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코로나 이후 디지털 일상화에 대응해야 생산성↑"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떨어진 생산성을 높이려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미리 대응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은 경제연구원의 정선영 부연구위원과 이솔빈 조사역은 25일 '우리나라의 생산성 둔화요인과 개선방안' 보고서(BOK 이슈노트)에서 이렇게 밝혔다. 생산성은 투입 중심의 성장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빠른 기술 발전으로 경제구조가 변화하는 현 상황에서 더 주목받는 경제지표라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한은에 따르면 한국의 연평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세계금융위기 이전(2000∼2007년) 5.0%에서 위기 이후(2010∼2019년) 2.9%로 내렸다.
연구진은 "코로나19 이후 교역·산업구조 변화와 노동, 자본 등 투입 요소 부진으로 잠재 성장률 하방 압력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극복하려면 생산성 개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충격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양면적이라고 분석했다.

코로나19가 소비·투자 위축 등 기존 생산성 둔화요인을 악화시키고 있지만, 동시에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속도가 붙으면서 둔화요인들을 극복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특히 디지털 인프라(기반 시설) 구축을 위한 민관의 투자가 대폭 확대되고, 디지털 기술에 기반을 둔 새로운 형태의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신규 소비가 창출되면서 투자·소비에서 모두 수요 부진이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연구진은 "포스트(後) 코로나 시대에 생산성을 확충하려면 기존의 구조적인 생산성 둔화요인들을 개선하는 동시에 현재의 코로나19 충격을 최소화하고 디지털 환경이 일상화하는 '뉴노멀'(새로운 기준)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또 "정부는 시장조성자 역할에 중점을 두면서 디지털 인프라 고도화, 기업 간 경쟁적 협력 촉진 등을 통해 디지털경제가 선순환하는 혁신적 시장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정보 취약계층이 소외되지 않도록 디지털 이용역량 강화 등을 통해 디지털 격차를 줄이려는 노력도 동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