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난 고사성어] 다기망양(多岐亡羊)-갈래가 많으면 길을 잃는다
입력
수정
생각이 많으면 되레 분별이 흐려진다. 너무 밝으면 되레 어둬진다. 이(利)에 밝은 자는 이치(理)에 어둡다. 머리에 꾀가 차면 발걸음이 꼬인다. 돌다리만 두드리면 작은 냇물조차 건너지 못한다. 결정장애는 생각이 너무 섞여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증상이다. 어찌보면 현대인은 ‘생각부족’보다 ‘생각과다’로 인한 증상을 훨씬 더 앓고 있다.
다기망양(多岐亡羊). 갈랫길(岐)이 많아 양을 잃었다는 뜻이다. 배움의 길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진리 찾기가 어렵다는 의미로, 가르침이 다양해 어느 것을 따라야 할지 헷갈린다는 비유로도 쓰인다. 출처는 ≪열자≫로, 중국 전국시대 극단적 개인주의를 주창한 사상가 양자와 관련된다. 동시대를 산 묵자와 양자는 생각이 극으로 갈렸다. 묵자는 만물을 두루 사랑하라는 겸애(兼愛)를 설파했고, 양자는 나라에 이익이 된다 해도 머리카락 한 올 내줄 수 없다고 맞섰다.어느 날 양자의 이웃집 양 한 마리가 달아났다. 이웃집 사람은 물론 양자네 하인들까지 양을 찾아 나섰다. 양 한 마리에 너무 요란스럽다 싶어 양자가 물었다. “양 한 마리 찾는데 왜 그리 많은 사람이 나서느냐?” 하인이 답했다. “양이 달아난 길에는 갈림길이 많기 때문입니다.” 얼마 후, 모두들 지쳐서 돌아왔지만 양은 보이지 않았다. “그래, 양은 찾았느냐?” 양자가 물었다. “갈림길이 너무 많아서 그냥 되돌아왔습니다. 갈림길에 또 갈림길이 있는지라 양이 어디로 달아났는지 도통 알 길이 없었습니다.” 하인이 자초지종을 설명했다.
하인의 말을 들은 양자는 얼굴빛이 어둬졌다. 그후 종일 아무 말도 안 했다. 제자들이 그 까닭을 물어도 여전히 묵묵부답이었다. 여러 날이 지나도 스승의 얼굴에 수심이 가시지 않자 제자 맹손양(孟孫陽)이 선배 심도자(心都子)를 찾아가 저간의 연유를 말하고 그 까닭을 물었다. 심도자가 양자의 속뜻을 짚어줬다. “큰길에는 갈림길이 많기 때문에 양을 잃어버리고(多岐亡羊), 학자는 여러 갈래로 배우기 때문에 본성을 잃는다네. 원래 학문의 근본은 하나였는데 그 끝이 이리 갈라지고 말았네. 선생께서는 하나인 근본으로 되돌아가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시는 것이라네.”
갈래가 많으면 양을 잃는다. 생각이 과해도, 욕심이 과해도 길을 잃는다. 복잡하면 꼬이고, 꼬이면 헤맨다. 누구도 두 길을 동시에 걷지는 못한다. 때로는 생각의 가지치기가 필요하다. 계문자가 세 번 생각한 뒤에야 행동한다는 얘기를 듣고 공자가 말했다. “두 번이면 된다.” 복잡한 세상에선 좀 단순하게 사는 것도 지혜다. 단순의 출발은 ‘버림’이다. 잡다한 물건, 잡다한 생각을 버려야 삶이 심플해진다. 너절하게 펼치지만 말고 가치 있는 일에 마음을 쏟자. 어차피 다는 갈 수 있는 게 인생의 길이다. 갈랫길을 헤매다 길을 잃는 양이 되지 말자.신동열 한경닷컴 칼럼니스트/작가/시인
다기망양(多岐亡羊). 갈랫길(岐)이 많아 양을 잃었다는 뜻이다. 배움의 길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진리 찾기가 어렵다는 의미로, 가르침이 다양해 어느 것을 따라야 할지 헷갈린다는 비유로도 쓰인다. 출처는 ≪열자≫로, 중국 전국시대 극단적 개인주의를 주창한 사상가 양자와 관련된다. 동시대를 산 묵자와 양자는 생각이 극으로 갈렸다. 묵자는 만물을 두루 사랑하라는 겸애(兼愛)를 설파했고, 양자는 나라에 이익이 된다 해도 머리카락 한 올 내줄 수 없다고 맞섰다.어느 날 양자의 이웃집 양 한 마리가 달아났다. 이웃집 사람은 물론 양자네 하인들까지 양을 찾아 나섰다. 양 한 마리에 너무 요란스럽다 싶어 양자가 물었다. “양 한 마리 찾는데 왜 그리 많은 사람이 나서느냐?” 하인이 답했다. “양이 달아난 길에는 갈림길이 많기 때문입니다.” 얼마 후, 모두들 지쳐서 돌아왔지만 양은 보이지 않았다. “그래, 양은 찾았느냐?” 양자가 물었다. “갈림길이 너무 많아서 그냥 되돌아왔습니다. 갈림길에 또 갈림길이 있는지라 양이 어디로 달아났는지 도통 알 길이 없었습니다.” 하인이 자초지종을 설명했다.
하인의 말을 들은 양자는 얼굴빛이 어둬졌다. 그후 종일 아무 말도 안 했다. 제자들이 그 까닭을 물어도 여전히 묵묵부답이었다. 여러 날이 지나도 스승의 얼굴에 수심이 가시지 않자 제자 맹손양(孟孫陽)이 선배 심도자(心都子)를 찾아가 저간의 연유를 말하고 그 까닭을 물었다. 심도자가 양자의 속뜻을 짚어줬다. “큰길에는 갈림길이 많기 때문에 양을 잃어버리고(多岐亡羊), 학자는 여러 갈래로 배우기 때문에 본성을 잃는다네. 원래 학문의 근본은 하나였는데 그 끝이 이리 갈라지고 말았네. 선생께서는 하나인 근본으로 되돌아가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시는 것이라네.”
갈래가 많으면 양을 잃는다. 생각이 과해도, 욕심이 과해도 길을 잃는다. 복잡하면 꼬이고, 꼬이면 헤맨다. 누구도 두 길을 동시에 걷지는 못한다. 때로는 생각의 가지치기가 필요하다. 계문자가 세 번 생각한 뒤에야 행동한다는 얘기를 듣고 공자가 말했다. “두 번이면 된다.” 복잡한 세상에선 좀 단순하게 사는 것도 지혜다. 단순의 출발은 ‘버림’이다. 잡다한 물건, 잡다한 생각을 버려야 삶이 심플해진다. 너절하게 펼치지만 말고 가치 있는 일에 마음을 쏟자. 어차피 다는 갈 수 있는 게 인생의 길이다. 갈랫길을 헤매다 길을 잃는 양이 되지 말자.신동열 한경닷컴 칼럼니스트/작가/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