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전원 추첨'한 서울 자사고…올해는 정상 선발
입력
수정
봉사활동 실적은 제외

30일 서울교육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22학년도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자사고 입학전형은 예년과 마찬가지로 1단계 추첨선발 뒤 2단계 면접 전형으로 신입생을 선발한다.지난해는 코로나19 사태를 고려해 면접전형을 실시하지 않고 전원 추첨으로만 선발했다.
봉사활동 실적도 고입 성적에 반영하지 않는다. 고입을 앞둔 중3 학생이 1학년 당시 15시간 이상 봉사활동을 했다면, 2~3학년에 봉사활동 실적이 없어도 봉사활동 점수 만점(12점)을 받을 수 있다.
서울교육청은 지난해에도 코로나19 전파 차단을 위해 봉사시간을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고 봉사실적을 고입에서 제외한 바 있다.올해 고입은 예년과 같이 모집시기에 따라 전기고와 후기고로 나눠 진행한다. 전기고에 속하는 과학고,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영재학교, 예술계고는 오는 9~11월 원서를 받고, 12월 7일 추가모집 합격자 발표로 마무리된다.
전기고 지원 학생들은 서울과학고(영재학교)에 지원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1개 학교에만 지원할 수 있다. 전기고에 합격하면 후기고 지원은 불가능하다.
후기고에 속하는 일반고, 자사고, 외국어고, 국제고 등은 12월부터 원서를 받는다. 전기고와 달리 자사고, 외고, 국제고 지원자는 일반고에도 지원할 수 있다. 일반고는 고교선택제에 따라 1단계에선 서울 전역에서 2개교, 2단계에선 거주지 인근 2개교를 고를 수 있다. 이후 교육청이 학생 통학 여건 및 지망순위에 따라 전산 추첨해 배정한다.학교장이 학생을 선발하는 자사고, 외고, 국제고 등은 오는 4~8월 교육청의 승인을 얻어 9월 초 입학전형을 공고한다. 일반고 역시 9월 교육청이 학생 선발 계획을 공고할 예정이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