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칼럼] '알몸 배추' '염색 감귤'
입력
수정
지면A35
비위생적인 ‘알몸 배추’부터 ‘염색 감귤’에 ‘염색 파’ ‘가짜 오징어’까지…. 중국발(發) ‘음식 포비아(공포·혐오증)’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최근 중국 인터넷에 “전통시장에서 산 감귤을 냅킨으로 닦았더니 빨간 색소가 묻어나왔다”는 글이 올라왔다. 그러자 “화학약품으로 염색한 ‘불량 귤’을 먹고 손이 빨갛게 물들었다”는 증언이 잇따랐다.
이후 “시장에서 산 파와 상추를 씻으니 물이 청록색으로 변했다” “색소값이 더 들겠다. 대체 왜 이러느냐”는 비판이 줄을 이었다. “오징어를 끓는 물에 데쳤더니 흐물흐물한 액체로 변해버렸다”는 사례까지 회자됐다.앞서 한 남성이 알몸으로 구정물 속에서 배추를 절이는 영상이 퍼지면서 ‘중국 김치 공포’가 증폭됐다. 중국 당국이 단속에 나섰고 “영상 속 배추는 수출용이 아니다”고 해명했지만, 영상을 올린 중국인이 “내가 절인 게 맞고, 이렇게 절인 배추가 각국에 수출된다”고 주장해 불안감을 키웠다.
우리나라가 지난해 수입한 김치는 99% 이상이 중국산이다. 수입액이 1724억원에 이른다. 중국 식품의 안전성 논란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2005년 중국산 김치에서 납이 검출됐고 기생충 알까지 나왔다. 그 뒤로도 병원성 대장균이 검출돼 판매가 금지됐다.
2008년에는 ‘멜라민 파동’을 일으킨 중국산 유제품 분말이 일본을 거쳐 국내에 수입됐다. 플라스틱 제조용 화학물질인 멜라민은 신장결석을 유발한다. 2015년엔 중국산 달걀흰자 분말에서 동물용 의약품 성분이 검출돼 회수조치가 내려졌다. 중국에서도 가짜 분유를 먹은 아이 수만 명이 병에 걸렸다.이 밖에 쥐고기로 만든 가짜 양고기와 소고기 등 불량식품이 끊이지 않는다. 생강 주산지인 산둥성에서 농민들이 맹독성 농약을 마구 뿌린 사실도 밝혀졌다. 중국산 고추, 당근, 마늘, 양파, 대파 등은 국내 기업과 학교, 일반 음식점에 공급되고 있다.
‘알몸 배추’에 놀란 소비자들이 중국산 김치를 기피하자, 음식점주들은 코로나 여파로 줄어든 손님이 더 줄지 않을까 애를 태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산 식료품에 대한 통관 기준을 대폭 강화하고 생산·유통 과정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가뜩이나 김치 기원을 둘러싼 중국의 어깃장 탓에 ‘불매 운동’ 조짐까지 일고 있는 마당이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이후 “시장에서 산 파와 상추를 씻으니 물이 청록색으로 변했다” “색소값이 더 들겠다. 대체 왜 이러느냐”는 비판이 줄을 이었다. “오징어를 끓는 물에 데쳤더니 흐물흐물한 액체로 변해버렸다”는 사례까지 회자됐다.앞서 한 남성이 알몸으로 구정물 속에서 배추를 절이는 영상이 퍼지면서 ‘중국 김치 공포’가 증폭됐다. 중국 당국이 단속에 나섰고 “영상 속 배추는 수출용이 아니다”고 해명했지만, 영상을 올린 중국인이 “내가 절인 게 맞고, 이렇게 절인 배추가 각국에 수출된다”고 주장해 불안감을 키웠다.
우리나라가 지난해 수입한 김치는 99% 이상이 중국산이다. 수입액이 1724억원에 이른다. 중국 식품의 안전성 논란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2005년 중국산 김치에서 납이 검출됐고 기생충 알까지 나왔다. 그 뒤로도 병원성 대장균이 검출돼 판매가 금지됐다.
2008년에는 ‘멜라민 파동’을 일으킨 중국산 유제품 분말이 일본을 거쳐 국내에 수입됐다. 플라스틱 제조용 화학물질인 멜라민은 신장결석을 유발한다. 2015년엔 중국산 달걀흰자 분말에서 동물용 의약품 성분이 검출돼 회수조치가 내려졌다. 중국에서도 가짜 분유를 먹은 아이 수만 명이 병에 걸렸다.이 밖에 쥐고기로 만든 가짜 양고기와 소고기 등 불량식품이 끊이지 않는다. 생강 주산지인 산둥성에서 농민들이 맹독성 농약을 마구 뿌린 사실도 밝혀졌다. 중국산 고추, 당근, 마늘, 양파, 대파 등은 국내 기업과 학교, 일반 음식점에 공급되고 있다.
‘알몸 배추’에 놀란 소비자들이 중국산 김치를 기피하자, 음식점주들은 코로나 여파로 줄어든 손님이 더 줄지 않을까 애를 태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산 식료품에 대한 통관 기준을 대폭 강화하고 생산·유통 과정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가뜩이나 김치 기원을 둘러싼 중국의 어깃장 탓에 ‘불매 운동’ 조짐까지 일고 있는 마당이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