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발 '이중 변이'까지 유입…변이 바이러스, 4차유행 변수되나
입력
수정
3∼4월 인도서 입국한 확진자 가운데 9명 이중변이 감염 확인 기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보다 전파력이 더 센 것으로 알려진 해외유입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가 꾸준히 늘어나는 가운데 이번에는 인도발(發) '이중 변이'(B.1.617) 감염자까지 확인돼 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중 변이는 아직 구체적인 역학적 위험성은 입증되지 않았지만, 자칫 '4차 유행'을 확산시키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올해 인도에서 입국한 사람 중 94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 이 가운데 약 10%에 해당하는 9명이 인도 변이 감염자로 파악됐다.
인도 변이는 그동안 인도 외에 호주, 벨기에, 독일, 아일랜드, 영국, 미국, 뉴질랜드 등에서도 나타났는데 국내에도 이미 유입됐다는 것이 이날 뒤늦게 알려진 셈이다. 9명의 인도 변이 감염자 중 2명은 지난달, 7명은 이달 인도에서 입국했다.
인도 변이는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에 주요 변이가 두 개(E484Q, L452R)가 있어 흔히 '이중 변이'라고 불린다.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숙주 세포로 침투하기 때문에 이 단백질 유전자의 변이가 바이러스 감염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도 변이는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변이와 브라질 변이와 같은 부위에 변이가 있어서 현재 개발된 백신이나 단일항체치료제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또 영국 변이 바이러스처럼 전파력이 더 높을 수 있다는 추정도 나오는 상황이다.
방역당국은 아직은 인도 변이의 감염력 등을 평가할 정보가 충분치 않다는 입장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참고자료를 통해 "정확한 정보가 없고 전파력에 대해서도 연구 중"이라며 "WHO(세계보건기구)에서도 현재 주요 변이나 기타 변이로 분류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인도 이중 변이와 별개로 다른 변이 바이러스의 유입도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감염력이 더 세다고 알려진 영국, 남아공, 브라질 주요 3종 변이 감염자만 해도 지난 12일 기준 379명이다.
방대본은 앞선 브리핑에서 "영국 변이가 확인된 지역에서 집단감염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또 최근 역학적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은 남아공 변이 감염 사례도 발생하면서 지역사회 감염 위험이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주요 3종 변이 외에 아직 역학적 위험성이 확인되지 않은 미국 캘리포니아 유래 변이 등 '기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도 118명이다.
전문가들은 인도 변이를 비롯한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면서 다각도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미국도 '변이와 백신 접종의 레이스(경주)'라고 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전장 유전체 분석에 예산을 추가 배정하는 등 변이 실태를 감시하겠다고 했다"면서 우리나라도 감시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인도 변이 같은 경우 백신을 무력화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면서 백신접종 계획 점검을 제언했다.
천 교수는 또 "(여러 항체를 혼합해 쓰는) '칵테일 치료제'에 개발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방대본은 이날 인도 변이의 국내유입 여부에 대한 질문에 즉각적으로 확인해 주지 않은 채 답변을 미뤄 혼선을 초래하기도 했다.
오전 9시 20분께 관련 질의가 나왔으나 방대본은 오후까지도 "발생 현황은 변이 바이러스 브리핑 때 발표하겠다"고만 답했다. 국내에서 인도 변이 감염자가 9명 발생했다는 내용은 방대본이 아니라 오후 4시 30분 시작된 중대본 정례 브리핑을 통해서 확인됐다.
/연합뉴스
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올해 인도에서 입국한 사람 중 94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 이 가운데 약 10%에 해당하는 9명이 인도 변이 감염자로 파악됐다.
인도 변이는 그동안 인도 외에 호주, 벨기에, 독일, 아일랜드, 영국, 미국, 뉴질랜드 등에서도 나타났는데 국내에도 이미 유입됐다는 것이 이날 뒤늦게 알려진 셈이다. 9명의 인도 변이 감염자 중 2명은 지난달, 7명은 이달 인도에서 입국했다.
인도 변이는 스파이크 단백질 유전자에 주요 변이가 두 개(E484Q, L452R)가 있어 흔히 '이중 변이'라고 불린다.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숙주 세포로 침투하기 때문에 이 단백질 유전자의 변이가 바이러스 감염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도 변이는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변이와 브라질 변이와 같은 부위에 변이가 있어서 현재 개발된 백신이나 단일항체치료제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또 영국 변이 바이러스처럼 전파력이 더 높을 수 있다는 추정도 나오는 상황이다.
방역당국은 아직은 인도 변이의 감염력 등을 평가할 정보가 충분치 않다는 입장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참고자료를 통해 "정확한 정보가 없고 전파력에 대해서도 연구 중"이라며 "WHO(세계보건기구)에서도 현재 주요 변이나 기타 변이로 분류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인도 이중 변이와 별개로 다른 변이 바이러스의 유입도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감염력이 더 세다고 알려진 영국, 남아공, 브라질 주요 3종 변이 감염자만 해도 지난 12일 기준 379명이다.
방대본은 앞선 브리핑에서 "영국 변이가 확인된 지역에서 집단감염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또 최근 역학적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은 남아공 변이 감염 사례도 발생하면서 지역사회 감염 위험이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주요 3종 변이 외에 아직 역학적 위험성이 확인되지 않은 미국 캘리포니아 유래 변이 등 '기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도 118명이다.
전문가들은 인도 변이를 비롯한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면서 다각도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미국도 '변이와 백신 접종의 레이스(경주)'라고 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전장 유전체 분석에 예산을 추가 배정하는 등 변이 실태를 감시하겠다고 했다"면서 우리나라도 감시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인도 변이 같은 경우 백신을 무력화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면서 백신접종 계획 점검을 제언했다.
천 교수는 또 "(여러 항체를 혼합해 쓰는) '칵테일 치료제'에 개발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방대본은 이날 인도 변이의 국내유입 여부에 대한 질문에 즉각적으로 확인해 주지 않은 채 답변을 미뤄 혼선을 초래하기도 했다.
오전 9시 20분께 관련 질의가 나왔으나 방대본은 오후까지도 "발생 현황은 변이 바이러스 브리핑 때 발표하겠다"고만 답했다. 국내에서 인도 변이 감염자가 9명 발생했다는 내용은 방대본이 아니라 오후 4시 30분 시작된 중대본 정례 브리핑을 통해서 확인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