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시대 부산 기계부품산업의 대응 전략은 산업로봇 등 다각화해야

기계부품산업 위기 돌파 대응 방향, 산업다각화 1순위
다각화 분야로 산업용로봇, 지진방재, 원전해체 등 꼽아

부산지역 기계부품산업 업체들은 정책금융 지원을 코로나19 지원시책 중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꼽았다. 기계부품산업 위기 돌파를 위한 대응 방향으로는 산업다각화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부산연구원은 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부산 기계부품산업의 대응 전략’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 기계부품업체 179개 대상 지난해 9월 설문조사 결과 업체들은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으로 ‘비용관리 강화’(37.4%)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조직운영 효율화’(24.6%), ‘신규 제품 개발’(14%), ‘신규 거래처 개척’(10.6%), 초저금리 등 특별대출 모색‘(6.7%)으로 응답했다. 부산 기계부품산업은 부산 제조업의 약 50%나 되는 지역 주력산업으로 부산 제조업 종사자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변화 및 관심대상은 ‘직원 고용안정 방안’(28.1%)이 가장 높았다. 다음은 ‘여유 재고 확보 및 조달방안 수립’(26.4%), ‘위기 대응 관리 매뉴얼 수립’(20.2%), ‘생산 자동화 시스템 도입’(11.8%) 순이었다.부산시의 코로나19 기업지원시책 중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는 ‘정책금융 지원’(58.7%)이 꼽혔다. 다음으로 ‘지방세 부담 완화’(19.0%), ‘중소기업 고용역량 강화 지원’(7.8%), ‘수출입 거래 안정화 지원’(6.15%) 순으로 나타났다.

업체들은 코로나19 대응 필요 시책으로 ‘세금인하’(43%)를 가장 많이 원했다. 다음으로 ‘고용유지 지원금 확대’(38.0%), ‘초저금리 특별대출 확대’(8.4%), ‘판매 및 마케팅 지원’(6.1%) 순으로 응답했다.

지난해 4월부터 코로나19로 인한 국내외 신규영업 활동 위축으로 수주물량 감소 등 일부 기업은 운영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에 직면했다. 부산 기계부품산업의 매출 감소 극복 및 지역업체 보호 강화를 위한 타 산업과의 융복합화를 통한 고부가치형 산업으로의 전환 필요성이 제기됐다.부산 기계부품산업의 위기 돌파를 위해 대응해야 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산업 다각화’(45.8%)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구조고도화’(22.9%), ‘품목전환’(20.1%), ‘산업전환’(11.2%) 순으로 응답했다. 지역의 기계부품산업의 퇴조를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기계부품산업 다각화 분야의 사업타당성에 대한 긍정 응답은 ‘산업용로봇’(61.5%), ‘지진방재’(40.2%), ‘원전해체’(11.7%) 순으로 나타났다. 생산공정 자동화의 핵심이 되는 산업용로봇 이 코로나19 영향으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해외 진출 부산 기계부품산업 업체 43개 중 97.7%가 국내 복귀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했다. 복귀를 고려하고 있는 업체는 1개에 불과했다. 복귀를 고려하지 않는 이유는 ‘국내 고임금 부담’(33.3%)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해외시장 확대 필요’(31%), ‘과도한 기업 규제’(11.9%) 순으로 나타났다.보고서를 작성한 장정재 연구위원은 “부산 기계부품업체들은 지난해 4월부터 코로나19로 인한 국내외 신규영업 활동 위축으로 수주물량이 감소했고 일부 기업은 운영 자체가 불가능하다”며 “매출 감소 극복을 위해 타 산업과 융복합화를 통한 고부가치형 산업으로의 전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낮은 기술경쟁력과 생산성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코로나 사태로 인한 수출 급감에 대응하기 위해 신남방 등 신흥시장 개척에도 눈을 돌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부산의 기계부품산업은 뿌리산업(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을 기반으로 제조업 활성화를 통해 성장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수출·수입 실적이 크게 감소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위기상황에서 복사기, 가열난방기부품, 운반하역기계부품 등은 코로나19 이전(2019년 1∼7월)과 비교해 수출이 이례적으로 증가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