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법 고쳐서 '재량 이첩' 추진하나
입력
수정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공소권 유보부 이첩'을 내부 사건·사무규칙에 넣지 않고, 공수처법 개정을 통해 추진하는 방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공수처 자문위원회는 지난 12일 열린 첫 회의에서 공수처 사건사무규칙을 연구·검토할 소위원회를 구성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소위원회 논의의 핵심은 '유보부 이첩'을 어떻게 볼 것이냐다.
유보부 이첩이란 검찰 등 다른 수사기관에 공수처가 사건을 넘기더라도 공소 제기 여부는 공수처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일명 '재량 이첩'이라고도 불리는 개념으로, 김진욱 공수처장이 지난달 "공수처 사건을 검찰에 넘길 때 공소 제기를 유보하고 이첩하는 것도 재량 하에 가능하다"고 말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공수처 내부의 사건·사무규칙은 다른 수사기관에 대한 구속력이 없다. 이 때문에 법률을 개정해 유보부 이첩을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앞서 공수처는 수원지검에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불법출금 의혹' 사건을 다시 보내면서 공소제기 여부는 공수처가 최종적으로 판단하겠다며 유보부 이첩을 요구해 검찰과 갈등을 빚었다. 그러나 수원지검은 공수처의 요청과 관계없이 이규원 검사 등을 직접 기소했다.
또 공수처는 공수처의 수사 대상인 판·검사 및 경무관 이상의 경찰 사건에 대해 유보부 이첩을 사건·사무규칙에 포함하는 안을 검토하면서 검찰에 의견을 물었지만, 대검찰청은 "검찰에 이첩한 사건이라면 공수처 내부규칙으로는 공수처가 기소권을 갖도록 정할 수 없다"며 공식적으로 반대입장을 드러냈다.
한편 공수처는 14일까지 공수처법 24조1항에 대한 의견을 달라고 검·경 등에 요청한 상태다. 공수처법 24조1항은 다른 수사기관과 사건이 겹칠 경우 수사 진행 정도와 공정성 논란에 비춰 공수처가 수사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처장이 이첩을 요청할 수 있고, 해당 수사기관은 이에 응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조항은 공수처와 검찰 중 어디가 '김학의 위법 출국금지 의혹' 사건을 도맡을 지를 명확히 밝히는 기준으로 작용할 수도 있어 법조계 안팎의 관심이 쏠린 상태다.
지난달 국민권익위원회는 해당 사건 관련 공익신고를 공수처에 수사 의뢰했다. 이 신고는 박상기 전 법무부 장관, 김오수 전 법무부 차관, 차규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 등이 김 전 차관의 출국금지 과정에서 직권남용 등의 위법행위를 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현재 수원지검은 이 공익신고와 같은 취지의 사건을 맡아서 수사 중이다. 공수처법 24조1항에 근거할 경우 공수처는 이 사건을 공수처에 이첩하라고 검찰에 요구할 수 있다. 공수처는 이 지검장에 대해 '황제 수사'를 했다는 논란을 빚었지만, 해당 조항을 따른다면 공수처가 이 지검장 사건을 다시 가져올 수 있단 분석이 나온다.
안효주 기자 j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