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집단면역 불씨 살렸지만…"백신 도착전 안심못해"
입력
수정
지면A2
정부, 화이자 2000만 명분 추가 계약…도입 시기가 관건정부가 미국 화이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4000만 회분(2000만 명분)을 추가로 도입하는 계약을 맺었다. 정부가 확보한 백신은 1억9200만 회분으로 늘었다. 인구의 두 배가 접종할 수 있는 물량이다. 하지만 정부의 ‘11월 집단면역 달성’ 계획이 실현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25일까지 도입된 백신이 전체 확보 물량의 5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데다 각국 정부의 백신 쟁탈전 여파로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도입이 순탄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장담하기 어려워서다.
하반기부터 수급 속도 빨라져
3분기 8000만·4분기 9000만회분
인구의 두 배 접종할 물량 확보
각국 쟁탈전에 지연 가능성도
정부 '플랜 B' 러시아 백신 검토
AZ처럼 안전성 논란은 불가피
국민 두 배 물량 확보
범정부 백신도입 태스크포스(TF)는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4000만 회분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24일 발표했다. 이번 계약으로 화이자로부터 확보한 백신은 총 6600만 회분(3300만 명분)이 됐다. 한국 정부가 확보한 백신은 총 1억9200만 회분으로 늘었다. 우리 국민(5183만 명)이 1.9번 접종할 수 있는 양이다. 집단면역 형성에 필요한 인원(3600만 명)이 맞을 물량의 2.8배다.다만 정부는 이번에 추가 계약한 화이자 백신의 도입 시기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들어올 것”이라며 “구체적인 도입 시기와 가격은 비밀 유지 조항에 따라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 화이자 백신을 추가 계약한 일본은 오는 9월까지 화이자 백신 1억 회분을 받기로 했다고 공개했다.정부는 상반기까지 1200만 명에 대해 1차 접종을 마칠 계획이다. 9월 말엔 인구의 70%에 해당하는 3600만 명이 2차 접종을 한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3분기까지 4400만 명에게 백신을 접종할 수 있을 것”이라며 “(9월까지) 1·2차 접종까지 할 수 있는지는 추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18세 이상 국민 4400만 명이 3분기 내에 접종 가능해진다는 의미다. 물량은 늘었지만 기존대로 국민이 백신을 골라 접종받을 수는 없다.
3분기 돼야 수급 숨통
화이자 백신은 지금까지 175만 회분(코백스 물량 제외)이 공급됐고 6월 말까지 525만 회분이 추가로 들어온다. 3분기부터 5900만 회분이 순차적으로 공급될 전망이다. 혈전 후유증 논란을 낳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상반기까지 총 857만4000회분이 도입된다. 코백스 퍼실리티 물량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10만 회분과 화이자 백신 41만4000회분을 포함해 총 251만4000회분을 상반기에 공급받는다. 다른 백신의 상반기 도입 물량은 많지 않다. 범정부TF가 밝힌 노바백스·모더나·얀센 백신의 상반기 공급 물량은 모두 합쳐 271만 회분이다. 하반기에는 3분기에 8000만 회분, 4분기에 9000만 회분의 백신이 들어올 예정이다.방역당국은 화이자 백신 추가 도입으로 청소년까지 접종이 확대될 가능성이 열리고 ‘부스터 샷’이라고 불리는 3차 접종에도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현재 화이자 백신이 16~17세 청소년에게 접종할 수 있는 유일한 백신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정부의 4400만 명 접종 목표는 모든 것이 계획대로 흘러갔을 때 가능하다고 지적한다. 정부는 올해 안까지 △노바백스 4000만 회분 △모더나 4000만 회분 △화이자 6600만 회분 △아스트라제네카 2000만 회분 △얀센 600만 회분 △코백스 2000만 회분 등을 도입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실제 도입한 백신은 387만 회분(2.0%)에 불과하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계약서상 부대조항으로 (예정된 일정보다) 공급이 늦어진다고 하더라도 책임이 없다는 면책 조항이 있을 수 있다”며 “우리 앞에 필요한 물량이 도착하기 전까지는 어떤 것도 담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안전성 논란 여전히 발목
백신 안전성 문제도 여전히 걸림돌이다. 아스트라제네카와 같은 부작용이 보고된 얀센 백신은 도입되더라도 기피 대상이 될 공산이 있다. 정부가 ‘플랜B’로 검토 중인 러시아 백신도 마찬가지다. 국내 기업들이 위탁생산(CMO) 계약을 맺은 러시아 백신 중 하나인 ‘스푸트니크V’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 항원 유전자를 아데노바이러스에 주입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바이러스 벡터 백신이다. 백신 접종 후 혈소판이 감소해 혈전(피가 굳어진 덩어리)이 생기는 부작용이 발견돼 미국·유럽 등에서 접종이 중단된 방식이어서 국민 불안감이 높다.정부가 3분기까지 2000만 회분, 연말까지 총 4000만 회분을 접종키로 한 노바백스 백신은 유럽과 미국 정부의 허가를 아직 받지 못했다. 유럽에선 당초 3~4월로 예상됐던 허가가 미뤄지고 있다. 노바백스 백신을 기술이전 받은 SK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허가 지연 이유를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녹십자 등이 CMO를 추진 중인 단백질 재조합 방식의 러시아 ‘코비박’ 백신은 계약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권 장관은 “공급 부족에 대해 지나치게 염려하기보다는 예방 접종에 주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우섭 기자