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공공 R&D과제 민간기업이 주도한다
입력
수정
공공(정부) 연구개발(R&D) 사업을 대학과 연구소가 아닌 기업이 주도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30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30여 개 기업이 참여하는 '산업별 민간 R&D 협의체' 출범식을 열었다.민간 R&D 협의체는 탄소중립, 스마트센서 분야를 대표하는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가운데 선도기업군의 최고기술경영자(CTO) 등으로 구성된다. 탄소중립 분야에선 산업공정혁신, CCUS(탄소포집저장이용), 신재생에너지 3개 분과위원회를 가동한다. 각 분야별 협의체엔 전문위원회와 실무위원회를 두기로 했다. 협의체는 오는 9월까지 투자 방향 및 기술 확보 방안을 담은 의견서를 작성해 과기정통부에 제출한다.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는 이를 우선적으로 감안해 정부 R&D 자금을 배분할 방침이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차관)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파괴적 혁신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연구개발 투자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며 "정부 R&D 자금이 민간 혁신에 수반되는 위험과 불확실성을 부담하는 인내자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구자균 산업기술진흥협회 회장(LS일렉트릭 회장)은 "지금까지는 공공 R&D에 기업의 의견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민간 R&D 협의체 출범은)정책 수요자에 머물던 기업이 정책 방향 설정의 주역으로 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권오준 전 포스코 회장은 "공공 R&D로 개발된 기술은 시장과 괴리가 있을 수밖에 없는데, 민간 R&D 협의체가 이 괴리를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순 UNIST 이사장(전 두산 부회장)은 "30년 이상을 기업 최일선에 서서 각종 정부 위원회에 참석했지만 단편적 의견 개진에 머물러 늘 아쉬움이 있었다"며 "이번 협의체 성공 여부가 국가적으로 아주 중요하다"고 했다.
유진녕 엔젤식스플러스 대표(전 LG화학 사장)는 "시장의 요구를 이해하는 기업이 국가 기술혁신 정책 수립에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며 "기업들의 의견을 단발성으로 채택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민간 R&D협의체가 정부의 중요한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민간 R&D 협의체 기업 명단.<탄소중립 산업공정혁신분과>
동국제강, 쌍용C&E, 아세아시멘트, 포스코, 한일시멘트, 한화솔루션, 한화토탈, 현대제철, LG화학, SK이노베이션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분과>
두산중공업, 두산퓨얼셀, 롯데케미칼, 주성엔지니어링, 한국전력, 한화솔루션, 현대중공업, LG에너지솔루션, LS일렉트릭, LS전선, OCI
<탄소중립 CCUS 분과>
두산중공업, 디엘이앤씨, 롯데케미칼, GS칼텍스, 한국석유공사, 한국전력기술, 한국중부발전, 한화토탈, 현대오일뱅크, LG화학, KC코트렐, SK이노베이션<스마트센서>
삼성전자, 세종공업, 인지컨트롤스, 옵토레인, 코리포항, 현대모비스, 현대케피코, 휴이노, DB하이텍, KT, LG이노텍, LG전자, SK텔레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30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30여 개 기업이 참여하는 '산업별 민간 R&D 협의체' 출범식을 열었다.민간 R&D 협의체는 탄소중립, 스마트센서 분야를 대표하는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가운데 선도기업군의 최고기술경영자(CTO) 등으로 구성된다. 탄소중립 분야에선 산업공정혁신, CCUS(탄소포집저장이용), 신재생에너지 3개 분과위원회를 가동한다. 각 분야별 협의체엔 전문위원회와 실무위원회를 두기로 했다. 협의체는 오는 9월까지 투자 방향 및 기술 확보 방안을 담은 의견서를 작성해 과기정통부에 제출한다.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는 이를 우선적으로 감안해 정부 R&D 자금을 배분할 방침이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차관)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파괴적 혁신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연구개발 투자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며 "정부 R&D 자금이 민간 혁신에 수반되는 위험과 불확실성을 부담하는 인내자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구자균 산업기술진흥협회 회장(LS일렉트릭 회장)은 "지금까지는 공공 R&D에 기업의 의견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민간 R&D 협의체 출범은)정책 수요자에 머물던 기업이 정책 방향 설정의 주역으로 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권오준 전 포스코 회장은 "공공 R&D로 개발된 기술은 시장과 괴리가 있을 수밖에 없는데, 민간 R&D 협의체가 이 괴리를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순 UNIST 이사장(전 두산 부회장)은 "30년 이상을 기업 최일선에 서서 각종 정부 위원회에 참석했지만 단편적 의견 개진에 머물러 늘 아쉬움이 있었다"며 "이번 협의체 성공 여부가 국가적으로 아주 중요하다"고 했다.
유진녕 엔젤식스플러스 대표(전 LG화학 사장)는 "시장의 요구를 이해하는 기업이 국가 기술혁신 정책 수립에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며 "기업들의 의견을 단발성으로 채택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민간 R&D협의체가 정부의 중요한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민간 R&D 협의체 기업 명단.<탄소중립 산업공정혁신분과>
동국제강, 쌍용C&E, 아세아시멘트, 포스코, 한일시멘트, 한화솔루션, 한화토탈, 현대제철, LG화학, SK이노베이션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분과>
두산중공업, 두산퓨얼셀, 롯데케미칼, 주성엔지니어링, 한국전력, 한화솔루션, 현대중공업, LG에너지솔루션, LS일렉트릭, LS전선, OCI
<탄소중립 CCUS 분과>
두산중공업, 디엘이앤씨, 롯데케미칼, GS칼텍스, 한국석유공사, 한국전력기술, 한국중부발전, 한화토탈, 현대오일뱅크, LG화학, KC코트렐, SK이노베이션<스마트센서>
삼성전자, 세종공업, 인지컨트롤스, 옵토레인, 코리포항, 현대모비스, 현대케피코, 휴이노, DB하이텍, KT, LG이노텍, LG전자, SK텔레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