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코로나19 충격 여전"…조기 금리인상 가능성 '일축'

"정책기조 서둘러 조정할 사항 아니다"
"올해 국내성장률, 종전 전망치보다 높을 것"
"Fed 통화정책 관련,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충격이 여전하다며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을 일축했다.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 총재는 최근 신임 출입기자 간사단과 만난 자리에서 "아직 실물경제 활동이 잠재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만큼, 우리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정상궤도로 복귀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다.최근 성장률 전망 상향 가능성, 금융 불균형 심화 우려 등을 감안할 때 긴축시기가 앞당겨 질 가능성이 있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한 것이다.

그러면서 "현재로서는 정책기조를 서둘러 조정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향후 통화정책 운용 방향 관련해선 시장과 늘 원활히 소통하면서 충격이나 혼선이 야기되지 않도록 유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이 불거진 배경으로는 올해 성장률이 3%대 중반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대두되면서다. 미국의 경기 회복 기대감이 높아졌다는 점도 작용한다. 미국은 대규모 추가 재정부양책을 확정하고, 코로나19 백신접종도 계획보다 빠르게 진행했다. 최근 중앙은행(Fed)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2월 예상치(4.2%)를 훨씬 웃도는 6.5%로 전망한 이유다. 이 총재는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의 상향 조정에 따라 국내경제도 수출과 설비투자 증가세가 당초 예상보다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추경이 집행될 경우 올해 성장률을 추가로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올해 국내 성장률은 종전 전망치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경기 회복세 정도는 코로나19 전개양상과 백신보급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며, 글로벌 반도체 경기와 미중 무역갈등 등이 경기흐름에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플레이션 우려,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사항 아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선 "2분기엔 지난해 기저효과로 1%대 후반으로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며 "하반기에도 대체로 1%대 중후반 수준에서 등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난해 2분기 국제유가는 코로나19 확산에 30달러 초반까지 크게 하락했지만, 최근 60달러 수준까지 오르면서 물가 상승 압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이 진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는 요소다. 이 총재는 "코로나19 감염상황이 진정되면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면서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그는 "이러한 물가 전망에 기초해 지금은 인플레이션 확대를 우려해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며 "경제활동 정상화 과정에서 수요와 공급 측면의 물가상승압력이 예상보다 크게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향후 물가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에서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Fed의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내놨다.이 총재는 "시장참가자들 사이에선 성장과 물가의 상방리스크 확대를 이유로 자산매입 축소나 금리인상 시기가 Fed가 시사하는 것보다 다소 빨라질 수 있다는 기대가 상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지적했다. 최근 Fed는 고용과 물가가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정책금리를 동결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이 총재는 "앞으로 발표되는 여러 경제지표 향방에 따라 Fed의 통화정책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수시로 조정되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당국으로서는 경각심을 갖고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