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의원활동 없이 '의원활동 경비' 받아간 장관들
입력
수정
국회의원 활동 안하는 장관 등 국무위원 겸직 의원들
20대~21대 국회에서 '의원활동 지원' 명목으로 6억3000만원 지급
"의원 활동 안하는데 왜 의원 활동 경비 지급받나"
그럼에도 ‘입법활동 지원· 국회내 사무실 운영·의원실 택시비 지급’ 등 의원 활동 및 보좌진 활동에 대한 세비가 그대로 지급되는 것은 제도 부실 혹은 의원의 도덕적 해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권명호 국민의힘 의원이 28일 국회 사무처로부터 제출받은 ‘국회의원·국무위원 겸직자에 대한 세비지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대~21대 국회 국회의원·국무의원 겸직자 18명에게 의원활동 지원 명목으로 총 6억 3000만원이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김 전 의원의 법안발의는 2017년 3월 ‘관세법 개정안’이 마지막이다. 겸직 기간 국정감사나 예산심의도 참여하지 않았다. 입법 활동 등 국회의원으로서의 활동이 없었음에도 경비를 지원받은 셈이다. 정책자료집 발간에 1070만원, 자료집 홍보에도 200만원을 사용했다. 2020년 7월부터 임기를 시작해 지금까지 현직인 이인영 통일부 장관 역시 마찬가지다. 겸직 기간인 8개월 남짓 동안 의원 활동 지원 경비로 총 3200만원이 지급됐다. 의원 정책 홍보 자료집 제작 700만원, 정책 자료 홍보 350만원, 보좌직원 식비 900만원, 의원실 택시비 지원 61만원 등이다. 의원 입법활동 지원으로도 38만원 지급됐다. 이 장관 역시 겸직기간 동안 법안을 1건도 발의하지 않았다. 현재 의원과 장관을 겸직하고 있는 현직 겸직자들 역시 경비를 받아갔다.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635만원), 박범계 법무부 장관(1288만원),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433만원),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210만원) 등이다.
20대 국회에서 국무위원을 겸직한 김부겸 전 행안부 장관(7683만원), 도종환 전 문체부장관(4626만원), 김영주 전 환경노동부 장관(4314만원), 진선미 전 여성가족부 장관(3741만원), 유은혜 교육부 장관(6558만원),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1153만원), 정세균 총리(1596만원) 등도 경비를 지급받은 바 있다.
권 의원은 “의원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 의원 활동 지원을 이유로 세비가 쓰이고 있는 건 명백한 세금낭비”라면서 “제도의 보완과 치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