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시] 암·수술을 꽃잎 속에 숨긴 패랭이꽃…카네이션의 조상
입력
수정
패랭이꽃(石竹花)
정습명
사람들은 모두 붉은 모란을 좋아해
뜰 안 가득 심고 정성껏 가꾸지만누가 잡풀 무성한 초야에
예쁜 꽃 있는 줄 알기나 할까.
색깔은 달빛 받아 연못에 어리고향기는 바람 따라 숲 언덕 날리는데
외진 땅 있노라니 찾는 귀인 적어
아리따운 자태를 농부에게 붙이네.
초야에 묻혀 사는 처지를 패랭이꽃에 비유하며 세속의 모란과 대비시킨 5언율시. 고려 문신 정습명(鄭襲明, ?~1151)의 작품이다.
정몽주의 10대조인 그는 어려서부터 글을 잘 지었다. 그러나 관직에 나아가서도 자신을 알아주는 이가 드물었다. 어느 날 그는 이 시 ‘패랭이꽃’을 읊고는 혼자 한숨지었다. 여기에서 패랭이꽃은 시인 자신을 의미한다. 이를 알게 된 예종이 감탄해 그를 옥당(玉堂)에 특별히 천거했다. 그러니 그의 출세작이라 할 수 있다. 《파한집》에 나오는 얘기다.그는 예종에 이어 인종의 총애를 받았고 의종의 태자 시절 스승까지 맡았다. 《삼국사기》 편찬 감독관으로 김부식, 김효충 등과 함께 작업했다. 그는 말년의 인종에게 의종을 특별히 잘 보필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어릴 때부터 의종을 가르쳐 누구보다 장단점을 잘 아는 그는 의종 즉위 이후 무엇이든 간하며 도왔다.
그러나 의종의 무절제한 행동과 유흥향락이 이어지자 그는 점차 배척받기 시작했다. 간신들이 기미를 알아채고 밤낮으로 참소하니 임금도 그를 미워했다. 임금을 바른 길로 돌이킬 수 없게 된 것을 확인한 그는 관복을 벗어던지고 독약을 마셔 자결했다.
이런 비극적인 사연을 미리 알기나 했을까. 시의 소재인 패랭이꽃은 줄기에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다 해서 석죽화(石竹花)라고 한다. 고려시대 시나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데, 암·수술이 꽃잎 속에 숨어 있어 ‘정절’이라는 꽃말을 갖고 있다.영물시에 뛰어난 이규보(李奎報) 같은 시인도 ‘영락(零落)하여 가을 날씨를 견디지 못하니, 죽(竹)이란 이름을 쓰기엔 외람되다(飄零不耐秋, 爲竹能無濫)’고 했으니 초야에 핀 들꽃의 운명은 어쩔 수 없다.
시골 들판 건조한 곳이나 냇가 모래땅에서 저 혼자 피고 지는 패랭이꽃. 누가 알아주지 않는 불우한 처지에서도 철 따라 제 몫의 아름다움을 피워내는 이 무명인(無名人)의 상징이 카네이션의 조상이라는 걸 알고는 슬며시 놀라는 사람도 제법 있다.
정습명
사람들은 모두 붉은 모란을 좋아해
뜰 안 가득 심고 정성껏 가꾸지만누가 잡풀 무성한 초야에
예쁜 꽃 있는 줄 알기나 할까.
색깔은 달빛 받아 연못에 어리고향기는 바람 따라 숲 언덕 날리는데
외진 땅 있노라니 찾는 귀인 적어
아리따운 자태를 농부에게 붙이네.
초야에 묻혀 사는 처지를 패랭이꽃에 비유하며 세속의 모란과 대비시킨 5언율시. 고려 문신 정습명(鄭襲明, ?~1151)의 작품이다.
정몽주의 10대조인 그는 어려서부터 글을 잘 지었다. 그러나 관직에 나아가서도 자신을 알아주는 이가 드물었다. 어느 날 그는 이 시 ‘패랭이꽃’을 읊고는 혼자 한숨지었다. 여기에서 패랭이꽃은 시인 자신을 의미한다. 이를 알게 된 예종이 감탄해 그를 옥당(玉堂)에 특별히 천거했다. 그러니 그의 출세작이라 할 수 있다. 《파한집》에 나오는 얘기다.그는 예종에 이어 인종의 총애를 받았고 의종의 태자 시절 스승까지 맡았다. 《삼국사기》 편찬 감독관으로 김부식, 김효충 등과 함께 작업했다. 그는 말년의 인종에게 의종을 특별히 잘 보필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어릴 때부터 의종을 가르쳐 누구보다 장단점을 잘 아는 그는 의종 즉위 이후 무엇이든 간하며 도왔다.
그러나 의종의 무절제한 행동과 유흥향락이 이어지자 그는 점차 배척받기 시작했다. 간신들이 기미를 알아채고 밤낮으로 참소하니 임금도 그를 미워했다. 임금을 바른 길로 돌이킬 수 없게 된 것을 확인한 그는 관복을 벗어던지고 독약을 마셔 자결했다.
이런 비극적인 사연을 미리 알기나 했을까. 시의 소재인 패랭이꽃은 줄기에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다 해서 석죽화(石竹花)라고 한다. 고려시대 시나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데, 암·수술이 꽃잎 속에 숨어 있어 ‘정절’이라는 꽃말을 갖고 있다.영물시에 뛰어난 이규보(李奎報) 같은 시인도 ‘영락(零落)하여 가을 날씨를 견디지 못하니, 죽(竹)이란 이름을 쓰기엔 외람되다(飄零不耐秋, 爲竹能無濫)’고 했으니 초야에 핀 들꽃의 운명은 어쩔 수 없다.
시골 들판 건조한 곳이나 냇가 모래땅에서 저 혼자 피고 지는 패랭이꽃. 누가 알아주지 않는 불우한 처지에서도 철 따라 제 몫의 아름다움을 피워내는 이 무명인(無名人)의 상징이 카네이션의 조상이라는 걸 알고는 슬며시 놀라는 사람도 제법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