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두현의 아침 시편] 꽃필 차례가 바로 그대 앞에 있다
입력
수정
그대 앞에 봄이 있다
김종해
우리 살아가는 일 속에
파도치는 날 바람 부는 날이
어디 한두 번이랴
그런 날은 조용히 닻을 내리고
오늘 일을 잠시라도
낮은 곳에 묻어두어야 한다
우리 사랑하는 일 또한 그 같아서
파도치는 날 바람 부는 날은
높은 파도를 타지 않고
낮게 낮게 밀물져야 한다
사랑하는 이여
상처받지 않은 사랑이 어디 있으랴
추운 겨울 다 지내고
꽃필 차례가 바로 그대 앞에 있다
김종해 시인: 1941년 부산 출생. 1963년 '자유문학' 신인상, 196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으로 등단. 시집 『인간의 악기』, 『신의 열쇠』, 『항해일지』, 『바람 부는 날은 지하철을 타고』, 『풀』, 『봄꿈을 꾸며』, 『눈송이는 나의 각을 지운다』, 『늦저녁의 버스킹』 등 출간. 한국시협상, 공초문학상, PEN문학상 등 수상.
------------------------------------------------------------------
한때 메가박스 전국 367개 극장에서 하루 평균 2200여 회(상영관당 하루 6회) 관객들과 만났던 시다. 영화 상영 직전에 화면 자막으로 소개되면서 온라인 검색창을 연일 달궜다.
이 시는 극장에서 활자와 영상의 멋진 하모니를 보여줬다. 메가박스가 광고 시간의 일부를 공익용으로 활용하는 ‘아름다운 세상 만들기’ 캠페인을 펼친 덕분에 주요 관객인 20~30대가 시의 향기에 푹 빠질 수 있었다. 극장 밖에서는 제주 우도와 전남 완도 타워, 서울 북한산 둘레길, 지하철역 스크린도어 등에서 수많은 독자들과 만났다. 이안삼 작곡의 성악으로도 큰 인기를 끌었다.
시의 내용처럼 우리 삶에는 파도치고 바람 부는 날이 많다. 그럴 때 시인은 ‘조용히 닻을 내리고/ 오늘 일을 잠시라도/ 낮은 곳에 묻어두어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 사랑도 그와 같으므로 ‘파도치는 날 바람 부는 날은/ 높은 파도를 타지 않고/ 낮게 낮게 밀물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러면서 ‘사랑하는 이여/ 상처받지 않은 사랑이 어디 있으랴/ 추운 겨울 다 지내고/ 꽃필 차례가 바로 그대 앞에 있다’며 우리를 위로하고 격려한다. 이 마지막 부분이 시의 백미다. 시인은 ‘파도’와 ‘바람’ ‘겨울’로 상징되는 인생의 고난을 ‘상처 받은 사랑’으로 치환하면서 ‘꽃필 차례가 바로 그대 앞에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함께 전한다. 그 희망의 상징이 곧 봄이다.
‘봄꿈을 꾸며’라는 시에서도 봄을 기다리는 이유를 ‘살구꽃, 산수유, 복사꽃잎 눈부시게/ 눈처럼 바람에 날리는 봄날이/ 언덕 너머 있기 때문’이라며 ‘한평생 살아온 세상의 봄꿈이 언덕 너머 있어/ 기다리는 동안/ 세상은 행복했었노라’라고 노래한다.
김종해 시인은 동생 김종철 시인과 더불어 ‘형제 시인’으로 불린다. 여섯 살 아래의 김종철 시인(2014년 작고)은 1968년 한국일보와 197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뒤 출판사 ‘문학수첩’을 설립하고 시 계간지 '시인수첩'을 창간했다. 출판사 ‘문학세계’와 시 계간지 '시인세계' 발행인인 형에 이어 두 사람 모두 한국시인협회장까지 지낸 이력이 남다르다. 김종해 시인의 큰아들 김요일은 시인, 작은아들 김요안은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니 대를 잇는 문인 가족이기도 하다.
올해 팔순을 맞은 시인은 얼마 전 열두 번째 시집 『늦저녁의 버스킹』을 펴내며 “사람의 몸이 온갖 감정과 영혼을 담은 악기(樂器)”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일깨워줬다.
그의 시에는 오랜 경륜과 깊은 사색의 결실이 담겨 있다. 다음 시 한 편도 빼놓을 수 없는 절창이다.
‘하늘에 길이 있다는 것을/ 새들이 먼저 안다/ 하늘에 길을 내며 날던 새는/ 길을 또한 지운다/ 새들이 하늘 높이 길을 내지 않는 것은/ 그 위에 별들이 가는 길이 있기 때문이다’(‘새는 자기 길을 안다’ 전문)
하늘에 난 길은 눈에 보이지 않고 흔적도 없다. 그 길은 창공에 번뜩이는 찰나의 직선이자 영원의 곡선이다. 미지의 공간에 새들이 길을 내고 스스로 지우는 것은 ‘그 위에 별들이 가는 길이 있기 때문’이요, 우주의 여백에 새 길을 다시 내기 위한 까닭이다. 그 신생의 길에서 또 다른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순간, 우리는 별을 물고 날아오르는 한 마리 새처럼 순백의 도화지에 새로운 선을 긋는 꿈의 날개가 되기도 한다.
■ 고두현 시인·한국경제 논설위원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
김종해
우리 살아가는 일 속에
파도치는 날 바람 부는 날이
어디 한두 번이랴
그런 날은 조용히 닻을 내리고
오늘 일을 잠시라도
낮은 곳에 묻어두어야 한다
우리 사랑하는 일 또한 그 같아서
파도치는 날 바람 부는 날은
높은 파도를 타지 않고
낮게 낮게 밀물져야 한다
사랑하는 이여
상처받지 않은 사랑이 어디 있으랴
추운 겨울 다 지내고
꽃필 차례가 바로 그대 앞에 있다
김종해 시인: 1941년 부산 출생. 1963년 '자유문학' 신인상, 196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으로 등단. 시집 『인간의 악기』, 『신의 열쇠』, 『항해일지』, 『바람 부는 날은 지하철을 타고』, 『풀』, 『봄꿈을 꾸며』, 『눈송이는 나의 각을 지운다』, 『늦저녁의 버스킹』 등 출간. 한국시협상, 공초문학상, PEN문학상 등 수상.
------------------------------------------------------------------
한때 메가박스 전국 367개 극장에서 하루 평균 2200여 회(상영관당 하루 6회) 관객들과 만났던 시다. 영화 상영 직전에 화면 자막으로 소개되면서 온라인 검색창을 연일 달궜다.
이 시는 극장에서 활자와 영상의 멋진 하모니를 보여줬다. 메가박스가 광고 시간의 일부를 공익용으로 활용하는 ‘아름다운 세상 만들기’ 캠페인을 펼친 덕분에 주요 관객인 20~30대가 시의 향기에 푹 빠질 수 있었다. 극장 밖에서는 제주 우도와 전남 완도 타워, 서울 북한산 둘레길, 지하철역 스크린도어 등에서 수많은 독자들과 만났다. 이안삼 작곡의 성악으로도 큰 인기를 끌었다.
시의 내용처럼 우리 삶에는 파도치고 바람 부는 날이 많다. 그럴 때 시인은 ‘조용히 닻을 내리고/ 오늘 일을 잠시라도/ 낮은 곳에 묻어두어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 사랑도 그와 같으므로 ‘파도치는 날 바람 부는 날은/ 높은 파도를 타지 않고/ 낮게 낮게 밀물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러면서 ‘사랑하는 이여/ 상처받지 않은 사랑이 어디 있으랴/ 추운 겨울 다 지내고/ 꽃필 차례가 바로 그대 앞에 있다’며 우리를 위로하고 격려한다. 이 마지막 부분이 시의 백미다. 시인은 ‘파도’와 ‘바람’ ‘겨울’로 상징되는 인생의 고난을 ‘상처 받은 사랑’으로 치환하면서 ‘꽃필 차례가 바로 그대 앞에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함께 전한다. 그 희망의 상징이 곧 봄이다.
‘봄꿈을 꾸며’라는 시에서도 봄을 기다리는 이유를 ‘살구꽃, 산수유, 복사꽃잎 눈부시게/ 눈처럼 바람에 날리는 봄날이/ 언덕 너머 있기 때문’이라며 ‘한평생 살아온 세상의 봄꿈이 언덕 너머 있어/ 기다리는 동안/ 세상은 행복했었노라’라고 노래한다.
김종해 시인은 동생 김종철 시인과 더불어 ‘형제 시인’으로 불린다. 여섯 살 아래의 김종철 시인(2014년 작고)은 1968년 한국일보와 197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뒤 출판사 ‘문학수첩’을 설립하고 시 계간지 '시인수첩'을 창간했다. 출판사 ‘문학세계’와 시 계간지 '시인세계' 발행인인 형에 이어 두 사람 모두 한국시인협회장까지 지낸 이력이 남다르다. 김종해 시인의 큰아들 김요일은 시인, 작은아들 김요안은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니 대를 잇는 문인 가족이기도 하다.
올해 팔순을 맞은 시인은 얼마 전 열두 번째 시집 『늦저녁의 버스킹』을 펴내며 “사람의 몸이 온갖 감정과 영혼을 담은 악기(樂器)”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일깨워줬다.
그의 시에는 오랜 경륜과 깊은 사색의 결실이 담겨 있다. 다음 시 한 편도 빼놓을 수 없는 절창이다.
‘하늘에 길이 있다는 것을/ 새들이 먼저 안다/ 하늘에 길을 내며 날던 새는/ 길을 또한 지운다/ 새들이 하늘 높이 길을 내지 않는 것은/ 그 위에 별들이 가는 길이 있기 때문이다’(‘새는 자기 길을 안다’ 전문)
하늘에 난 길은 눈에 보이지 않고 흔적도 없다. 그 길은 창공에 번뜩이는 찰나의 직선이자 영원의 곡선이다. 미지의 공간에 새들이 길을 내고 스스로 지우는 것은 ‘그 위에 별들이 가는 길이 있기 때문’이요, 우주의 여백에 새 길을 다시 내기 위한 까닭이다. 그 신생의 길에서 또 다른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순간, 우리는 별을 물고 날아오르는 한 마리 새처럼 순백의 도화지에 새로운 선을 긋는 꿈의 날개가 되기도 한다.
■ 고두현 시인·한국경제 논설위원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