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일부, 허용치 100배 이상 오염"

사진=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출로 인한 국내 영향은 아직 과학적 분석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원자력 분야 전문가들을 모아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에 따른 영향 분석과 대처 방안을 논의했다. 용홍택 과기정통부 1차관이 주재했다.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오염수에 대해 과학적으로 증명된 정보를 한국을 비롯한 각국에 제공하지 않고, 말로만 (안전하다) 얘기하는 것은 책임있는 국제사회 일원의 자세가 아니다"라며 "일본 정부는 오염수 해양 방출 계획을 철회하고, 무엇보다 126만톤의 오염수가 저장돼 있는 모든 저장탱크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라"고 요구했다.

송진호 원자력연 환경재해평가연구부 연구원은 "도쿄전력이 2020년 12월 작성한 자료를 보면, 원전 오염수를 정화하는 다핵종제거설비(ALPS) 처리를 거쳐 법적 방류 허용치 이하로 완전히 걸러진 오염수는 전체의 30%에 불과하다"며 "나머지 70%는 허용치의 5배, 많게는 100배의 농도를 가진 오염수가 저장 탱크에 쌓여있다"고 우려했다.

진영우 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특임의는 "객관적인 정보들이 없어 불확실한 부분이 있다"며 "구체적 정보가 제공돼야 방사선 영향평가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용 차관은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는 우리 국민의 건강 및 안전과 직결된 사항"이라며 "과학적으로 영향을 면밀하고 신속하게 예측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30~40년에 걸쳐 해양으로 방출하는 이번 결정은 서곡에 불과한 만큼,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를 강화하며 긴 호흡으로 철저히 대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원자력연은 과기정통부의 예산 지원을 받아 방사능 물질 해양확산 평가 모델을 2017년 개발한 바 있다. 이 모델은 2019년 국제원자력기구(IAEA)로부터 타당성을 인정받았다.

이 모델 개발을 주도한 서경석 원자력연 환경재해평가연구부 책임연구원은 "오염수에 따른 국내 영향 평가를 위해선 시공간적 연속성을 갖는 현장 관측이 필요하며, 방류 전 오염수 현황에 대한 로데이터가 필요하다"며 "이런 자료들이 축적돼야 과학적 사실에 기반한 대책 수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