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시] 윤동주 시집 원래 제목은 ‘병원’이었다
입력
수정
병원
윤동주
살구나무 그늘로 얼굴을 가리고 병원 뒤뜰에 누워, 젊은 여자가 흰옷 아래로 하얀 다리를 드러내놓고 일광욕을 한다. 한나절이 기울도록 가슴을 앓는다는 이 여자를 찾아오는 이, 나비 한 마리도 없다. 슬프지도 않은 살구나무 가지에는 바람조차 없다.
나도 모를 아픔을 오래 참다 처음으로 이곳에 찾아왔다. 그러나 나의 늙은 의사는 젊은이의 병을 모른다. 나한테는 병이 없다고 한다. 이 지나친 시련, 이 지나친 피로, 나는 성내서는 안 된다.여자는 자리에서 일어나 옷깃을 여미고 화단에서 금잔화 한 포기를 따 가슴에 꽂고 병실 안으로 사라진다. 나는 그 여자의 건강이 ― 아니 내 건강도 속히 회복되기를 바라며 그가 누웠던 자리에 누워 본다.
윤동주가 처음 준비한 시집의 제목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아니라 ‘병원’이었다. 아픈 시대 상황을 함축적으로 담아낸 제목이었으나, 우여곡절 끝에 아홉 자의 긴 제목으로 바뀌게 됐다.연희전문 4학년 때인 1941년, 윤동주는 19편을 묶은 시집을 내려고 했다. 먼저 필사본 3부를 만들어 한 부는 자기가 갖고, 나머지는 스승인 이양하 교수(영문학, 수필가)와 가장 가까운 후배 정병욱에게 줬다.
“동주는 자선 시집을 만들어 졸업 기념으로 출판을 계획했다. ‘서시’까지 붙여서 친필로 쓴 원고를 손수 제본을 한 다음 그 한 부를 내게다 주면서 시집의 제목이 길어진 이유를 ‘서시’를 보이면서 설명해 주었다. 그리고 처음에는(‘서시’가 완성되기 전) 시집 이름을 ‘병원’으로 붙일까 했다면서 표지에 연필로 ‘병원’이라고 써넣어 주었다. 그 이유는 지금 세상은 온통 환자투성이기 때문이라 하였다. 그리고 병원이란 앓는 사람을 고치는 곳이기 때문에 혹시 앓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르지 않겠느냐고 겸손하게 말했던 것을 기억한다.”(정병욱, ‘잊지 못할 윤동주의 일들’)
동주는 당시의 시대 상황을 병원으로 상징했다. 폐결핵 환자인 젊은 여자는 ‘찾아오는 이’ 하나 없는 외로운 존재다. 나도 ‘아픔을 오래 참다’ 이곳에 왔지만 ‘늙은 의사’는 병명을 모른다. 그는 시대적 고통을 알지 못한다. 나는 ‘금잔화 한 포기를 따 가슴에 꽂고 병실 안으로 사라진’ 여자가 누웠던 자리에 누워 본다. 여자와 나의 건강이 속히 회복되기를 기원하면서. 절망 속에서 희망을 꿈꾸는 동일시(同一視)의 메타포다.어떤 이는 윤동주의 ‘병원’을 토머스 브라운과 보들레르, 체호프와 릴케에 연결시킨다. 이들은 ‘세계가 병원이며 우리는 이해받지 못하는 환자’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으니 그럴 만하다. 릴케의 ‘말테의 수기’에서도 근대도시는 병원인 것처럼 그려져 있다.그래도 동주의 병원은 건강하게 읽힌다. 환자가 젊은 여성인 데다 젊은 ‘나’ 역시 ‘우리’가 속히 회복되기를 기원하고 있지 않은가.
그러나 시집은 출간되지 못했다. 이양하 교수가 출판을 보류하는 것이 좋겠다고 조언했다. ‘십자가’ ‘슬픈 족속’ ‘또 다른 고향’ 같은 작품이 일제의 검열에 통과될 수 없을 뿐더러 동주의 신변에 위협이 따를 것이니 때를 기다리라고 했다.
출판을 단념한 동주는 졸업 직후 용정으로 귀향해 시집을 내려 애썼지만 그곳에서도 사정은 여의치 않았다. 동생 윤혜원은 “오빠가 300원만 있으면 되는데…하며 안타까워했다”고 훗날 말했다. 10세 아래 동생 윤일주도 “아버지께서 출판해줄 의향이 있었으나 모든 여건이 허락되지 않았다”고 했다. 결국 사후 3년이 지나서야 유고시집이 나왔다.
윤동주
살구나무 그늘로 얼굴을 가리고 병원 뒤뜰에 누워, 젊은 여자가 흰옷 아래로 하얀 다리를 드러내놓고 일광욕을 한다. 한나절이 기울도록 가슴을 앓는다는 이 여자를 찾아오는 이, 나비 한 마리도 없다. 슬프지도 않은 살구나무 가지에는 바람조차 없다.
나도 모를 아픔을 오래 참다 처음으로 이곳에 찾아왔다. 그러나 나의 늙은 의사는 젊은이의 병을 모른다. 나한테는 병이 없다고 한다. 이 지나친 시련, 이 지나친 피로, 나는 성내서는 안 된다.여자는 자리에서 일어나 옷깃을 여미고 화단에서 금잔화 한 포기를 따 가슴에 꽂고 병실 안으로 사라진다. 나는 그 여자의 건강이 ― 아니 내 건강도 속히 회복되기를 바라며 그가 누웠던 자리에 누워 본다.
윤동주가 처음 준비한 시집의 제목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아니라 ‘병원’이었다. 아픈 시대 상황을 함축적으로 담아낸 제목이었으나, 우여곡절 끝에 아홉 자의 긴 제목으로 바뀌게 됐다.연희전문 4학년 때인 1941년, 윤동주는 19편을 묶은 시집을 내려고 했다. 먼저 필사본 3부를 만들어 한 부는 자기가 갖고, 나머지는 스승인 이양하 교수(영문학, 수필가)와 가장 가까운 후배 정병욱에게 줬다.
“동주는 자선 시집을 만들어 졸업 기념으로 출판을 계획했다. ‘서시’까지 붙여서 친필로 쓴 원고를 손수 제본을 한 다음 그 한 부를 내게다 주면서 시집의 제목이 길어진 이유를 ‘서시’를 보이면서 설명해 주었다. 그리고 처음에는(‘서시’가 완성되기 전) 시집 이름을 ‘병원’으로 붙일까 했다면서 표지에 연필로 ‘병원’이라고 써넣어 주었다. 그 이유는 지금 세상은 온통 환자투성이기 때문이라 하였다. 그리고 병원이란 앓는 사람을 고치는 곳이기 때문에 혹시 앓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르지 않겠느냐고 겸손하게 말했던 것을 기억한다.”(정병욱, ‘잊지 못할 윤동주의 일들’)
동주는 당시의 시대 상황을 병원으로 상징했다. 폐결핵 환자인 젊은 여자는 ‘찾아오는 이’ 하나 없는 외로운 존재다. 나도 ‘아픔을 오래 참다’ 이곳에 왔지만 ‘늙은 의사’는 병명을 모른다. 그는 시대적 고통을 알지 못한다. 나는 ‘금잔화 한 포기를 따 가슴에 꽂고 병실 안으로 사라진’ 여자가 누웠던 자리에 누워 본다. 여자와 나의 건강이 속히 회복되기를 기원하면서. 절망 속에서 희망을 꿈꾸는 동일시(同一視)의 메타포다.어떤 이는 윤동주의 ‘병원’을 토머스 브라운과 보들레르, 체호프와 릴케에 연결시킨다. 이들은 ‘세계가 병원이며 우리는 이해받지 못하는 환자’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으니 그럴 만하다. 릴케의 ‘말테의 수기’에서도 근대도시는 병원인 것처럼 그려져 있다.그래도 동주의 병원은 건강하게 읽힌다. 환자가 젊은 여성인 데다 젊은 ‘나’ 역시 ‘우리’가 속히 회복되기를 기원하고 있지 않은가.
그러나 시집은 출간되지 못했다. 이양하 교수가 출판을 보류하는 것이 좋겠다고 조언했다. ‘십자가’ ‘슬픈 족속’ ‘또 다른 고향’ 같은 작품이 일제의 검열에 통과될 수 없을 뿐더러 동주의 신변에 위협이 따를 것이니 때를 기다리라고 했다.
출판을 단념한 동주는 졸업 직후 용정으로 귀향해 시집을 내려 애썼지만 그곳에서도 사정은 여의치 않았다. 동생 윤혜원은 “오빠가 300원만 있으면 되는데…하며 안타까워했다”고 훗날 말했다. 10세 아래 동생 윤일주도 “아버지께서 출판해줄 의향이 있었으나 모든 여건이 허락되지 않았다”고 했다. 결국 사후 3년이 지나서야 유고시집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