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내식당·어린이집 '설거지 수호천사'
입력
수정
지면A21
코로나 시대의 유통…衣·食·住 벤처가 뜬다
(13) 세척 스타트업 '뽀득'
식기 수거해 세척 후 배달
수도권 300여곳에 서비스


수거된 식기를 실은 차량은 경기 광명의 뽀득 ‘세척 허브’로 모여든다. 하루에 최대 24만 개 식기를 닦는 660㎡ 규모의 ‘설거지 공장’이다. 이곳에서 식기를 물에 불리는 일부터 세척솔을 사용하는 1차 세척, 고온의 물을 강하게 쏘는 2차 세척, 건조, 살균, 포장이 순차적으로 이뤄진다. 박 대표는 “단계마다 균이 남아 있는지 등을 정밀 검사한다”며 “수도권 전역의 기업 300여 곳이 매일 뽀득의 식기 세척 서비스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대표는 고려대 사범대학 동기인 태경재 이사와 뽀득을 공동 창업했다. 자취를 하던 두 대학생에게 가장 성가신 집안일은 설거지였다. 이사와 청소 등은 대행 서비스가 많았지만 설거지는 대신 해주는 곳이 없었다. 직접 해보기로 했다. 2016년 고려대 커뮤니티 ‘고파스’에 설거지 대행 서비스 게시글을 올려 이용객을 모집하고, 학교 앞 식당 주방에서 쌓인 식기를 밤새 닦았다.인기는 가파르게 올랐다. 그럴수록 사람의 힘으론 안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각기 다른 식기를 매일 수백 개씩 설거지하려면 인력이 필요했다. 며칠째 방치된 식기의 묵은 때를 벗기는 것도 일이었다. 소비자들은 설거지에 비싼 돈을 들이려 하지 않았다. 2018년 식기세척기를 여러 개 모아놓고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역부족이었다. 그래서 고안한 게 설거지 공장이다. “식기 규격을 통일하고 세척 과정을 자동화하면 소비자가 원하는 품질과 가격을 모두 맞출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출발점이었다.
하지만 국내에 없던 세척 공장을 짓는 일은 쉽지 않았다. 박 대표가 나서서 LS일렉트릭(구 LS산전)의 스마트팩토리 멘토링 프로그램을 듣고 LS일렉트릭과 함께 공정을 짰다. 그렇게 지난해 광명 세척 허브가 문을 열었다. 당시 멘토였던 최정일 전 LS일렉트릭 전자·자동화부품 공장장은 뽀득에서 연구개발(R&D)을 총괄하고 있다. 박 대표는 “장례식장 등으로 서비스 영역을 넓히고 있다”고 말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