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경찰 전화에도 '보이스피싱 의심'…공공기관 골치
입력
수정
지면A35
KT '발신정보알리미' 서비스까지 등장‘□□경찰서입니다’라는 전화를 걸면 어김없이 ‘딸칵’ 하고 전화가 끊어진다. 서울의 한 경찰서에서 근무하는 A씨의 일상이다. 수사에 필요한 정보를 물어보기 위한 전화여도 “보이스피싱 아니냐”는 의심을 받는다. 욕설을 내뱉는 이들도 많다. 경찰이나 검찰 수사관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 수법이 확산되면서 나타난 풍경이다.
"경찰청·금감원 등 도입 검토"
25일 경찰과 정보기술(IT)업계 등에 따르면 서울금천경찰서, 부산금정경찰서, 광주고등지방법원 등 아홉 곳은 최근 KT의 ‘발신정보 알리미’ 서비스를 도입했다.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 범죄가 늘어 실제 업무에 필요한 전화까지 ‘불발’되는 사례가 많아지자 마련한 대안이다. 공공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범죄는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2만7515건에 달한다. 이 기간 피해액은 총 6936억원이다.KT의 발신정보 알리미는 각 정부기관이 불특정 다수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해당 기관의 이름’을 표시해준다. 발신회선을 KT의 지능망에서 인증해 가입 여부를 확인한 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이다. KT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집단이 인증을 변조할 수 없도록 3중 검증장치를 뒀다”며 “진짜 업무용 전화를 오해하는 사례가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청과 금융감독원도 이 같은 서비스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전화 불발 등으로 인한 시간 및 인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봐서다.
경찰 관계자는 “공공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계속 늘어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며 “이런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하는 상황이 씁쓸하지만 다른 방도가 없다”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