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다시 커졌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시세

노원구 0.17%↑…지난주 2배
강남·서초·여의도·목동도 반등
서울시, 거래허가 등 규제 검토
올초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재건축 정비계획안이 통과된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 한경DB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8일 취임한 직후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폭이 크게 확대됐다. 오 시장이 선거 과정에서 민간 재건축 규제 완화를 공약으로 내세웠기 때문이다. 상계와 잠실, 여의도, 목동 등의 주요 재건축 단지가 사업 속도를 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 상계주공 재건축 단지가 밀집해 있는 노원구는 이번주 2년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시는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과열 조짐을 보이자 토지거래허가제 등 집값 상승 방지책을 놓고 고민에 들어갔다.

노원구 아파트 상승폭 지난주의 두 배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둘째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12일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은 전주 대비 0.07%였다. 지난주(0.05%)보다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2월 첫째주(0.10%) 이후 상승폭이 지속적으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오 시장 취임 후 첫 조사인 10주 만에 다시 상승폭이 커졌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 아파트값은 그동안 세부담 강화, 공급대책 영향 등으로 관망세를 유지해 왔으나 최근 압구정·잠실 등 강남권과 노원, 영등포 등 규제완화 기대지역 위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서울은 재건축 아파트 위주로 많이 올랐다. 이번주 노원구 아파트값 상승률은 0.17%로 지난주(0.09%)보다 두 배 가까이 뛰었다. 2018년 9월 셋째주(0.24%) 이후로 134주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오 시장은 선거 과정에서 노원구 상계동 재건축 아파트 등에 대해 “취임 1주일 안에 안전진단 등 규제 완화에 시동을 걸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최근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상계주공 일대 아파트값이 들썩이고 있다. 상계주공6단지 전용면적 58㎡는 지난달 22일 8억1900만원에 손바뀜했다. 호가(부르는 가격)는 최고 8억6500만원까지 올랐다.‘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여의도, 목동 등 재건축 단지도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다. 노원구 다음으로 상승률이 높은 송파구(0.12%)는 잠실동과 가락동 재건축 위주로 많이 올라 전주(0.10%)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강남구(0.08%→0.10%)와 서초구(0.08%→0.10%)도 각각 압구정동, 서초·방배동 재건축 위주로 많이 상승했다. 양천구(0.07%→0.08%)는 목동 재건축, 영등포구(0.04%→0.07%)는 여의도동 재건축 단지에 매수세가 몰렸다.

서울시, 거래허가 등 규제책 ‘만지작’

재건축을 시작으로 주택 시장이 과열될 조짐을 보이자 서울시는 토지거래허가제 등 집값 억제책을 놓고 고심에 빠졌다. 당장 오는 6월 잠실·삼성·대치·청담동의 토지거래허가제가 만료된다. 서울시는 연장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강남구청과 송파구청, 부동산원 등에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 중이다. 늦어도 내달 말~6월 초 도시계획위원회에 해당 안건이 상정될 예정이다.

일각에선 호가가 수억원씩 급등하고 있는 압구정과 여의도 등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새롭게 지정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재건축 규제 완화에 나서는 시점과 동시에 해당 단지의 거래를 묶는 등 ‘투트랙’ 방안도 거론된다.정부 차원의 추가 대책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다시 상승폭을 확대한 부동산 시장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어렵게 안정세를 잡아가던 부동산 시장이 다시 불안해지는 것은 아닌지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날 오 시장은 시 도시계획국으로부터 ‘2040서울플랜’에 대한 업무보고를 받았다. 당초 35층 층고 규제완화 등이 다뤄질 것이란 관측이 나왔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오 시장은 선거 과정에서 한강변 아파트의 높이를 최대 50층까지 높일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공언했다. 서울시는 오는 6월까지 계획안을 보완해 이르면 7월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