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철호의 길 위에서 찾多!] 경운궁 ‘궁담길’을 걸어보자!

 
 1895년 10월 8일 명성황후는 왕비의 침실인 옥호루에서 시해를 당한다. 고종은 왕위에 오른 지 32년 만에 신변의 위협을 느끼고 경복궁을 벗어나 거처를 옮긴다. 을미사변(乙未事變)이다. 돌아갈 수 없는 길, 고종은 경운궁 선원전에서 러시아 공사관이 있는 정동으로 향한다. 길 위에서 길을 찾듯, 왕의 길(King’s Road) 따라 고종과 세자가 추운 겨울 바쁜 걸음으로 러시아 공사관을 향한다. 1896년 2월 11일 아쉽고 서글프지만 법궁을 떠나 아관에 1년 9일간 머문다. 친 러시아 경향인 정동파(貞洞派)가 득세하는 정세다. ‘아관파천’인가? ‘아관망명’인가?   경희궁과 경운궁 사이 정동 언덕배기에서 가장 높은 곳에 공사관이 있다. 러시아 공사관이다. 인왕산이 보이고 백악산도 한 뼘 거리다. 저 멀리 목멱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최고의 위치다. 1890년 르네상스 양식의 건축물로 정동에서 제일 규모가 크다. 1896년 2월 11일 고종은 러시아 공사와 미국대리공사의 협조로 아관으로 피신한다. 개항 후 외교의 중심, 정동은 외교의 거리였다. 정동에는 외교관과 선교사, 의사들이 밀물처럼 들어왔다. 전통과 근대가 조화롭게 이루어진 개화의 거리, 외교의 거리가 되었다. 하지만 러시아 공사관에서 1년이 넘자 조속한 환궁을 요구하고, 1897년 2월 20일 경운궁(慶運宮)으로 환궁한다.

  
  러시아 공사관 터는 현재 첨탑만 남아있다. 탑의 동북쪽으로 지하통로가 경운궁과 연결 되어있다. 1897년 10월 12일 경운궁 궁담길 따라 환궁한 고종은 환구단에서 황제 즉위식을 거행한다. 세계 각국 각처에 대한제국을 선포한다. 근대 상징인 정동은 대한제국의 중심이 되었다. 정동길은 황제의 나라, 개화의 거리가 되었다. 정동길은 아관, 미관, 영관, 불관,덕관, 이탈리아관 그리고 벨기에관까지 도성 안에 각 공사관이 즐비했다. 정동은 제후국이 아닌 황제국의 시작을 알리는 역사적 공간이다. 경운궁과 정동은 전통과 근대가 공존하는 대표적 공간이다. 새로운 변화의 물결이 일어나는 대한제국의 중심이었다. 
 경운궁은 대한제국의 황궁이요, 중명전(重眀殿)은 대한제국 황제의 집무실이다. 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1905년 11월 17일 중명전에서 총칼로 위협하여 외교권을 박탈한다. 을사늑약이다. 을사늑약 후 전국 곳곳에서 저항운동이 불꽃처럼 다시 일어난다. 민영환은 자결을 한다. 장지연은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이라는 논설을 발표한다. 곳곳에 의병이 일어난다. 을사오적을 처단하자는 암살단이 조직된다.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하얼빈에서 처단한다. 을사년 이후 새로운 말이 생겨난다. ‘을사년스럽다’는 ‘을씨년스럽다’로 바뀌며 전 국토에서 항일운동이 시작된다.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호소한 고종황제는 우당 이회영등과 고민하고 협의한다. 1907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특사 3인을 파견해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호소한다. 그러나 헤이그 특사 파견 후 고종황제는 경운궁 중명전에서 강제 퇴위된다. 태황제가 된다.
 

  1907년 7월 20일 순종이 황제로 즉위한다. 하지만 군대도 강제 해산되었다. 순종황제는 창덕궁에서 왕으로 강등되고, 대한제국은 소멸의 길로 간다. 역사는 말없이 흘러간다. 역사를 잠시 잊은 사람들에게 정동길은 새로운 길이다. 미국 대사관저와 경기여고 터인 경운궁 선원전 사이 110m 궁담이 설치되어 123년 전 시간여행을 한다. 길 위에서 길을 찾듯이 길 속에서 과거를 되새기며 내일을 설계한다. 길은 그냥 길이 아니라 우리의 역사다. 그리고 그곳엔 우리의 미래가 있다. 오늘은 경운궁 궁담길을 걸어보자.

<최철호/ 남예종예술실용전문학교 초빙교수, 성곽길 역사문화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