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첫 日위안소 '다이살롱'에 위안부 역사관 만들자"

한중 학자들, 상하이 '다이살롱' 활용 방안으로 제안
상하이 2017년 '위안부 진열관' 추진했지만 중일관계 개선 속 무산
일본군의 첫 위안소인 중국 상하이(上海) '다이살롱'(大一沙龍) 건물이 재개발 후에도 보전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힌 가운데 역사학자들이 이 건물을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세계 시민들에게 널리 알리는 역사 교육의 장소로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중국의 위안부 문제 전문가인 쑤즈량(蘇智良) 상하이사범대 교수는 24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다이살롱' 건물에 '위안부 역사관'을 만들어 옛 일본의 침략과 폭력을 규탄하고 세계 평화 수호의 중요성을 알리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쑤 교수는 상하이 훙커우(虹口)구에 있던 다이살롱이 일본군이 세계 최초로 운영한 위안소라는 사실을 밝힌 이후로 평생을 위안부 문제 연구에 천착해온 학자다.

그는 "다이살롱 위안소는 1932년부터 1945년까지 14년 장기간 운영되면서 많은 중국, 한국, 일본 여성들이 피해를 겪은 역사적 증거물"이라며 "악명 높은 일본군 성노예 제도가 여기서 시작됐다는 점에서 이 유적을 보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일제강점기 해외 사적지 전문가인 김주용 원광대 교수도 다이살롱 건물을 더욱 의미 있게 활용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김 교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는 어느 한 국가나 민족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관련된 공간과 기록을 보전할 국제적 연대가 절실하다"며 "중국 당국이 최종적으로 결정할 권한을 가진 문제지만 다이살롱 건물을 위안부 역사관, 나아가 국제 연구 센터 같은 공간으로 활용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처럼 오랜 기간 형성된 국제사회의 공동 인식을 무너뜨리려는 '수정주의' 세력이 존재하는 한 위안부 문제를 더욱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역사적 사실을 다질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서 다이살롱처럼 중요한 역사적 공간을 더욱 잘 보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김 교수는 "램지어처럼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려는 이들을 반박하는 데 중요한 두 가지가 사람의 증언과 당시의 공간"이라며 "공간이 사라져버리면 기록의 힘도 자연스럽게 약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학계에서는 일대 재개발로 주민들이 보상을 받은 뒤 다른 곳으로 이주할 예정이어서 건물 내부를 옛 모습에 가깝게 복원한 뒤 위안부 역사관 같은 시설을 만드는 오히려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기대한다.

이 건물의 외형과 기본 구조는 옛 다이살롱 시절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다이살롱 건물 일대 재개발이 진행 중이지만 현지 문화재 당국은 다이살롱 건물 철거를 원칙적으로 불허한다는 입장을 천명한 상태다.

상하이시 훙커우(虹口)구 문화재 당국은 23일 연합뉴스의 질의에 "다이살롱 건물은 2017년 구 문화재로 지정됐다"며 "문화재보호법 등에 관련 규정에 따라 허가를 없이 해당 문화재를 함부로 이동하거나 철거하는 것을 절대로 허락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과거 중국에서 이 건물을 일본군의 전쟁 범죄를 고발하는 장소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없던 것은 아니었다.

훙커우구 정부는 지난 2017년 역사 전문가들을 초청해 공개 좌담회를 열어 다이살롱 건물에 '위안부 진열관'을 설치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추진했다.

하지만 2018년부터 중국과 일본이 본격적인 외교 관계 개선기에 들어가면서 '위안부 진열관' 설립 움직임은 멈춰 섰다.

중일 관계는 2012년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 영유권 분쟁 이후 장기간 냉각됐다.

그러나 2018년 아베 신조(安倍晋三) 당시 총리의 방중을 계기로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들어갔다.

이에 중국 정부는 위안부 이슈가 양국 관계 회복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인식에 따라 자국 내에서 이 문제가 부각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모습을 보였다.

일례로 중국 외교부는 2018년 8월 상하이에서 열릴 예정이던 대형 위안부 문제 국제 학술행사를 취소하도록 주최 측인 중국위안부연구센터에 요구하기도 했다.

다만 최근 들어서는 미중 신냉전 속에서 일본이 '반중 연대' 성격이 강한 쿼드(Quad·4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미국과 긴밀히 보조를 맞추자 중국은 일본에 강한 불만을 표출하면서 양국 간 파열음이 다시 커지는 형국이다.

따라서 중국에서 학계나 민간 중심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조명하는 데 있어 최근 수년과 같은 외부 환경의 제약은 사라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과 더불어 위안부 피해자가 많은 나라인 중국에서는 현재 난징(南京)과 상하이 두 도시에 각각 위안부 역사관 성격의 시설이 있다.

지난 2015년 난징에는 일본군이 운영하던 옛 대형 위안소 건물에 '리지샹(利濟巷) 위안소 옛터 진열관'이 문을 열었다.

또 중국 내 위안부 문제 연구를 주도하는 상하이사범대 교정에도 쑤 교수가 소장으로 있는 중국위안부문제연구센터가 운영하는 '위안부 역사 박물관'이 있다.

특히 상하이 '위안부 역사 박물관' 앞뜰에는 한중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이 나란히 서 있다.
다만 상하이의 위안부 박물관은 일반인 출입이 자유롭지 못한 대학 교정에 있어 향후 다이살롱 건물이 위안부 역사관으로 활용될 수 있다면 이곳으로 통합돼 운영될 가능성도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