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 영향?…선진국 가계빚 줄어들 때 한국은 100% 육박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다른 국가에 비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선진국들이 가계부채를 줄이는 사이 한국만 큰 폭으로 부채가 늘었다. 부채의 절대 규모도 크고, 질도 좋지 않아 유동성 위기에 취약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조세재정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재정포럼 3월호에 실린 '국가별 총부채 및 부문별 부채의 변화추이와 비교' 자료를 보면 지난해 2분기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는 98.6%였다. 세계 평균인 63.7%, 선진국 평균인 75.3%보다 높은 수준이다.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추이를 보면 더욱 심각하다. 한국은 작년 2분기까지 약 12년간 가계부채 비율이 27.6%포인트 늘었다. 같은 기간 선진국의 부채비율은 0.9%포인트 감소했다. 전세계 평균으로는 3.7%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다.

부채의 질도 나쁘다. 한국 가계부채 중 단기(1년) 비중이 22.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2.3%), 독일(3.2%), 스페인(4.5%), 이탈리아(6.5%), 영국(11.9%) 등 유럽 주요국에 비해 크게 높다. 한국보다 단기 비중이 높은 주요국은 미국(31.6%)이 유일하다. 조세연은 보고서를 통해 유동성 위험에 취약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국 가계의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도 47.2%(2019년 기준)로 프랑스(30.0%), 영국(28.7%), 독일(28.3%), 미국(17.3%)보다 높다.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는 당장 유동화해서 갚을 수 있는 자산 대비 부채를 보는 지표로 높을수록 부채 위험도가 크다고 본다.조세연은 한국의 가계부채를 세부적으로 보면 주택담보대출의 증가 추세가 빠르다고 지적했다. 전세금이라는 특수한 거래가 있는 것을 고려하면 주택 대출 비중은 해외보다 높을 것이라고도 봤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규모가 주요국 대비 높은데, 이 역시 주택 구매에 사용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최근 기타대출 비중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조세연은 "부채규모가 크게 늘어난 현 시점에서 금리가 급격하게 인상되는 경우 부채 부담에 따른 이자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등 경제 전체에 충격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기업부채와 정부부채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부채의 절대 규모는 크지만 증가속도는 빠르지 않다고 봤다. 단기 부채 비중도 낮은 것으로 판단됐다. 정부부채도 선진국 대비 높은 수준은 아니라는 점이 언급됐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