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오염수서 핵종 나온적도…해양방출계획 철회해야"(종합)

대전 원자력연구원서 간담회…송진호 박사 "ALPS 작동하지 않은 적 있어"
서경석 책임연구원 "투명 정보공개, 방류전 오염수 현황 파악 등 필요"
원자력 전문가들이 일본 정부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용홍택 과기부 1차관이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간담회를 열고 후쿠시마 오염수가 한국 해역과 국민에 끼치는 영향을 살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서경석 원자력연구원 부장과 김현철·송진호 원자력연구원 박사, 조양기 서울대 교수, 진영우 한국원자력의학원 특임의사, 김대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실장, 김성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책임연구원 등 전문가 7명이 참석했다.

연구자들은 "일본 정부가 우리나라를 포함해 국제사회에 과학적으로 증명된 오염수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오염수가 안전하다고 말로만 얘기하는 것은 국제 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의 자세가 아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최근 일본 정부가 발표한 해양 방출 계획을 철회하고 약 126만 톤의 오염수가 저장된 탱크를 전수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이들은 강조했다.

송진호 원자력연구원 박사는 "방류 예정 오염수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 국제사회에서 용인되는 수준이라고 하지만 여전히 문제 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도쿄전력이 2020년 12월 작성한 자료를 보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정화하는 다핵종제거설비(ALPS) 처리를 거쳐 법적 방류 허용치 이하로 완전히 걸러진 오염수는 전체의 30%에 불과하다"며 "나머지 70% 탱크에는 높은 농도의 오염수가 쌓여 있고, 일부 오염수 보관 탱크에서는 법적 허용치의 5∼100배 높은 농도의 핵종이 발견된 적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ALPS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면서 "일본 측은 2050년까지 오염수 방류를 완료하겠다고 하지만 그 이상이 걸릴 수 있고, 그 과정은 폐로 완료 시까지 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경석 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도 "후쿠시마 오염수에 관해 투명한 정보 공개와 주변국으로서 방류 전 오염수 현황 파악, 원 데이터 상세한 자료 공개, 오염수 교차 분석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오염수가 우리나라에 끼치는 영향을 평가하려면 시·공간적 연속성을 갖는 현장 관측이 필요하다"며 "자료들이 축적되면 2년 후 일본이 오염수를 해양 방류할 경우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김성일 원자력안전기술원 실장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오염수가 위험하다고 하는 국가들은 후쿠시마 오염수 중 70% 이상이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본다"며 "2차 정화 이후 방출 전 최종 농도가 가장 중요하고, 이 농도가 기준치 이내인지 아닌지를 검증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또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로 국내에 언제, 얼마만큼의 영향이 있는지 예측하려면 국제적으로 검증된 원전 오염수 입수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용 차관은 "우리 정부는 향후 도쿄전력 등 일본 측이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 세부 계획을 수립하면 방사능 방출과 농도, 배출 기간 등 구체적인 데이터를 입수하도록 노력하고 방사능 물질 해양확산 평가 모델로 국민 건강에 영향이 없는지 분석·검증하겠다"고 말했다.

용 차관은 "일본 정부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는 우리 국민의 건강 및 안전과 직결된 사안으로 그 어느 때보다 과학기술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며 덧붙였다.

그는 "30∼40년에 걸쳐 해양으로 방출하려는 일본의 오염수 처리 방침 결정은 서곡에 불과하다"며 "관련 분야 연구개발(R&D) 투자를 강화하는 등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긴 호흡으로 대처하고 우리 해역 방사능 감시·추적 이행을 위해 방사능 물질 신속검사법을 적용하기로 했다"고 했다.

방사능 물질 신속검사법은 원자력연구원이 지난해 10월 개발한 것으로, 원자로에서만 생성되는 방사성 물질 '스트론튬-90'의 양을 약 이틀 만에 분석하는 기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