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미 장기금리 상승, 한국 경기불안 가능성 키워"

최근 미국 장기 금리의 상승이 국내 금융시장에 충격을 주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서 회복 중인 실물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5일 '한·미 통화정책 비교: 금융위기 vs 코로나19'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미국 장기 금리 상승은 궁극적으로 국내 장기금리와 원달러 환율, 위험프리미엄을 끌어올려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확대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더해 외국인 투자 등 해외자본 유출을 가속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컸다.

또 미 장기금리 상승효과가 금융시장의 경로를 통해 실물시장으로 전이되면서 국내 총생산과 투자 등 주요 거시 변수의 위축도 유발할 것으로 전망됐다. 백신 보급 등의 호재에도 꾸물거리고 있는 국내 경기회복이 더욱 지연될 수 있다고 한경연은 지적했다.

한경연은 향후 한국의 통화정책이 기준금리 중심의 단기금리 타겟팅 정책에서 벗어나 장기금리의 안정화 관리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재정정책에 편중된 경기부양을 펼쳐왔던 것을 고려하면 통화정책의 유효성 제고를 위해서라도 재정지출의 무리한 확대를 경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주가지수 급락 등 자산 가격 하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경제위기 과정에서 늘어난 경제주체의 자금조달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장기금리를 하향 안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