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동대문구 저층 빌라서 고층아파트로 변모할 곳은 어디?
입력
수정
용두역·청량리역 인근·옛 수유12구역 등 후보지 13곳 발표
동대문구 용두역·청량리역 인근에서 장기간 개발이 정체된 노후지와 민간 개발 추진의 한계에 부닥친 강북구 저층 주거지 등이 고층 아파트로 변모할 가능성이 커졌다. 국토교통부는 14일 정부의 2·4 대책의 핵심인 '도심 공공주택 복합개발사업' 2차 선도사업 후보지로 강북구와 동대문구에서 역세권 8곳과 저층 주거지 5곳 등 총 13곳을 선정해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후보지는 강북구와 동대문구에서 제안한 후보지 중 국토부가 입지와 사업성 요건을 검토해 우선 선정한 지역으로, 실제 추진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된다면 약 1만2천900가구의 신축 주택이 공급될 수 있는 규모다. ◇ 용두·청량리역·미아 등 역세권 8곳 고밀 개발
이번 2차 발표 역세권 후보지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곳은 동대문구 용두역·청량리역 인근 부지로 면적이 11만1천949㎡에 달한다.
정부가 제시한 개발 방향에 따르면 이 지역은 공공 개발을 통해 3천200가구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와 고층 업무·상업시설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에 자리 잡은 청량리·용두역 인근 일대는 정비사업 장기화로 2016년 1월 정비예정구역이 해제된 지역이다. 그간 사업 추진 주체 부재로 장기간 개발이 정체돼 노후화가 가속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토부는 해당 부지가 청량리역·용두역·제기동역 등 3개 역세권역에 포함되는 지역으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신설 계획 등을 고려할 때 고밀 개발을 통해 적극적으로 입지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강북구 미아역 주변도 이번 역세권 개발 후보지에 포함됐다. 특히 미아역 동측 2만3천37㎡는 강북구의 다른 역세권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밀·저이용돼 역세권 본연의 기능이 미약했던 곳이다.
양호한 입지에도 생활 여건이 낙후해 도심공공복합사업의 역세권 개발을 통한 고밀 활용이 필요한 곳으로 꼽힌다.
정부는 주거·상업·문화 기능을 집약한 고밀 개발을 통해 역세권의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 활성화를 위한 자족 거점 지역으로 조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이 밖에 강북구 미아사거리역 동측 3만9천498㎡ 부지는 1천82가구 규모의 아파트와 상업 지구로 변모할 계획이다.
이번 2차 역세권 개발 후보지 가운데 용두역·청량리역 인근 다음으로 큰 규모다.
20년 미만의 건축물이 전혀 없어서 노후도가 100%로 평가된 강북구 삼양사거리역 인근 7천866㎡ 일대도 이번 역세권 주거상업고밀지구 후보지에 포함됐다.
◇ 수유 등 저층주택 밀집지 5곳도 고밀 개발
저층 주거지에서는 옛 수유12구역, 송중동 주민센터 인근, 옛 미아16구역, 삼양역 북측, 청량리동 주민센터 인근이 개발 후보지로 뽑혔다.
이 가운데 면적 규모가 가장 큰 옛 수유12구역(10만1천48㎡)은 용적률 190%, 층수 12층, 건폐율 60% 등 중층·저밀도 정비기본계획으로 사업성이 좋지 않다는 평가를 받은 곳이다.
결국 2012년 8월 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돼 민간 개발 추진이 표류했고, 이후 정비 없이 노후화가 진행됐다.
정부는 공공 참여로 인센티브 부여를 통한 고밀 개발로 사업성을 제고하고, 기반시설 정비를 통해 주거 환경을 개선할 방침이다.
특히 사업지 인근의 우이천·북한산·도봉산 등 친환경적 요소를 활용한 건축물 배치로 쾌적하고 경관이 우수한 주거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 원활한 이주 지원을 위해 우이천 동측의 1차 선도사업 후보지(도봉구 덕성여대 인근)와 순환 정비 방식 적용도 검토하고 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저층 주거지의 경우 용도지역을 1종 상향하거나 해당 용도지역의 용적률을 법적 상한의 120%까지 올려줄 예정"이라며 "역세권 개발은 최대 용도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올려 용적률을 700%까지 상향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동대문구 용두역·청량리역 인근에서 장기간 개발이 정체된 노후지와 민간 개발 추진의 한계에 부닥친 강북구 저층 주거지 등이 고층 아파트로 변모할 가능성이 커졌다. 국토교통부는 14일 정부의 2·4 대책의 핵심인 '도심 공공주택 복합개발사업' 2차 선도사업 후보지로 강북구와 동대문구에서 역세권 8곳과 저층 주거지 5곳 등 총 13곳을 선정해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후보지는 강북구와 동대문구에서 제안한 후보지 중 국토부가 입지와 사업성 요건을 검토해 우선 선정한 지역으로, 실제 추진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된다면 약 1만2천900가구의 신축 주택이 공급될 수 있는 규모다. ◇ 용두·청량리역·미아 등 역세권 8곳 고밀 개발
이번 2차 발표 역세권 후보지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곳은 동대문구 용두역·청량리역 인근 부지로 면적이 11만1천949㎡에 달한다.
정부가 제시한 개발 방향에 따르면 이 지역은 공공 개발을 통해 3천200가구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와 고층 업무·상업시설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에 자리 잡은 청량리·용두역 인근 일대는 정비사업 장기화로 2016년 1월 정비예정구역이 해제된 지역이다. 그간 사업 추진 주체 부재로 장기간 개발이 정체돼 노후화가 가속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토부는 해당 부지가 청량리역·용두역·제기동역 등 3개 역세권역에 포함되는 지역으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신설 계획 등을 고려할 때 고밀 개발을 통해 적극적으로 입지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강북구 미아역 주변도 이번 역세권 개발 후보지에 포함됐다. 특히 미아역 동측 2만3천37㎡는 강북구의 다른 역세권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밀·저이용돼 역세권 본연의 기능이 미약했던 곳이다.
양호한 입지에도 생활 여건이 낙후해 도심공공복합사업의 역세권 개발을 통한 고밀 활용이 필요한 곳으로 꼽힌다.
정부는 주거·상업·문화 기능을 집약한 고밀 개발을 통해 역세권의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 활성화를 위한 자족 거점 지역으로 조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이 밖에 강북구 미아사거리역 동측 3만9천498㎡ 부지는 1천82가구 규모의 아파트와 상업 지구로 변모할 계획이다.
이번 2차 역세권 개발 후보지 가운데 용두역·청량리역 인근 다음으로 큰 규모다.
20년 미만의 건축물이 전혀 없어서 노후도가 100%로 평가된 강북구 삼양사거리역 인근 7천866㎡ 일대도 이번 역세권 주거상업고밀지구 후보지에 포함됐다.
◇ 수유 등 저층주택 밀집지 5곳도 고밀 개발
저층 주거지에서는 옛 수유12구역, 송중동 주민센터 인근, 옛 미아16구역, 삼양역 북측, 청량리동 주민센터 인근이 개발 후보지로 뽑혔다.
이 가운데 면적 규모가 가장 큰 옛 수유12구역(10만1천48㎡)은 용적률 190%, 층수 12층, 건폐율 60% 등 중층·저밀도 정비기본계획으로 사업성이 좋지 않다는 평가를 받은 곳이다.
결국 2012년 8월 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돼 민간 개발 추진이 표류했고, 이후 정비 없이 노후화가 진행됐다.
정부는 공공 참여로 인센티브 부여를 통한 고밀 개발로 사업성을 제고하고, 기반시설 정비를 통해 주거 환경을 개선할 방침이다.
특히 사업지 인근의 우이천·북한산·도봉산 등 친환경적 요소를 활용한 건축물 배치로 쾌적하고 경관이 우수한 주거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 원활한 이주 지원을 위해 우이천 동측의 1차 선도사업 후보지(도봉구 덕성여대 인근)와 순환 정비 방식 적용도 검토하고 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저층 주거지의 경우 용도지역을 1종 상향하거나 해당 용도지역의 용적률을 법적 상한의 120%까지 올려줄 예정"이라며 "역세권 개발은 최대 용도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올려 용적률을 700%까지 상향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