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젠 셀프구제법까지…의원들 '입법 타락' 어디까지 가나
입력
수정
지면A35
최강욱 열린우리당 대표가 대표 발의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두고 ‘셀프구제법’ 논란이 일고 있다. 현행법상 명예 관련죄는 피해자의 의사 표시와 관계 없이 제3자 고발로도 수사 착수가 가능하다. 최 의원은 이런 법을 고쳐 ‘친고죄’를 적용, 피해 당사자의 고소가 있어야만 수사 및 재판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최 대표는 현재 전 채널A 기자에 대한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데, 피해자가 아니라 제3자(시민단체 ‘법치주의 바로 세우기 행동연대’)의 고발로 수사가 시작됐다. 만약 재판이 끝나기 전 법안이 통과된다면 재판부가 피고인에게 유리한 신법(新法)을 우선 적용해 유·무죄를 판단하지 않고 공소 자체를 기각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법조계의 분석이다.
그런 점에서 최 대표의 법안은 명백한 ‘셀프구제법’이다. 입법권을 사익(私益)을 위해 남용하는 것은 ‘국민의 대표’라고 하는 국회의원의 기본 책무를 저버린 행위다. 이해충돌 위반을 넘어 국회의원의 입법 타락이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최 대표는 법안 발의 이유로 “제3자의 고발에 의한 ‘전략적 봉쇄(비판활동 막기) 소송’에 악용되는 사례를 최소화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설령 그런 의도가 있더라도 본인 재판이 끝난 다음 법안을 제출하는 게 상식이다.의원들의 ‘셀프구제 입법’ 사례는 이뿐만이 아니다.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여권 의원들이 중대범죄수사청 설치 입법을 주도한 것도 어이가 없다. 이 법이 통과되면 검찰에 남은 6대 범죄(부패·경제·공직자·선거·방위산업·대형참사) 수사가 중수청으로 넘어간다. 법안 발의 의원 중 상당수가 후원금, 사전 선거운동 등으로 수사선상에 올라있다. 이해상충 여지가 있으면 스스로 제척(除斥)하는 게 당연한데도 기본적 공직윤리 의식조차 없는 듯하다.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인사와 가족들에게 교육·취업 등 각종 지원을 해주자는 ‘운동권 셀프특혜법(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안)’도 여론의 거센 비판에 철회되긴 했지만 불공정, 반칙, 특권을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입법권을 가졌다고 아무 법이나 만들어도 된다는 것은 대의민주주의의 기본원칙을 거스르는 행위다. 국회는 명예를 걸고 입법 사유화를 막을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민주주의 퇴행과 입법 타락을 방조하는 꼴이 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최 대표의 법안은 명백한 ‘셀프구제법’이다. 입법권을 사익(私益)을 위해 남용하는 것은 ‘국민의 대표’라고 하는 국회의원의 기본 책무를 저버린 행위다. 이해충돌 위반을 넘어 국회의원의 입법 타락이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최 대표는 법안 발의 이유로 “제3자의 고발에 의한 ‘전략적 봉쇄(비판활동 막기) 소송’에 악용되는 사례를 최소화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설령 그런 의도가 있더라도 본인 재판이 끝난 다음 법안을 제출하는 게 상식이다.의원들의 ‘셀프구제 입법’ 사례는 이뿐만이 아니다.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여권 의원들이 중대범죄수사청 설치 입법을 주도한 것도 어이가 없다. 이 법이 통과되면 검찰에 남은 6대 범죄(부패·경제·공직자·선거·방위산업·대형참사) 수사가 중수청으로 넘어간다. 법안 발의 의원 중 상당수가 후원금, 사전 선거운동 등으로 수사선상에 올라있다. 이해상충 여지가 있으면 스스로 제척(除斥)하는 게 당연한데도 기본적 공직윤리 의식조차 없는 듯하다.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인사와 가족들에게 교육·취업 등 각종 지원을 해주자는 ‘운동권 셀프특혜법(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안)’도 여론의 거센 비판에 철회되긴 했지만 불공정, 반칙, 특권을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입법권을 가졌다고 아무 법이나 만들어도 된다는 것은 대의민주주의의 기본원칙을 거스르는 행위다. 국회는 명예를 걸고 입법 사유화를 막을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민주주의 퇴행과 입법 타락을 방조하는 꼴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