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시, 한시로 만나다] 계란을 생각하며, 유안진
입력
수정
계란을 생각하며
유안진밤중에 일어나 멍하니 앉아 있다
남이 나를 헤아리면 비판이 되지만
내가 나를 헤아리면 성찰이 되지
남이 터뜨려 주면 프라이감이 되지만
나 스스로 터뜨리면 병아리가 되지환골탈태(換骨奪胎)는 그런 거겠지
【태헌의 한역】
思鷄卵(사계란)
夜起佇坐顧形影(야기저좌고형영)
他人料吾是批判(타인료오시비판)
吾人料吾卽察省(오인료오즉찰성)他人破卵爲煎蛋(타인파란위전단)
吾人自啐作鷄雛(오인자줄작계추)
換骨奪胎也應然(환골탈태야응연)
[주석]
* 思鷄卵(사계란) : 계란을 생각하다.
夜起(야기) : 밤에 일어나다. / 佇坐(저좌) : 우두커니 앉다, 멍하니 앉다. / 顧形影(고형영) : 내 몸을 돌아보다. ‘形影’은 형체(形體)와 그림자, 곧 내 몸이라는 뜻이다.
他人(타인) : 다른 사람. / 料吾(요오) : 나를 헤아리다. / 是(시) : ~이다. / 批判(비판) : 비판하다, 비판.
吾人(오인) : 나. / 卽(즉) : 즉, 곧, 바로 ~이다. / 察省(찰성) : 성찰(省察).
破卵(파란) : 알을 깨다, 계란을 깨다. / 爲(위) : ~이 되다, ~이다. / 煎蛋(전단) : 계란 프라이.
自啐(자줄) : 스스로 (껍질을) 빨다, 스스로 깨뜨리다. ‘啐’자와 관련해서는 ‘줄탁동시(啐啄同時)’라는 사자 성어를 찾아보기 바람. / 作(작) : ~이 되다, ~이다. / 鷄雛(계추) : 병아리.
換骨奪胎(환골탈태) : 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으로, 고인(古人)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이다. 남송(南宋)의 승려 혜홍(惠洪)의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얼굴이 변해 전보다 아름답게 되었거나, 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되었을 때 쓰기도 한다. / 也(야) : 주어나 목적어[빈어] 뒤에 쓰여 앞말을 강조하는 조사(助詞). / 應(응) : 응당. / 然(연) : 그러하다, 그렇다.
[직역]
계란을 생각하며밤중에 일어나 멍하니 앉아 내 몸 돌아보나니
남이 나를 헤아리면 비판이 되지만
내가 나를 헤아리면 성찰이 되지
남이 계란을 깨면 계란 프라이가 되지만
나 스스로가 깨뜨리면 병아리가 되지
환골탈태(換骨奪胎)는 응당 그런 거겠지
[漢譯 노트]
원숙한 통찰과 명징(明澄)한 혜안을 보여주는 유안진 선생의 이 시는 제1연이 1행, 제2연과 제3연이 각각 2행, 그리고 제4연이 1행으로 구성된 6행시이지만, 역자는 한역(漢譯)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두 단락 각 3구로 재구성하였다.
지난번에 얘기한 <대풍가(大風歌)>와 같은 3구시의 예로는 전문가들에게도 생소한 <화산기(華山畿)>라는 제목의 25수로 구성된 연작시를 들 수 있는데, 정확하게 말하자면 이 가운데 두 수는 3구시가 아니다. 이 연작시를 보면 3구시의 압운법은 두 가지가 일반적임을 알 수 있다. 곧 <대풍가>처럼 매구에 압운하는 방식과 홀수 구인 제1구와 제3구에 압운하는 방식이 바로 그것이다.
역자는 이 시를 한역하면서 홀수 구인 제1구와 제3구에 압운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므로 이 시의 압운자는 첫 째 단락의 ‘影(영)’과 ‘省(성)’, 둘 째 단락의 ‘蛋(단)’과 ‘然(연)’이 된다. 한역시의 ‘顧形影(고형영)’은 ‘내 몸을 돌아본다’는 뜻인데 시의 내용과 압운을 고려하여 원시에는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역자는 이럴 때가 원시를 쓴 시인에게 가장 송구스럽다. 모쪼록 군더더기가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 더없이 간절하다.
2019. 8. 6.
강성위 한경닷컴 칼럼니스트
유안진밤중에 일어나 멍하니 앉아 있다
남이 나를 헤아리면 비판이 되지만
내가 나를 헤아리면 성찰이 되지
남이 터뜨려 주면 프라이감이 되지만
나 스스로 터뜨리면 병아리가 되지환골탈태(換骨奪胎)는 그런 거겠지
【태헌의 한역】
思鷄卵(사계란)
夜起佇坐顧形影(야기저좌고형영)
他人料吾是批判(타인료오시비판)
吾人料吾卽察省(오인료오즉찰성)他人破卵爲煎蛋(타인파란위전단)
吾人自啐作鷄雛(오인자줄작계추)
換骨奪胎也應然(환골탈태야응연)
[주석]
* 思鷄卵(사계란) : 계란을 생각하다.
夜起(야기) : 밤에 일어나다. / 佇坐(저좌) : 우두커니 앉다, 멍하니 앉다. / 顧形影(고형영) : 내 몸을 돌아보다. ‘形影’은 형체(形體)와 그림자, 곧 내 몸이라는 뜻이다.
他人(타인) : 다른 사람. / 料吾(요오) : 나를 헤아리다. / 是(시) : ~이다. / 批判(비판) : 비판하다, 비판.
吾人(오인) : 나. / 卽(즉) : 즉, 곧, 바로 ~이다. / 察省(찰성) : 성찰(省察).
破卵(파란) : 알을 깨다, 계란을 깨다. / 爲(위) : ~이 되다, ~이다. / 煎蛋(전단) : 계란 프라이.
自啐(자줄) : 스스로 (껍질을) 빨다, 스스로 깨뜨리다. ‘啐’자와 관련해서는 ‘줄탁동시(啐啄同時)’라는 사자 성어를 찾아보기 바람. / 作(작) : ~이 되다, ~이다. / 鷄雛(계추) : 병아리.
換骨奪胎(환골탈태) : 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으로, 고인(古人)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이다. 남송(南宋)의 승려 혜홍(惠洪)의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얼굴이 변해 전보다 아름답게 되었거나, 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되었을 때 쓰기도 한다. / 也(야) : 주어나 목적어[빈어] 뒤에 쓰여 앞말을 강조하는 조사(助詞). / 應(응) : 응당. / 然(연) : 그러하다, 그렇다.
[직역]
계란을 생각하며밤중에 일어나 멍하니 앉아 내 몸 돌아보나니
남이 나를 헤아리면 비판이 되지만
내가 나를 헤아리면 성찰이 되지
남이 계란을 깨면 계란 프라이가 되지만
나 스스로가 깨뜨리면 병아리가 되지
환골탈태(換骨奪胎)는 응당 그런 거겠지
[漢譯 노트]
원숙한 통찰과 명징(明澄)한 혜안을 보여주는 유안진 선생의 이 시는 제1연이 1행, 제2연과 제3연이 각각 2행, 그리고 제4연이 1행으로 구성된 6행시이지만, 역자는 한역(漢譯)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두 단락 각 3구로 재구성하였다.
지난번에 얘기한 <대풍가(大風歌)>와 같은 3구시의 예로는 전문가들에게도 생소한 <화산기(華山畿)>라는 제목의 25수로 구성된 연작시를 들 수 있는데, 정확하게 말하자면 이 가운데 두 수는 3구시가 아니다. 이 연작시를 보면 3구시의 압운법은 두 가지가 일반적임을 알 수 있다. 곧 <대풍가>처럼 매구에 압운하는 방식과 홀수 구인 제1구와 제3구에 압운하는 방식이 바로 그것이다.
역자는 이 시를 한역하면서 홀수 구인 제1구와 제3구에 압운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므로 이 시의 압운자는 첫 째 단락의 ‘影(영)’과 ‘省(성)’, 둘 째 단락의 ‘蛋(단)’과 ‘然(연)’이 된다. 한역시의 ‘顧形影(고형영)’은 ‘내 몸을 돌아본다’는 뜻인데 시의 내용과 압운을 고려하여 원시에는 없는 말을 역자가 임의로 보탠 것이다. 역자는 이럴 때가 원시를 쓴 시인에게 가장 송구스럽다. 모쪼록 군더더기가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 더없이 간절하다.
2019. 8. 6.
강성위 한경닷컴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