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환의 결국은 돈 문제야!] 비트코인 가치에 대한 흔한 오해들
입력
수정
비트코인 가치에 대한 흔한 오해들
1. 금과의 비교비트코인을 금과 많이 비교한다. 금이 희소성이 있고, 채굴하는데 비용이 들어간다는 점에서 비트코인이 금을 닮았기는 하다. 그런데 비트코인을 단순히 이런 특징만으로 금과 비교하는 데는 여러 가지 무리가 있다.
역사적으로 금은 오랫동안 인류사회에 검증되어 왔다. 금을 기반으로 하여 달러화가 기축통화가 된 역사라든지 누구든지 몸 어딘가에는 금 하나쯤은 달고 살기 때문이다.
이런 금의 역사에 비하면 비트코인은 역사가 상당히 짧고 우리들의 삶에 사용처로 마땅하지가 않다. 국제송금이나 국제무역 시 대금 지불 등에는 유용하게 쓰일 수 있지만, 일반인들의 삶에는 그다지 필요가 없다.2. 탈중앙화 그리고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미래를 바꿀 것이라는 기대
또 하나 비트코인에 대한 가치로 주장하는 게 탈중앙화와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많은 사람이 언급한다. 탈중앙화는 처음에는 매력적이지만 조금 깊이 들여다보면 상당히 우리 현실 세계에 실현되기 어려운 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은 중앙에 의한 통제를 싫어하면서도 스스로 삶을 온전히 책임지는 건 더 싫어한다. 이러한 인간의 특징이 탈중앙화를 꿈꾸는 사람들의 이상과의 괴리다. 비트코인과 그 이후의 암호화폐들이 대중화가 어려운 가장 큰 이유가 이 탈중앙화에 있다. 비트코인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개인 지갑에 자신이 직접 관리해야 한다.(거래소에 보관하는 비트코인은 제외)그런데 이 개인 지갑에 있는 개인키(PrivateKey)를 잃어버리는 순간 자신이 가지고 있는 비트코인은 영원히 찾을 수 없다. 이러한 시스템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꽤 있지만, 대부분의 대중은 이런 시스템에 익숙지 않고 앞으로도 익숙해질 것인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하다.
3. 비트코인을 주식시장과 비교하는 것
비트코인 시총이 미국 주식시장의 페이스북을 따라잡았다든지 하는 비교를 쉽게 한다. 그런데 이렇게 비교하는 건 비교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 비트코인은 또 다른 마켓이다. 시장은 미국주식시장이 있고 한국주식시장이 존재한다. 이 두 시장은 엄연히 다르다. 그리고 채권시장이 있고 환율시장이 있고(달러, 유로화 등), 선물시장(여기에 또 무수히 많은 시장이 나뉜다. 대표적인게 원유선물이다.) 그리고 또 다른 마켓으로 비트코인(암호화폐) 시장이 존재한다. 즉 미국 주식시장에 어떤 주가와 비교해서는 안 되는 카테코리다.(물론 대략적인 가치를 가늠해보기 위해서 비교하는 건 괜찮다.)그렇다면 정말 비트코인의 가치는 무엇이 있을까?
지금 시점에서 팩트만 체크해보자면,
1) 국제송금하는 데 유용하다.(자금세탁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2) 비트코인 덕에 이더리움이 탄생했고 이 이더리움으로 인해서 ICO(Initial Coin Offering) 시장이 탄생했다. 이 ICO로 인하여 그래도 꽤 많은 스타트업들이 초기에 자본을 모으고 기업을 일으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물론 부작용도 많이 탄생하긴 했지만…
3) 변동성 및 미래가치에 근거하는 새로운 투자자산
이 부분은 조금 설명이 필요할 듯 한데 비트코인은 분명 변동성이 꽤 있다. 그런데 주식시장 역시 변동성은 만만치 않다. 주식시장과 비교하면 변동성이 커 보이지만 선물시장과 비교하면 변동성이 큰것도 아니다. 어쨌건 이러한 변동성은 공격적인 투자자들에게는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세계 어디서든 쉽고 빠르게 투자하고 빠르게 현금화 할 수 있다는 것도 매력적이다. 그것도 누구든지 국적과 신분에 상관없이 할 수 있다는 건 기존 주식시장과는 조금 차이가 있다.여기에 또 한 가지를 추가한다면 투자는 대부분 미래 가치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비트코인은 상당히 불확실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다음 시대를 이끌 수 있는 대체화폐나 탈중앙화 시대로의 변화라는 다양한 미래 가치를 심기에 너무 적절하다. 아직 미래가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논지는 그 논지를 펴는 사람이 얼마나 권위가 있고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지에 따라서 어렵지 않게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다. 아마도 이런 다양한 설득력들이 모여서 지금의 비트코인 마켓 형성에 영향을 준 사실도 간과할 수 없다.
김동환 한경닷컴 칼럼니스트
1. 금과의 비교비트코인을 금과 많이 비교한다. 금이 희소성이 있고, 채굴하는데 비용이 들어간다는 점에서 비트코인이 금을 닮았기는 하다. 그런데 비트코인을 단순히 이런 특징만으로 금과 비교하는 데는 여러 가지 무리가 있다.
역사적으로 금은 오랫동안 인류사회에 검증되어 왔다. 금을 기반으로 하여 달러화가 기축통화가 된 역사라든지 누구든지 몸 어딘가에는 금 하나쯤은 달고 살기 때문이다.
이런 금의 역사에 비하면 비트코인은 역사가 상당히 짧고 우리들의 삶에 사용처로 마땅하지가 않다. 국제송금이나 국제무역 시 대금 지불 등에는 유용하게 쓰일 수 있지만, 일반인들의 삶에는 그다지 필요가 없다.2. 탈중앙화 그리고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미래를 바꿀 것이라는 기대
또 하나 비트코인에 대한 가치로 주장하는 게 탈중앙화와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많은 사람이 언급한다. 탈중앙화는 처음에는 매력적이지만 조금 깊이 들여다보면 상당히 우리 현실 세계에 실현되기 어려운 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은 중앙에 의한 통제를 싫어하면서도 스스로 삶을 온전히 책임지는 건 더 싫어한다. 이러한 인간의 특징이 탈중앙화를 꿈꾸는 사람들의 이상과의 괴리다. 비트코인과 그 이후의 암호화폐들이 대중화가 어려운 가장 큰 이유가 이 탈중앙화에 있다. 비트코인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개인 지갑에 자신이 직접 관리해야 한다.(거래소에 보관하는 비트코인은 제외)그런데 이 개인 지갑에 있는 개인키(PrivateKey)를 잃어버리는 순간 자신이 가지고 있는 비트코인은 영원히 찾을 수 없다. 이러한 시스템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꽤 있지만, 대부분의 대중은 이런 시스템에 익숙지 않고 앞으로도 익숙해질 것인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하다.
3. 비트코인을 주식시장과 비교하는 것
비트코인 시총이 미국 주식시장의 페이스북을 따라잡았다든지 하는 비교를 쉽게 한다. 그런데 이렇게 비교하는 건 비교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 비트코인은 또 다른 마켓이다. 시장은 미국주식시장이 있고 한국주식시장이 존재한다. 이 두 시장은 엄연히 다르다. 그리고 채권시장이 있고 환율시장이 있고(달러, 유로화 등), 선물시장(여기에 또 무수히 많은 시장이 나뉜다. 대표적인게 원유선물이다.) 그리고 또 다른 마켓으로 비트코인(암호화폐) 시장이 존재한다. 즉 미국 주식시장에 어떤 주가와 비교해서는 안 되는 카테코리다.(물론 대략적인 가치를 가늠해보기 위해서 비교하는 건 괜찮다.)그렇다면 정말 비트코인의 가치는 무엇이 있을까?
지금 시점에서 팩트만 체크해보자면,
1) 국제송금하는 데 유용하다.(자금세탁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2) 비트코인 덕에 이더리움이 탄생했고 이 이더리움으로 인해서 ICO(Initial Coin Offering) 시장이 탄생했다. 이 ICO로 인하여 그래도 꽤 많은 스타트업들이 초기에 자본을 모으고 기업을 일으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물론 부작용도 많이 탄생하긴 했지만…
3) 변동성 및 미래가치에 근거하는 새로운 투자자산
이 부분은 조금 설명이 필요할 듯 한데 비트코인은 분명 변동성이 꽤 있다. 그런데 주식시장 역시 변동성은 만만치 않다. 주식시장과 비교하면 변동성이 커 보이지만 선물시장과 비교하면 변동성이 큰것도 아니다. 어쨌건 이러한 변동성은 공격적인 투자자들에게는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세계 어디서든 쉽고 빠르게 투자하고 빠르게 현금화 할 수 있다는 것도 매력적이다. 그것도 누구든지 국적과 신분에 상관없이 할 수 있다는 건 기존 주식시장과는 조금 차이가 있다.여기에 또 한 가지를 추가한다면 투자는 대부분 미래 가치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비트코인은 상당히 불확실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다음 시대를 이끌 수 있는 대체화폐나 탈중앙화 시대로의 변화라는 다양한 미래 가치를 심기에 너무 적절하다. 아직 미래가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논지는 그 논지를 펴는 사람이 얼마나 권위가 있고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지에 따라서 어렵지 않게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다. 아마도 이런 다양한 설득력들이 모여서 지금의 비트코인 마켓 형성에 영향을 준 사실도 간과할 수 없다.
김동환 한경닷컴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