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환의 결국은 돈 문제야!] 피라미드 바깥 세상
입력
수정
돈은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돈이 모든 걸 해결해 줄 수는 없다. 그렇지만 돈은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런데 모든 돈이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을까?
기축통화가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한화는 기축통화가 아니다. 미국에서 사용하는 달러는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나라 간 송금이나 결제 시에도 달러로 결제 및 송금을 한다. 즉 자국뿐만 아니라 타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돈이 기축통화이다. GDP(국내 총생산), 즉 경제가 발전한 나라일수록 그 국가의 화폐의 가치는 높아진다. 경제 발전이 더딘 나라의 화폐는 화폐로서의 가치를 상실해 버리는 일도 종종 발생한다. 한화는 기축통화는 아니지만, 그 나름의 화폐의 가치는 존속하고 있다. 그렇지만 달러보다 분명 한화의 가치는 낮게 평가될 수 있고 급격하게 세계 경제가 변할 경우는 그 가치 하락 또한 급격히 진행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현금을 많이 보유한 자산가들은 달러의 비중을 높여서 보유하고 있다. 언제 닥칠지 모르는 국내경제하락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문제는, 이 달러의 가치 역시 언제까지 지속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부분이다. 경제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양적 완화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영어로는 QE(quantitative easing)인데, 역시나 어려운 용어다. 쉽게 설명해서 현실 세계에서 경기가 안 좋아서(사람들이 돈을 안 써서), 돈을 쓸 수 있도록(투자, 소비, 생산 등) 중앙은행에서 돈을 마구 찍어내는 정책이다. 정말 깊이 이해하면 이상한 정책인데, 이러한 정책으로 지금의 미국경제 및 세계 경제가 잘 버티고 돌아가고 있다.이 양적 완화는 현재의 자본주의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걸 임시방편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더 나은 대안이 없음으로 실제 적용되고 있는 정책이다. 결국 시간이 흘러서 임시방편으로의 효력이 다 되었을 때는 어떠한 경제적 변화가 다가올지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화폐 역사의 새로운 시작, 비트코인
지금까지 세계는 다양한 화폐의 발전 그리고, 금융의 발전을 통하여 나름의 견고한 피라미드를 곳곳에 세웠다. 그리고 그 피라미드 시스템은 지금까지 잘 운용되는 것처럼 보이나, 영원할 수는 없다. 분명 화폐의 역사와 제국의 역사 가운데서 시스템의 붕괴와 재건설 또는 새로운 시장으로의 개척 등을 역사를 통해서 볼 수 있다.
많은 경제 전문가들이 달러화의 위기에 대해서 언급한다. 분명히 당장 닥칠 문제는 아니다. 그러기에는 이미 상당히 견고한 피라미드로 구축이 되어 있고, 나름의 피라미드 안에서 힘겹지만 잘 생존해나가고 있기 때문이다.이런 상황에서 비트코인이라는 기존의 금융과 기축통화 밖의 새로운 금융이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다. 여전히 이 비트코인은 피라미드 밖인 야생에서 열심히 야생에서 생존하고 있는 이들을 모으고 있다.
최근에는 피라미드 안에서도 이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금융을 탄생시킨 기술인 블록체인에 관심을 보인다. 한 나라가 아닌 전 세계적으로 그리고 큰 기업들이 관심을 보인다.
과연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그리고 블록체인이 기존 피라미드 시스템 안으로 들어올 것인지, 새로운 피라미드를 세울 것인지, 아니면 야생에서 피라미드 없이 그들이 추구하는 진정한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는지에 따라서 미래의 금융가 경제의 변화를 읽을 수 있는 통찰력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김동환 한경닷컴 칼럼니스트
돈이 모든 걸 해결해 줄 수는 없다. 그렇지만 돈은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런데 모든 돈이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을까?
기축통화가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한화는 기축통화가 아니다. 미국에서 사용하는 달러는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나라 간 송금이나 결제 시에도 달러로 결제 및 송금을 한다. 즉 자국뿐만 아니라 타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돈이 기축통화이다. GDP(국내 총생산), 즉 경제가 발전한 나라일수록 그 국가의 화폐의 가치는 높아진다. 경제 발전이 더딘 나라의 화폐는 화폐로서의 가치를 상실해 버리는 일도 종종 발생한다. 한화는 기축통화는 아니지만, 그 나름의 화폐의 가치는 존속하고 있다. 그렇지만 달러보다 분명 한화의 가치는 낮게 평가될 수 있고 급격하게 세계 경제가 변할 경우는 그 가치 하락 또한 급격히 진행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현금을 많이 보유한 자산가들은 달러의 비중을 높여서 보유하고 있다. 언제 닥칠지 모르는 국내경제하락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문제는, 이 달러의 가치 역시 언제까지 지속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부분이다. 경제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양적 완화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영어로는 QE(quantitative easing)인데, 역시나 어려운 용어다. 쉽게 설명해서 현실 세계에서 경기가 안 좋아서(사람들이 돈을 안 써서), 돈을 쓸 수 있도록(투자, 소비, 생산 등) 중앙은행에서 돈을 마구 찍어내는 정책이다. 정말 깊이 이해하면 이상한 정책인데, 이러한 정책으로 지금의 미국경제 및 세계 경제가 잘 버티고 돌아가고 있다.이 양적 완화는 현재의 자본주의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걸 임시방편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더 나은 대안이 없음으로 실제 적용되고 있는 정책이다. 결국 시간이 흘러서 임시방편으로의 효력이 다 되었을 때는 어떠한 경제적 변화가 다가올지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화폐 역사의 새로운 시작, 비트코인
지금까지 세계는 다양한 화폐의 발전 그리고, 금융의 발전을 통하여 나름의 견고한 피라미드를 곳곳에 세웠다. 그리고 그 피라미드 시스템은 지금까지 잘 운용되는 것처럼 보이나, 영원할 수는 없다. 분명 화폐의 역사와 제국의 역사 가운데서 시스템의 붕괴와 재건설 또는 새로운 시장으로의 개척 등을 역사를 통해서 볼 수 있다.
많은 경제 전문가들이 달러화의 위기에 대해서 언급한다. 분명히 당장 닥칠 문제는 아니다. 그러기에는 이미 상당히 견고한 피라미드로 구축이 되어 있고, 나름의 피라미드 안에서 힘겹지만 잘 생존해나가고 있기 때문이다.이런 상황에서 비트코인이라는 기존의 금융과 기축통화 밖의 새로운 금융이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다. 여전히 이 비트코인은 피라미드 밖인 야생에서 열심히 야생에서 생존하고 있는 이들을 모으고 있다.
최근에는 피라미드 안에서도 이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금융을 탄생시킨 기술인 블록체인에 관심을 보인다. 한 나라가 아닌 전 세계적으로 그리고 큰 기업들이 관심을 보인다.
과연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그리고 블록체인이 기존 피라미드 시스템 안으로 들어올 것인지, 새로운 피라미드를 세울 것인지, 아니면 야생에서 피라미드 없이 그들이 추구하는 진정한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는지에 따라서 미래의 금융가 경제의 변화를 읽을 수 있는 통찰력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김동환 한경닷컴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