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국제사회 편가르는 美·中
입력
수정
지면A34
강동균 국제부장“중국이 국제질서를 위협하고 있다.” vs “미국은 손님을 이렇게 대접하나.”
지난달 18일(현지시간) 미국 알래스카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2+2’ 회담장. 조 바이든 미 행정부 출범 이후 이뤄진 첫 대면 만남에서 미·중이 정면 충돌했다. 미국의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중국 측 양제츠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과 왕이 외교부 장관은 모두발언이 끝난 뒤 회담장 밖으로 나가려는 기자들을 붙잡고 1시간 이상 설전을 이어갔다.미국은 신장위구르자치구 인권 탄압과 홍콩·대만 문제, 중국의 사이버 공격, 미국의 동맹에 대한 중국의 경제적 강압 등을 들며 중국을 거세게 몰아붙였다. 중국은 미국이 다른 나라를 압박하기 위해 군사력과 금융 우위를 이용하고 있다면서 미국식 민주주의를 강요하는 것을 그만두라고 맞섰다.
첫 대면에서부터 '난타전'
고위급 회담이 끝난 후 미·중 관계는 더욱 험악해지고 있다. 미국은 인권 문제를 고리로 지속적으로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 동맹국의 동참도 요구하고 나섰다. 지난달 22일 유럽연합(EU)과 캐나다, 영국과 함께 중국 신장위구르 이슬람 소수민족에 대한 인권 탄압을 자행한 중국 관료들을 제재했다.블링컨 장관은 알래스카 회담 후 곧바로 벨기에 브뤼셀로 건너가 유럽 주요국 외교장관을 만났다. 그는 “중국의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이 심각한 감시 위협을 가져온다”며 중국에 맞서기 위한 ‘동맹의 힘’을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화상으로 열린 EU 정상회의에 참석한 데 이어 같은 날 취임 후 첫 기자회견을 통해 “내 임기 중 중국이 세계를 선도하거나 세계에서 가장 힘센 국가가 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중국도 물러서지 않겠다며 발 빠른 외교전에 나섰다. 미국과 고위급 회담에서 날 선 공방전을 벌인 직후 러시아와 외교장관 회담을 열고 유대를 과시했다. 이란과는 25년 동안 협력하는 포괄적 협정을 맺었다. 중국은 이란의 에너지·인프라에 투자하고, 이란은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에 참여하기로 했다.
중국은 북한과도 전략적인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친서를 통해 “적대 세력들의 전방위적인 도전과 방해 책동에 대처해 단결과 협력을 강화하자”고 했다.
선택 강요받는 한국
최근 한 달간의 미·중 충돌은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는 의견이 많다. 앞으로 미국은 동맹·파트너와 협력해 중국 포위망을 더욱 촘촘하게 구축하고, 국제사회에서 미국 혼자만이 아닌 다자 접근법을 통해 중국에 대한 공격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맞서 중국도 ‘실력 행사’에 돌입하고 우군 확대에 주력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왕이 장관이 지난달 24일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오만을 잇따라 방문한 것도 이런 포석에서 나온 행보란 분석이다.미·중 갈등 심화로 향후 냉전 때와 같은 국제질서의 양극화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전문가들을 인용해 “바이든 행정부 기간 갈등은 계속될 것”이라며 “미·중을 중심으로 세계가 갈라지면서 신냉전의 그림자가 짙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욕타임스는 “미·중이 우군 확보 경쟁을 벌이면서 ‘신냉전’까진 아니더라도 세계가 갈수록 분명히 구분되는 진영으로 나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중 사이에서 줄타기 전략을 펴온 한국 정부에 선택의 순간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