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국내 중소 업체가 일냈다…몽골서 '22조' 사업 수주
입력
수정
BKB컨소시엄,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및 사업 프로젝트 따내BKB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국내 중소 개발업체가 몽골에서 총사업비 22조원 규모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및 사업 프로젝트를 따냈다. 한국과 중국이 공동으로 몽골에 발전소를 짓고, 여기서 생산된 전기를 다시 중국에 판매하는 삼국 합작 사업이다. 하지만 한국 정부가 해외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한 공적금융 지원을 금지하려는 등 자금마련 방안이 녹록치 않다. 국내외 자금조달이 막힐 경우 사업이 제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 중견기업 컨소시엄이 해냈다”
정시우 BKB 회장은 “지난 3월 15일 몽골 정부로부터 6600MW규모 볼롤주틴 석탄화력발전소 건립 사업에 대한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정 회장은 “중국전망공사와 전력구매계약(PPA)을 맺는대로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몽골 석탄화력발전소는 원화 기준 22조원이 투입되는 초대형 사업이다.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 남동쪽에 2026년까지 발전소를 세우고 전기를 생산해 중국으로 보내는 것이 사업이 핵심이다.사업비의 10%는 BKB·BHI 등 국내 컨소시엄이 마련해 자본금을 대고, 나머지 90%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통해서 조달하는 구조다. BKB 컨소시엄은 PF 자금 대부분을 중국에서 조달할 계획이다. 국내에선 대형 증권사가 지난 2월 참여를 희망하는 투자의향서(LOI)를 몽골 정부에 제출했다. 시공은 한국과 중국이 각각 3300MW씩 나눠서 맡는다. BKB컨소시엄은 발전소가 가동된 뒤 50년간 사업권을 보장받았다. 연간 기대수익률은 15~17%로, 발전소 가동 후 8년이 지나면 초기투자금을 모두 회수할 수 있을 것이란 게 BKB의 설명이다.
이번 볼롤주틴 발전소 프로젝트의 시작은 2005년 ‘중국-몽골 석탄전력 분야에 대한 협력 계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후진타오 전 중국 국가주석 시절 맺어진 이 계약은 ‘몽골에서 생산한 전기를 중국이 사간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매년 7~8%씩 전력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중국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처 확보가 필수다. 몽골의 경우 석탄 매장량은 풍부하지만 대부분 저질탄이라는 단점이 있다. BKB는 한국 건설사의 기술로 ‘액화석탄(DME)’을 생산해 환경오염도 줄이고 효율도 높인다는 계획이다.
◆탈석탄 정부, 성공 여부는 미지수
몽골에서 대규모 석탄발전소 사업권을 따낸 것은 정 회장이 20여년간 해외에서 쌓은 네트워크가 기반이 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일찌감치 해외로 눈을 돌려 동남아를 중심으로 인프라 개발사업에 공을 들여왔고 몽골도 주목했다. 몽골은 풍부한 자원을 갖춘 데다, 전력 수요가 큰 중국을 곁에 두고 있어서 사업성이 크다는 판단에서였다. 정 회장은 “몽골에서 정관계 인맥을 쌓는데 수십년의 세월이 걸렸다”며 “그동안 노력이 이번 발전소 사업 승인으로 결실을 맺은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아프리카-한국 경제개발협력위원회(AKEDA)’ 대표로도 활약하고 있다. AKEDA는 기획재정부 산하 단체로 권오규 전 경제부총리가 회장을 맡고 있다. 아프리카 개발사업의 경제성을 검토하고, 한국 기업의 참여 기회를 엿보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번 몽골 발전소 사업이 성공할 지는 미지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자금 조달을 수월히 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이후 해외 석탄발전소에 대한 공적금융 지원을 사실상 중단했다. 정 회장은 “이명박 정부의 자원 외교에 대한 부정적 평가 탓에 해외개발사업에 대한 금융지원이 상당기간 막혀왔다”며 “이 때문에 민간 기업이 사업권을 따내도 사업진행이 제대로 안되는 일이 반복됐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2012년 7억달러 규모의 미얀마 가스복합발전소(500MW급) 건립 프로젝트가 컨소시업 참여 공기업의 출자규모 축소로 사실상 중단 상태에 빠진 것이 대표적이다. 정 회장은 “해외 인프라 개발은 한국 기업에게 무궁무진한 기회를 열어주는 사업”이라며 “정부가 이런 점을 감안해서 민간 금융사의 석탄금융까지 금지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지훈 기자 lizi@hankyung.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