았다. 그의 사랑 얘기를 그린 제인 캠피온 감독의 영화 ‘브라이트 스타’가 흥행한 뒤에는 더욱 그랬다.
사람들이 특별히 궁금해 한 것은 그가 죽기 전 끔찍이 사랑했던 연인이 누구인가 하는 것이었다. 그의 마지막 순간을 지킨 친구는 알고 있었지만, 여인의 남은 생을 위해 입을 다물었기에 궁금증은 더했다.
나중에야 알려졌지만 그의 연인은 패니 브론이라는 이웃집 처녀였다. 유명한 연시 ‘빛나는 별이여’도 그녀를 위해 쓴 것이었다.
그녀를 처음 만난 것은 스물세 살 때인 1818년 가을이었다. 첫 시집을 내고 출판사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지 1년쯤 됐을 때였다. 수줍게 악수를 청하는 패니의 손을 잡는 순간 그는 눈이 멀어버렸다. 활발하면서도 재치 있는 그녀의 언어에 특히 반했다. 그녀도 감수성이 풍부한 청년 키츠에게 점차 빠져들었다.
그 무렵 키츠의 동생이 폐결핵으로 죽자 그는 충격을 받았다. 여덟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열네 살 때 어머니를 잃은 그였다. 그나마 패니 덕분에 괴로움을 이겨낸 그는 날마다 그녀에게 편지를 보냈다.
‘우리가 나비라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렇게 여름 사흘을 당신과 함께 보낸다면, 그저 그런 50년을 사는 것보다 더 행복할 것 같아요.’
둘은 1년 만에 약혼했다. 그러나 몇 달 뒤 그가 결핵으로 쓰러지고 말았다. 병세가 악화돼 로마로 요양을 떠날 때 그는 동행하려는 연인의 손길을 거부했다. 대신 “당신이 없어도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선물을 하나 줘!”라고 했다. 그녀는 붉은색이 도는 하얀 타원형 홍옥수를 손에 쥐어주며 눈물을 흘렸다.
그렇게 헤어진 그는 로마 스페인광장 옆에 있는 집에서 병마와 싸우다 홍옥수를 어루만지며 친구의 품에서 숨을 거두었다. 죽기 전 ‘여기 물 위에 이름을 새긴 사람이 누워 있노라’라는 묘비명을 새겨달라는 부탁을 남기고…
친구는 그의 요청과 달리 다음과 같은 글귀로 묘비를 장식했다. “이 묘에는 영국의 젊은 시인의 유해가 묻혀 있다. 죽음의 자리에서 고국 사람들의 무심함에 극도로 고뇌하던 그는 묘비에 이런 말이 새겨지기를 원했다. ‘여기 물 위에 이름을 새긴 사람이 누워 있노라.’”
그의 묘비명 역시 ‘빛나는 별이여’라는 시만큼 아릿하다. 그러나 그의 사랑은 ‘물 위에 새긴 이름’처럼 결코 허망하게 스러져 간 게 아니었다. 그가 대영박물관의 고대 그리스 자기(瓷器) 항아리에 조각된 그림에서 영감을 받아 쓴 시 ‘그리스 항아리에 부치는 노래’에 이미 예견돼 있었을까.
이 시에서도 그의 사랑은 미완이다. 두 연인이 낙원의 나무 아래에서 사랑을 나누려 하지만 여인의 입술에 아슬아슬하게 접근한 남자의 입술은 거기에서 멈춘다. 그는 남자의 입술이 항아리와 함께 굳어 영원의 시간 속에 멈췄기 때문에 실망할 필요가 없다고 노래한다. 그녀의 입술 역시 영원히 사라지지 않고 그 앞에 있기 때문이다.
들리는 선율은 감미롭다.
하지만 저들의 들을 수 없는 선율은 더욱 감미롭다.
그러므로 피리들이여, 고요 속에서 계속 연주하라.
더욱 감미로운 노래를, 감각적인 귀가 아닌 마음의 귀에,
음색이 없는 영혼의 소곡들을 불어 달라.
나무 아래에 있는 아름다운 젊은이여,
그대는 그대의 노래를 결코 떠날 수 없으리라.
또한 저 나무들도 발가벗은 모습을 결코 내보이지 않으리라.
용감한 연인이여,
그대는 절대로, 절대로 사랑의 키스를 성취하지 못하리.
그녀의 입술에 거의 접근했건만…
하지만 슬퍼하지 마라.
그녀는 결코 사라지지 않으리,
비록 그대가 열락을 맛보지 못했지만,그대는 그녀를 영원히 사랑할 수 있으리,
그녀는 영원히 아름다우리!
(‘그리스 항아리에 부치는 노래’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