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오염수 확산 예측 모델 개발 막바지…2023년 본격 활용
입력
수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9년 개발 착수, 내년에 시험 가동
한국해양수산개발원도 우리나라 대응 방안 연구 본격 착수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사고로 발생한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배출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오염수가 방류되면 해류를 따라 어떻게 확산할지 예측하는 모델이 개발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태평양의 해수 순환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내년에 시험 가동한 뒤 2023년부터 본격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KIOST는 해양수산부의 예산 지원을 받아 2019년부터 이 같은 모델 개발에 착수했다.
기존에는 선진국의 예측 모델과 자료를 받아 활용했으나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태평양 전체의 해류 흐름을 예측하는 자체 모델을 개발한 것이다. KIOST는 또 해양 오염물질이 배출될 경우 해류를 따라 어떻게 확산할지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해 이미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KIOST의 한 관계자는 "일본이 방사성 물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자료가 투명해야 예측 모델의 정확도가 높아진다"고 말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도 일본이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배출할 경우 우리나라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에 본격 착수했다. KMI의 한 관계자는 "일본이 2년 후에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방류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대응 방안 마련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며 "관련 기관과도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오전 관계 각료회의에서 후쿠시마 제1원전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해양에 방출한다는 계획을 담은 '처리수 처분에 관한 기본 방침'을 결정했다.
배출 전에 다핵종제거설비(ALPS) 등으로 대부분의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지만 삼중수소(트리튬)는 걸러내지 못하므로 물을 섞어 농도를 낮춘 뒤 방출한다는 구상이다.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심사·승인 등이 필요하므로 실제 방출까지는 2년 정도가 걸릴 전망이다.
/연합뉴스
한국해양수산개발원도 우리나라 대응 방안 연구 본격 착수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사고로 발생한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배출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오염수가 방류되면 해류를 따라 어떻게 확산할지 예측하는 모델이 개발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태평양의 해수 순환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내년에 시험 가동한 뒤 2023년부터 본격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KIOST는 해양수산부의 예산 지원을 받아 2019년부터 이 같은 모델 개발에 착수했다.
기존에는 선진국의 예측 모델과 자료를 받아 활용했으나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태평양 전체의 해류 흐름을 예측하는 자체 모델을 개발한 것이다. KIOST는 또 해양 오염물질이 배출될 경우 해류를 따라 어떻게 확산할지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해 이미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KIOST의 한 관계자는 "일본이 방사성 물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자료가 투명해야 예측 모델의 정확도가 높아진다"고 말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도 일본이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배출할 경우 우리나라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에 본격 착수했다. KMI의 한 관계자는 "일본이 2년 후에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방류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대응 방안 마련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며 "관련 기관과도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오전 관계 각료회의에서 후쿠시마 제1원전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해양에 방출한다는 계획을 담은 '처리수 처분에 관한 기본 방침'을 결정했다.
배출 전에 다핵종제거설비(ALPS) 등으로 대부분의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지만 삼중수소(트리튬)는 걸러내지 못하므로 물을 섞어 농도를 낮춘 뒤 방출한다는 구상이다.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심사·승인 등이 필요하므로 실제 방출까지는 2년 정도가 걸릴 전망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