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 '직업교육' 왜 지지부진할까?
입력
수정
지면A5
독일의 '선취업 후진학' 모델독일은 활발한 고졸 채용을 통해 산업경쟁력을 지탱하고 있다. 이원직업훈련 제도인 ‘아우스빌둥(쌍둥이교육)’ 덕이다. 아우스빌둥은 산업현장에서 일하며 필요한 공부를 추가하는 ‘선취업 후진학’ 모델이다.
특성화·마이스터고에 적용
정원 미달·졸업후엔 대학 직행
아우스빌둥에 참여한 학생은 주 3~4일을 기업에서 기술훈련을 받으며 보낸다. 나머지 시간엔 학교에서 필수 이론과 일반 과목을 배운다. 일반적인 교육 기간은 3년으로, 이 기간 학생에게 매월 훈련비가 지급된다. 독일의 22세 이하 청년의 약 75%가 아우스빌둥에 참여하고 있다. 독일의 청년실업률이 2019년 기준 4.9%로 자연 실업률에 가깝도록 안정된 배경이다. 아우스빌둥에 참여하는 학생을 뽑는 기업의 70%는 중소기업이다.국내에 진출한 독일계 기업들도 아우스빌둥을 도입했다. 한독상공회의소(KGCCI)와 BMW그룹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 등 5개 글로벌 완성차 업체 관계사는 2017년부터 자동차 정비 분야인 ‘아우토 메카트로니카’ 아우스빌둥을 운영하고 있다. 직업계고 자동차·기계과 관련 3학년 학생을 선발해 3년 동안 70%는 현장 교육으로, 나머지 시간은 직업학교·전문대학에서 학습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독일의 아우스빌둥을 벤치마킹한 것이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등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 기존 실업계고 외에 고졸 취업을 더 활성화하기 위해 신설했다. 하지만 취업 대신 진학을 선호하는 분위기 탓에 이 제도가 좀처럼 안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올해 서울 시내 특성화고 70곳 중 49곳은 정원 미달을 겪기도 했다.
김영진 KGCCI 아우스빌둥 담당 부장은 “아우스빌둥은 한국의 직업계고보다 전체 교육 커리큘럼에서 현장 훈련 시간이 많고 훈련 프로그램도 기업이 업종 특성에 맞춰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해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설명했다.한 중소기업 채용 관계자는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제도 안착을 위해선 정책 차원에서 고졸 취업자의 생애주기별 성장 경로를 구축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해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