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와 우선 이상적
입력
수정
나이가 들어가면서 점점 느껴지는 것은 사람이다. 사람 때문에 울고 사람 때문에 웃는다. 사람이 때로는 그립기도 하다. 좋은 사람을 만나면 참 좋다 라고 입에서 절로 나온다. 자신의 일생에 잊을 수 없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아마도 한결같은 사람일 것이다. 즉 자신의 형편이 어떠하든 한 결 같이 다가오고 대해주는 사람이다. 그런 사람을 얻을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추사 김정희(1786-1856) 평전을 읽었다. 추사에게는 그런 사람들이 여럿 있었다. 그런 사람이야기의 사연이 있는 그림이 있다. 세한도이다. 김정희는 일생 제주도와 북청으로 유배를 두 번 갔다. 세한도는 김정희가 제주도에 유배를 갔을 때 그린 그림이다. 그림은 창문하나 그려진 조그만 집하나, 앙상한 고목의 가지에 듬성듬성 잎이 매달린 소나무 하나, 그리고 나무 몇 그루를 그렸다. 눈이 내린 흔적은 없지만 보기만 해도 한기가 느낄 정도이다. 국보180호로 지정되었다.
김정희의 제주도 유배는 위리안치이다. 이는 유배지에서 달아나지 못하도록 가시울타리(탱자나무)를 치고 그 안에 가두는 중형이다. 누가 찾아오지 않는 한 누구를 만나지도 못하는 외롭고 힘든 생활인 것이다. 그런 시절 제자 중 하나인 우선 이상적(1803-1865)은 김정희를 찾아 오기도 하고 구하기 힘든 중국 고서 『만학집』과 『대운산방문고』를 한 해에 보내주더니, 이듬해에는 하우경의 『황조경세문편』을 보내 주었는데, 이 책은 총 120권,79책이나 되는 방대한 책이다. 이상적은 역관으로 당시 청나라 연경(북경)을 여러 차례 갔었다. 세한도는 김정희가 이상적에게 고맙다고 그려준 그림이다. 세한이란, 추운 겨울이란 뜻이다. 세한도에는 추사 김정희 발문이 있다. 거기에 나오는 내용 중 일부는 이렇다.“세상의 풍조는 오직 권세와 이권만을 좇는데, -중략- 권세가 있거나 이권이 생기는 사람에게 보내지 않고 바다 밖의 별 볼일 없는 사람에게 보내면서도 마치 다른 사람들이 권세나 이권을 좇는 것처럼 하였다. 태사공은 ‘권세나 이권 때문에 어울리게 된 사람들은 권세나 이권이 떨어지면 만나지 않게 된다’고 하였다. 그대 역시 세상의 이런 풍조 속의 한 사람인데 초연히 권세나 이권의 테두리를 벗어나 권세나 이권으로 나를 대하지 않았단 말인가? 태사공의 말이 틀린 것인가? 공자께서는 ‘겨울이 되어서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하였다.소나무와 잣나무는 사시사찰 시들지 않는다.-중략-지금 그대가 나를 대하는 것은 이전이라고 해서 더 잘하지도 않았고, 이후라고 해서 더 못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이전의 그대는 칭찬할 게 없었지만 이후의 그대는 성인의 칭찬을 받을 만하지 않겠는가?”(박철상 『세한도』인용) .
원문은 歲寒然後知松栢之後凋(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겨울이 되어서야 소나무와 잣나무는 시들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이다. 대게 사람들은 유배를 가기 전 추사를 잘 대해주거나 가까이 하려고 했다. 그러나 유배를 가니 상황이 달라졌다. 소식을 끊거나 소홀히 여겼다. 그러나 우선 이상적만은 달랐다. 유배중인데도 이전과 변한 게 없다. 구하기 힘든 책을 구해 주었고, 청나라 소식을 전해 주었다. 추사는 여기서 깨달았다. 공자가 왜 겨울에 소나무와 잣나무의 잎이 늦게 시든다고 말했는지 말이다.
추사 김정희에게 우선 이상적 같은 사람이 있었다면, 오늘 우리를 한번 돌아본다. 과연 나는 어떤 사람인가? 한결 같은 사람인가? 내가 대하고 관계 하고 있는 사람과, 형편이 어떠하든지 한결 같은가? 때로는 그렇지 못한 모습이 많다. 상황과 환경 따라 춤추는 것이 우리들의 모습 같다. 추사 김정희가 그린 세한도를 감상하며, 나의 삶을 돌아본다.
김정희의 제주도 유배는 위리안치이다. 이는 유배지에서 달아나지 못하도록 가시울타리(탱자나무)를 치고 그 안에 가두는 중형이다. 누가 찾아오지 않는 한 누구를 만나지도 못하는 외롭고 힘든 생활인 것이다. 그런 시절 제자 중 하나인 우선 이상적(1803-1865)은 김정희를 찾아 오기도 하고 구하기 힘든 중국 고서 『만학집』과 『대운산방문고』를 한 해에 보내주더니, 이듬해에는 하우경의 『황조경세문편』을 보내 주었는데, 이 책은 총 120권,79책이나 되는 방대한 책이다. 이상적은 역관으로 당시 청나라 연경(북경)을 여러 차례 갔었다. 세한도는 김정희가 이상적에게 고맙다고 그려준 그림이다. 세한이란, 추운 겨울이란 뜻이다. 세한도에는 추사 김정희 발문이 있다. 거기에 나오는 내용 중 일부는 이렇다.“세상의 풍조는 오직 권세와 이권만을 좇는데, -중략- 권세가 있거나 이권이 생기는 사람에게 보내지 않고 바다 밖의 별 볼일 없는 사람에게 보내면서도 마치 다른 사람들이 권세나 이권을 좇는 것처럼 하였다. 태사공은 ‘권세나 이권 때문에 어울리게 된 사람들은 권세나 이권이 떨어지면 만나지 않게 된다’고 하였다. 그대 역시 세상의 이런 풍조 속의 한 사람인데 초연히 권세나 이권의 테두리를 벗어나 권세나 이권으로 나를 대하지 않았단 말인가? 태사공의 말이 틀린 것인가? 공자께서는 ‘겨울이 되어서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하였다.소나무와 잣나무는 사시사찰 시들지 않는다.-중략-지금 그대가 나를 대하는 것은 이전이라고 해서 더 잘하지도 않았고, 이후라고 해서 더 못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이전의 그대는 칭찬할 게 없었지만 이후의 그대는 성인의 칭찬을 받을 만하지 않겠는가?”(박철상 『세한도』인용) .
원문은 歲寒然後知松栢之後凋(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겨울이 되어서야 소나무와 잣나무는 시들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이다. 대게 사람들은 유배를 가기 전 추사를 잘 대해주거나 가까이 하려고 했다. 그러나 유배를 가니 상황이 달라졌다. 소식을 끊거나 소홀히 여겼다. 그러나 우선 이상적만은 달랐다. 유배중인데도 이전과 변한 게 없다. 구하기 힘든 책을 구해 주었고, 청나라 소식을 전해 주었다. 추사는 여기서 깨달았다. 공자가 왜 겨울에 소나무와 잣나무의 잎이 늦게 시든다고 말했는지 말이다.
추사 김정희에게 우선 이상적 같은 사람이 있었다면, 오늘 우리를 한번 돌아본다. 과연 나는 어떤 사람인가? 한결 같은 사람인가? 내가 대하고 관계 하고 있는 사람과, 형편이 어떠하든지 한결 같은가? 때로는 그렇지 못한 모습이 많다. 상황과 환경 따라 춤추는 것이 우리들의 모습 같다. 추사 김정희가 그린 세한도를 감상하며, 나의 삶을 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