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한독소재R&D센터…지역기업 기술 애로 '해결사'
입력
수정
지면A28
두산重·범한퓨얼셀 등과 협업경남 창원시가 국제협력 기업지원 인프라로 운영 중인 ‘한독소재R&D센터’가 지역 기업의 연구·기술 개발에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창원시는 지난해 한독소재R&D센터 운영을 통해 독일 위탁 연구개발 다섯 건을 추진했으며, 에너지산업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고 22일 발표했다.
공동연구 통해 비용 절감 성과
창원시와 한국재료연구원은 2017년 독일 드레스덴시, 프라운호퍼·드레스덴공대 연구소와 연계해 한독소재R&D센터를 공동 설립해 운영 중이다. 현재까지 총 28개의 수요기업이 참여했다. 연구개발사업도 첫해 2건에서 3년차 3건, 4년차 5건 등으로 늘었다. 5년차인 올해는 새로운 수요기업을 추가해 더 많은 연구개발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센터는 지난해 비대면 기술교류 및 독일 위탁연구 등을 통해 기업이 국내에서 해결하기 힘든 ‘이종재질 접합기술’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스택기술’ 등에 대한 공동연구와 기술자문을 진행했다.
창원의 대표적인 에너지 발전 기업인 두산중공업은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성능 개선’ 및 ‘초대형 블레이드 장착연결부 검증’에 관한 프로그램을 지원받았다. 현재 개발 중인 8㎿급 풍력발전시스템의 성능 개선과 후속 초대형 모델의 개발 기간 단축에 기여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기업 범한퓨얼셀은 독일연구기관 프라운호퍼 세라믹연구소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 관한 기술 개발과 연구를 진행해 성능 및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 복합소재 생산 중소기업인 넥스탑코리아는 독일 위탁연구를 통해 수작업으로 관리하던 생산품 품질관리를 자동화한 시스템을 개발, 연간 2억6000만원의 손실비용을 절감하고 80억원의 매출 증대를 기대하고 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